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4.13 총선! 야당은 분열 여당은 균열

by 3기최다혜기자 posted Apr 09, 2016 Views 1702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temp_1456404022399.1494437723.jpeg


총선을 5일 남긴 지금 야당은 분열이 일어났으며 여당은 균열이 일어났다.

더불어 민주당은 여러 야당들과의 야권연대를 위해 목소리를 높였었다.

하지만 국민의 당에서는 후보단일화와 같은 야권연대를 거부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더불어 민주당은 더이상 야권연대와 단일화에 관하여 언급하지 않기로 했다.

그렇지만 개별적으로 후보들간의 단일화가 있다면 무조건적으로 적극적인 지원을 가할 것라고 얘기하였다.

또한 정부와 여당의 싸움에 대한 심판에 전염할 것이라는 이야기또한 하였다.

현재 여당 또한 야당못지않은 분열을 보여주었다.

이로인해 여당의 후보자들은 고전하는 모습을 보여주기까지 하였다.

여당의 경우 현재 친박계가 주도한 공천 가운데 컷오프를 당한 인사들이 이를 공정하지 못하다는 이유를 가지고 탈당과 함께 무소속으로 출마하였다.

이렇게 출마한 인사들의 대부분이 거물급처럼 인지도가 높은 자들이어서 표심분열이 무조건적으로 일어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어 선거판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야당과 마찬가지로 여당또한 여당 대 여당으로써 붙게된다고 볼수도 있다.

공정하지 못한 컷오프, 옥새파동과 같은 이해 되지 않는 모습을 여당은 국민들에게 보여주었다.

이문제에 대해 실망한 국민들의 모습이 표결 수로도 나타나고 있다.

야당은 성난 인심을 달래고 줄타기가 아닌 민중들이 원하고 공정한 정치판의 모습을 보여주어야 할 것이다.

또한 야당이 원하는 여당 대 야당의 모습으로 흐러가기를 원한다면 다음번 선거에 있어서는 이렇게 표의 분열을 보여주어서는 안될것이다.

국민들도 이번 총선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바라보아야 할 것이며 대한민국의 국민으로써 가지는 권리인 참정권에 대해 생각해보며 많은 사람들이 투표를 해야할 것이다.

또한 청소년들또한 정치적인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우리나라 사회적흐름을 알아야한다.


