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응답하라, 전통시장!

by 6기김나림기자 posted Apr 16, 2016 Views 1858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여기 빈대떡 2인분 주세요"
"네, 여기 있습니다. 맛있게 드세요~"
"아니, 2인분이 이렇게 많아요? 잘못 주신거 아니에요?"
"그거 2인분 맞습니다! 친구랑 오셨는데 많이 드시고 재밌게 놀다 가셔야죠"
"감사합니다~"


"봄동 5000원어치 주세요"
"여기있어요"
"5000원어치가 이렇게 양이 푸짐해요?"
"잘생긴 아드님이랑 오셔서 더 준거여~ 아들! 많이 먹고 키도 크고. 알제?"
"감사합니다!"


 우리 사회에서 흔히 들리지 않는 훈훈한 대화. 이런 대화가 심심치 않게 들리는 곳은 어디일까? 바로 전통 시장이다. 전통시장에서는 이처럼 사람들의 인심과 훈훈함을 느낄 수 있다. 전통 시장은 도대체 어떤 곳일까? 대표적인 전통시장 광장시장에 다녀왔다.


 종로 4가와 예지동 일대에 자리 잡은 배오개 시장은 조선 후기 서울의 3대 시장으로 손꼽혔다. 1905년 한성부에서 시장 개설 허가를 낼 당시에는 동대문 시장으로 명칭을 정하였으나 1960년대 이후에는 '광장 시장'으로 불리게 되었다.


 기본적으로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운영되며 휴무일은 일요일이다.

구제 상가는 오전 10시부터 오후 7시까지, 휴무는 일요일이며 공휴일은 정상영업을 한다.
먹자골목은 오후 11시까지 영업하며 연중무휴로 운영된다.


 광장시장은 먹거리와 볼거리가 많기로 유명한 곳이다.

 대표적인 먹거리로 마약김밥, 순대, 빈대떡, 돼지껍데기 등 정말 다양한 음식을 싼 가격에 팔고 있어 부담감없이 즐기기에 손색 없다. 각종 반찬과 한복, 식품, 작물, 의류 등이 많아 구경하는 맛이 쏠쏠하다.


imaged.jpe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 청소년 기자단 3기 김나림 기자ⓒ대한민국 청소년 기자단]


 이번 주말에는 대형 마트가 아닌 사람들의 인심과 따뜻한 분위기가 배어 있는 전통시장에 가보는 것이 어떨까? 꽉 막힌 사회 속에서 나와 전통시장에서 사람들과 정겨운 분위기를 함께 나눠보자.


