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챌린저들의 챌린지

by 3기김은아기자 posted Apr 18, 2016 Views 1718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취재지역 220-100 강원 원주시 봉화로 1 (강원 원주시 단계동 1123) (단계동, AK플라자)

그들의 도전은 계속 됩니다.jpg

[이미지 제공=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3기 김은아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우리의 일상속에서 챌린저라는 단어는 꽤 생소하다. 그렇기 때문에 처음에 챌린저라는 단어를 들었을 때 많은 사람들이 정확한 뜻을 알아 맞추지 못한다. 얼핏보면 Challenge (도전하다)에서 파생된 말로 도전하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해석 될 수 있다. 순수하게 단어의 뜻을 해석한다면 틀린 풀이는 아니다. 하지만, 챌린저라는 단어에는 깊은 뜻이 담겨있다.

챌린저란, 장애인을 지칭하는 새로운 단어로, 자신에게 닥친 '장애'라는 시련에 도전하는 사람들이란 뜻이다. 하지만 이런 챌린저들이 도전을 하기도 전에 기본적으로 갖추어져야할 요건들이 제대로 갖추어지지 않고 있다.




지난 3월 10일 전국 3월 모의고사가 끝난 5시경쯤, 원주 에이케이 백화점(AK PLAZA)앞에는 큰 트럭과 함께 노란색 조끼를 입은 사람들이 시위를 하고 있었다. 그들은 차차차 현장 투쟁단(우리는 차별을 걷어차는 부릉부릉 자동차)로 장애인권리보장법 제정을 주장하고 있었다. 현재 제정되어있는 장애인복지법에는 문제가 많다. 일단 이 법의 조건에 충족하기 위해서는 가족이 가난해야하고, 장애등급도 높아야한다. 만약 장애3급이라 생활에 지장이있어도 장애1.2급이 아니라는 이유로 마땅한 연금과 편의시설을 이용할 수 가 없다고 한다.




이러한 엄격한 조건에 충족하지 못해서 피해를 보는 사람들이 많이 있다.

장애 3급판정을 받았던 송씨는 장애 복지시설에서 나와 자립생활을 염원했지만 장애등급이 낮다는 이유로 일상생활보조를 배정받을 수 없었다. 활동지원서비스를 신청할 수 없었던 송씨는 홀로 있던 시간에 발생한 화재를 피하지 못하고 침대에서 누운 채 죽음을 맞아야 했다고 한다.

또한 2014년 송파에 사는 세 모녀는 아파서 일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생활고에 시달리고 있었다. 하지만 세 모녀가 신청할 수 있었던 복지제도는 아무것도 없었기 때문에 유서와 함께 세상을 쓸쓸히 떠나고 말았다.




법이란 국민들을 보호하고 안전하게 살아갈 수 있도록 올바르게 이끌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하지만, 엄격한 조건들로 인해서 도움을 마땅히 받아야 할 사람들이 도움을 받지 못해 죽어가고 있다.? 이들의 요구는 부당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물론 장애1급에게만 주던 혜택들을 장애 3.4등급까지 준다면 몇배에 달하는 예산이 들 것이고, 보조를 해줄 사람들도 갑자기 구하는데에는 문제가 생길 것이다.

하지만  큰 변화가 아니더라도 많은 챌린저들이 지금보다 더 나은 생활이 보장 될 수 있도록 개선이 되야하고 시민들의 인식 또한 넓어져야한다.