[이미지제공 : 대한민국 청소년 기자단 ***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 = 3기 최다혜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3기김윤정기자 2016.05.22 11:24
    정치 문제에 대해서는 잘 모르는데 더 관심을 갖고 지켜봐야겠네요. 기사 잘 읽었습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97975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65596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78814
국민의힘, 부동산 투기 의혹 제기된 의원 1명 제명, 5명 탈당 요구 조치 file 2021.08.27 송운학 7880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분쟁의 끝은 어디인가? file 2021.05.24 심승희 7878
트럼프, 바이든에 협조하지만 대선 결과 승복은 ‘아직’ 1 file 2020.11.27 김서현 7873
코로나19, 동물도 피해 갈 수 없는 재앙 file 2020.09.28 최은영 7873
미중 무역전쟁, 승패없는 싸움의 끝은? file 2020.01.02 임수빈 7872
우후죽순 터지는 인사 실패와 망언들, 급락하는 윤석열의 지지율 file 2021.12.27 윤성현 7867
2016년 ‘위안부 손배소’, 이용수 할머니 증언을 끝으로 4년 만에 드디어 막 내린다 2020.09.16 이채은 7864
여러 민주화 시위에서 사용되고 있는 손가락의 영향력과 힘 2021.04.29 김경현 7860
임대료없어 폐업 위기, 소상공업자들의 위험 file 2021.02.01 최은영 7849
수에즈 운하 열렸지만 문제는 여전히 file 2021.04.02 김민주 7834
레바논의 수도, 베이루트에서 폭발이? file 2020.08.10 허예진 7832
의도적인 트럼프의 발언? 1 file 2020.03.06 권수현 7832
더 나은 대한민국을 만들 첫걸음, 4·15 총선 file 2020.04.08 박소명 7830
미국과 중국의 패권 경쟁에 놓인 홍콩 1 file 2020.05.26 신지윤 7829
코로나 백신, 가능할까? 1 file 2020.11.13 이채영 7827
2020년 의사 파업 그리고 현재 file 2021.03.03 이채령 7822
코로나19의 재확산, 방역 당국과 교육 당국의 지침은? file 2020.08.25 홍승우 7817
이제야 끝난 장마, 기후변화에 경각심을 가질 때 file 2020.09.07 박영주 7810
프랑스 "2시간 30분 이내 거리 항공기 금지" 기후법 통과 2021.07.08 현나은 7807
의대생 증원에 따른 파업과 약대 학부전환, 입시에 '나비효과' 줄까? 1 file 2020.08.21 차준우 7807
사회를 갉아먹는 '인간바이러스' file 2020.09.03 김예한 7797
코로나 아직 끝나지 않았다, 생활 속 거리두기 함께 하기 file 2020.05.12 임효주 7793
백신, 안전한가? 1 file 2020.10.22 홍채린 7789
'의료계 총파업', 밥그릇 챙기기인가 정당한 투쟁인가 file 2020.10.29 유서연 7787
3월 9일부터 실시된 마스크 5부제의 현재 상황은? file 2020.03.27 박가은 7783
주한 외국인 증가율 file 2019.12.27 김희서 7783
마스크 대란을 잡기 위해 내놓은 정부의 대책 file 2020.03.12 신지홍 7770
심각한 경제위기에 직면한 일본.. 이대로 선진국 반열에서 탈락하나? file 2022.02.08 이성훈 7761
차별금지법 제정, 한국 사회가 직면한 과제 file 2021.06.16 김도희 7761
창원 남창원농협 발 코로나 확진자 급증, "공동체의 안전을 위협하는 행위, 결코 용납할 수 없는 일" file 2021.08.20 우한인 7757
공포가 된 독감백신‧‧‧ 접종 후 잇따른 사망 1 file 2020.10.26 윤지영 7757
삼성전자 이 부회장의 2년 6개월 실형 선고... 또 다른 리스크인 보험업법 개정 결과는? file 2021.01.19 김가은 7753
온라인 수업의 부작용, 'VDT 증후근' 2020.08.31 오윤성 7750
탄화규소 전력반도체 웨이퍼의 대량 도핑 기술 개발... 대량생산 원천기술 확보 file 2022.02.28 한건호 7735
불법이 난무하는 도로, 범인은 전동 킥보드? 1 2020.10.12 이삭 7735
등교개학 이후, 학교 VS 코로나-19 2020.06.16 홍승우 7735
코로나19가 불러온 고통 1 file 2020.03.16 최서윤 7735
독감백신 종이상자로 유통 file 2020.09.28 윤지영 7726
'코로나19'로 소상공인 피해 입다 2020.03.26 이수미 7722
코로나19 사태, 숨겨진 일등공신은? file 2020.05.27 임서현 7718
코로나19에 의한 경제적 양극화 현상.. 그 이면에는 거대기업들과 무책임한 정부가 있다? file 2021.10.05 이성훈 7711
코로나19로 힘든 시기에 한강, 과연 안전할까? file 2020.08.24 고종현 7700
야심 차게 내놓은 '서민·중산층 주거안정 지원방안' 과연 효과는? file 2020.11.24 김아연 7699
독감백신 사망자 점차 증가 1 file 2020.10.29 박정은 7698
[기자수첩] 의대 쏠림 현상, 의대 정원 늘려 해결해야 file 2023.06.24 이래경 7695
광복절 집회에 대한 법원의 판결, 적절한가? file 2020.08.31 김근영 7685
정세균 총리, '코로나 대규모 확산의 길에 서 있는 일촉즉발의 상황' 1 file 2020.11.23 명수지 7670
강북인터넷중독예방상담센터, 2022 스마트폰 가족치유캠프 개최 file 2022.07.15 이지원 766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