자료 제공: http://kwangjangmarket.co.kr/

[대한민국 청소년 기자단 문화부=3기 김나림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669547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667209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086882
집 앞에서 주인들을 기다리는 택배들을 위한 서비스, 택배 픽업 서비스 1 file 2017.04.21 최민영 14952
세계평화의 숲, 식목일 기념 '시민 나무심기'행사 개최 file 2017.04.21 정지용 18641
과학문화 한마당! 체험 한마당! file 2017.04.21 오지석 13607
나만 안되는 선거, '투표권'을 줄게, 청소년들도 투표하고 싶다! 5 file 2017.04.21 전희원 14077
세월호의 눈물을 닦아 주는 청소년 3 file 2017.04.21 한제은 13604
나만 안되는 선거 투표권을 줄게! 청소년들이 뽑는 19대 대통령 2 file 2017.04.21 신새벽 14275
언론인을 꿈꾸는 강원도교육청학생기자단 2017.04.20 박민선 15709
응답하라 의정부 대표 함효범씨를 만나다. 1 file 2017.04.20 김소은 16526
57년 전의 4월 19일 file 2017.04.20 윤하림 13626
"저희도 대한민국 국가대표 입니다." 1 file 2017.04.20 정가영 16603
4월 16일, 세월호 추모 연극 공연 '사월애(愛,?哀)' 1 file 2017.04.20 윤나민 13897
소래포구 어시장 화재, 복구는? file 2017.04.19 이다빈 15238
코딱지보다도 작은 복권 당첨 확율 2 file 2017.04.19 이종은 14241
이것이 김영란법 입니까? 1 file 2017.04.19 방예진 14511
지금은 인공지능 시대! 4차 산업혁명 시장의 트렌드, SCG가 분석하다. 2 file 2017.04.19 서경서 23512
기자가 되기 위한 준비, 인천시학생기자단 기자교실 개최 2 file 2017.04.19 방상희 13069
인간의 욕심이 나은 결과물, 또 한마리의 돌고래 폐사 1 file 2017.04.19 이빈 14374
자전거 타며 알리는 환경보호의 중요성 1 file 2017.04.19 이지은 14392
두류도서관 '책 소리 봉사단'을 아시나요? file 2017.04.19 노유미 15896
예쁜 추억을 만들려면 삼척맹방유채꽃밭으로 오세요~! 1 file 2017.04.18 정유진 14246
미래가 밝은 U-20 대한민국 축구 대표팀 1 file 2017.04.18 이다정 13991
2017 서울 모터쇼를 다녀 오다. file 2017.04.18 주건 14269
너희 없는 3번째 봄, 너희를 담은 시간 展 1 file 2017.04.18 안옥주 13443
동양최대 목조건축물 대광사 미륵보전 완공 file 2017.04.18 정인교 16699
유기견 단체 <행동하는 동물하는 사랑>, 잃어버린 강아지를 찾아 나서다. 2 file 2017.04.18 정수민 15575
너무 늦기 전에, 어폴로지 2017.04.18 이가영 12889
불운의 숫자 4, 4월은 불운의 달? file 2017.04.17 김수인 15511
한국인이 사랑하는 시인, 윤동주 탄생 100주년, 왜곡된 사실. 2017.04.17 박환희 19333
자전거 타며 알리는 환경보호의 중요성 file 2017.04.17 이지은 13030
미래를 이끌 사람은 바로 우리! 공주시 청소년 참여위원회 위촉식에 가다! file 2017.04.17 정가영 13929
서울시 고등학교 방송반 연합회 , 제 18회 서고방연이 열리다. file 2017.04.17 김다연 14198
늘어가는 인형 뽑기방, 답답한 현실에 탈출구?! 6 file 2017.04.16 김혜원 18012
일상 속에 녹아있는 '약자 혐오', 우리들의 '인식'을 위하여 2 file 2017.04.16 이서현 15185
전라북도를 대표하는 청소년참여기구 2017년 전라북도 청소년참여기구 연합워크숍 개최 2 file 2017.04.16 최희주 13866
봄 바람 휘날리며 흩날리는 벚꽃 잎을~; 양재천 벚꽃 축제 현장 속으로! 2 file 2017.04.16 김가빈 18274
삶에 색깔을 더하다:팬톤이 정한 올해의 색 그리너리(Greenery) 4 file 2017.04.16 김가빈 14781
야구장, 부족한 관중 의식으로 몸살 앓아 file 2017.04.16 김유경 16085
특성을 살린 봉사, 서울시 청소년 외국어 봉사단 file 2017.04.16 임소진 15196
우리마을 척사대회 file 2017.04.16 김태호 13350
에코맘코리아 팀장 연수 file 2017.04.16 김태호 15005
Well-Dying "당하는 죽음이 아닌 맞이하는 죽음" 사전의료의향서 관심 급증??? 1 file 2017.04.16 이승연 16530
400만을 사로잡은 디즈니 매직 3 file 2017.04.16 김다빈 14612
일본어 초보자도 쉽게 갈 수 있는 오사카 여행 - 2 file 2017.04.16 정진 15248
함평군 4.8 만세운동 재연통해 애국정신을 기르다 file 2017.04.16 정상아 13409
침묵의 암살자 2 file 2017.04.16 정가원 13512
[여행감수성을 찾아가는 세계여행기 :1탄] 세계의 최서단, 카보 다 로카 (Cabo Da Roca) 1 file 2017.04.16 정다우 25515
3월 서울코믹스와 다가오는 5월 부산,서울 코믹스 file 2017.04.16 조민재 15285
미래는 마이너스 금리 시대? 마이너스 금리 시대의 자산운용 전략! file 2017.04.15 박나린 1518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