차차차 현장 투쟁단은 서울-원주-경북-전북-대전-인천-서울을 돌면서 장애인 인권에 대해 시위를 하고 있는 중이고, 페이스북 '장애등급제, 부양의무제 폐지 공동행동'페이지를 운영중이라 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3기 김은아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3기김윤정기자 2016.05.22 11:36
    첼린저에 대해서 잘 몰랐는데 이번기회에 알게 되었네요! 기사 잘 읽었습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08192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74689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87889
코로나19, 2차 대유행 시작 2020.08.28 김민지 8502
코로나19, 그에 따른 환경오염? file 2020.04.06 김호연 10803
코로나19, 동물도 피해 갈 수 없는 재앙 file 2020.09.28 최은영 8104
코로나19, 전 세계는 휴교 중 1 file 2020.05.18 임상현 10522
코로나19, 중국은 회복 중? file 2021.08.27 강민지 6896
코로나19, 지금 우리의 사회는? file 2020.09.01 길현희 8161
코로나19: 인간에게는 장애물, 환경에는 백신 file 2020.05.06 이유정 8203
코로나19가 IT 업계에 미친 영향 1 2020.04.13 이혁재 9071
코로나19가 당뇨발생 위험률 높인다 2022.05.16 신은주 10118
코로나19가 불러온 고통 1 file 2020.03.16 최서윤 7920
코로나19가 항공업계에 미친 영향 file 2020.04.08 이혁재 13592
코로나19로 더욱 깊어진 게임 중독의 늪 file 2020.05.28 오윤성 10985
코로나19로 변한 학교생활 file 2020.09.03 정예린 8407
코로나19로 인한 국민의 소비율 감소. 실업자 증가 1 file 2020.03.23 정다현 9163
코로나19로 인해 바뀐 삶 3 file 2020.05.18 김혜원 12894
코로나19로 힘든 시기에 한강, 과연 안전할까? file 2020.08.24 고종현 7919
코로나19에 따른 빈곤 문제는? 2 file 2020.08.13 전지영 9603
코로나19에 의한 경제적 양극화 현상.. 그 이면에는 거대기업들과 무책임한 정부가 있다? file 2021.10.05 이성훈 7822
코로나19의 분야별 피해 현황과 그 해결책은? file 2020.03.02 전지영 9490
코로나19의 재확산, 방역 당국과 교육 당국의 지침은? file 2020.08.25 홍승우 8012
코로나19의 재확산세, 방역모범국도 흔들린다 2 file 2020.08.21 김상현 10042
코로나19의 한복판에 선 디즈니월드의 재개장 file 2020.09.21 염보라 11337
코로나19의 후유증 '브레인 포그' 3 file 2020.09.10 오현지 13160
코로나가 우리 사회에 미친 영향은? file 2020.07.22 김다인 16281
코로나가 환경을 살리다?_떠오르는 환경이슈 1 2020.04.14 남지영 9497
코로나로 무너진 세계 file 2020.05.13 이채영 9313
코로나로 위험한 시국, 대통령을 비판한 미래통합당 file 2020.08.25 박미정 10378
코로나로 인한 여행 file 2020.06.08 양소은 8321
코로나를 통한 사재기와 우리의 태도 file 2020.03.30 이수연 8081
코로나바이러스 자세히 알아보자 4 file 2020.02.24 이수연 12564
코로나의 피해.. 어느 정도? file 2020.02.28 민아영 8926
코리아 스태그플레이션 2021 file 2021.08.09 전인애 11722
코스피 변동성 증가, 투자에 신중을 기해야... file 2021.02.08 정지후 7395
코시엘니 사태로 바라본 정당하지 않은 선수들의 태업 file 2019.07.15 이준영 14868
코에 빨대가 꽂혀있는 거북이가 발견된 그 이후, 지금 file 2019.06.07 박서연 17818
코피노, 이대로도 괜찮을까? 2018.10.24 석주은 11408
콘서트 티켓 한 장이면 "100만원" 벌기는 식은 죽 먹기? 8 file 2016.03.13 이소연 22124
쿠웨이트 총리 첫 방한 file 2016.05.15 이아로 18044
퀴어 퍼레이드 그 스무 번째 도약, 평등을 향한 도전! 서울 도심 물들인 무지개 file 2019.06.07 정운희 14536
클라우드 기술, IT 업계가 주목하는 이유는? file 2019.11.27 이선우 13822
클릭 금지! '택배 주소지 재확인' 11 file 2017.01.22 최영인 20896
키즈 유튜브, 이대로 괜찮은가? file 2019.09.02 선혜인 14583
타오르는 촛불, 펄럭이는 태극기 그리고 헌법재판소 1 file 2017.02.11 이동우 15026
타타대우 상용차 등 다수의 기업들, 기업의 사회적 책임 실천 1 file 2017.11.21 양원진 13262
탄소배출권, 공장은 돈을 내고 숨을 쉰다? 4 file 2019.04.11 김도현 17709
탄핵 이후, 해결해야 할 과제! file 2017.05.13 양수빈 9400
탄핵 판결을 내린 헌법재판관 8명을 고소한 우종창, 그는 누구인가? 1 2017.04.02 김민정 11759
탄핵 후 우리에게 남겨진 과제들 file 2017.03.19 박윤지 1193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