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서호정자' 가 우리의 안녕을 묻습니다.

by 김형석 posted Apr 04, 2016 Views 1740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서호정자'가 우리의 안녕을 묻습니다.


파주 출판도시는 경기도 파주시 문발동산남동서패동 등 일대에 조성된 출판인쇄디자인출판유통 등을 주요 업종으로 하는 기업이 모여 있는 국가 산업단지로 계획된 도시이며 현재는 문화인들의 메카로 불려 질만큼 다양한 분야의 예술과 결합하여 시민들에게 '문화'를 조금 더 친숙하고 가깝게 다가설 수 있도록 큰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는 곳이다.

그 곳을 거닐다 보면 세련되고 네모 반듯 하며 아이디어가 독특한 건물들 사이로 조금은 어색해 보일 작은 한옥 한 채가 고즈넉하고당당하지만 겸손한 모습으로 우리의 시선을 이끌고 있는 '서호정자'가 자리하고 있다.


서호 정자.jpg

12919219_490292197826291_874017521_n.jpg




전라북도 정읍 시 산외면 오공 리 814번지에 99칸의 한옥인 김동수의 가옥으로 6대조인 김명관에 의해 건립되었으며1834년에 완공되어 176년의 역사를 지닌 고가이다현재는 80여 칸 정도만이 보존 되어오고 있다김동수 가옥의 특징은 당시 집을 건축할 목재가 부족해서 거리가 떨어진 전라남도에서 자재를 옮겨 와야 했던 이유로 기둥들이 다른 가옥과는 다르게 가늘다는 것이다또한일대 부호들이 지은 한옥이 갖춘 위용스런 모습 보다는 자연 친화적인 모습으로 정형화된 틀을 벗어난 부분도 이 가옥의 특징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 중 오른편에 있던 작은댁의 사랑채를 지금 이곳으로 이건하게 된 뜻 깊은 이유를 알게 된다면 낯설어 보이는 '서호정자'가 주는 의미 깊은 숨을 쉬게 될 것이다.

1999년 8월 30일에 파주 출판 문화정보 산업 단지 이사회에서는 '장읍 김동수의 고가 별채'의 이건 문제가 안건으로 상정 되었고 2000년도에 이건 되어 온지 1년만인 2001년에는 서화로 명성이 높은 석촌 '윤용구선생님의 친필로 새겨진'학문을 가르치는 곳'이란 뜻의 '서호정자'로 현판을 걸고 택호를 부여 받았다.

 

12939640_490292247826286_1253958694_n.jpg




그리고 '서호정자앞에 가지가 풍성한 느티나무의 꽃말이 뜻하는 '운명'처럼 2002년 국회도서관 보존 서고동(전자 도서관)을 신축 하면서 이식 장소를 알아보던 과정 중에 당시 국회 의장이며 '샘터'의 창간인인 우암 '김재순선생님의 제안으로 현 위치로 이식을 하였다.

파주출판 단지의 랜드마크로 자리 하기까지 많은 문예인건축가예술가민속연구가들이 한마음으로 '서호정자'를 이건 하면서까지 우리들에게 말 하려한 깊은 뜻이 무엇인지를 한번쯤은 생각해 보는 것이 우리들이 최소한으로 보일 수 있는 감사의 인사가 되리라 생각한다.

'서호정자'는 '정읍사'의 망부석이 된 아내처럼 후손들의 곁에서 우리의 안녕을 발원을 하며 오래도록 함께 하기를 바라는 것처럼 소박하지만 의연한 자태로 영원할 것처럼 보인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 3기 김형석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05423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02992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23950
경기 부천시 도당 1-1구역 투명한 재개발 위해 조합원 뭉쳤다 1 file 2022.04.04 지주희 29894
결혼, 이혼, 졸혼? 졸혼으로 보는 우리 사회. 4 file 2017.05.21 임하은 14523
결코 즐길 수만은 없는 '김해 부경동물원' 1 file 2017.08.21 최희수 20607
결과는 나왔고, 돌이킬 순 없다. 4 file 2018.02.22 이건 13889
격하게 반응하라 이것은 수학인가? 놀이인가? <제4회 강원수학나눔축제> 1 file 2019.10.25 강민지 19967
겨울을 녹이는 따뜻한 마음, 여러분은 가지고 계신가요? 1 file 2021.12.23 민유정 10870
겨울방학, 의미있게 보내셨나요? 2 file 2017.03.23 손예은 13415
겨울방학 모의유엔에 도전하고 싶다면? 1 file 2016.11.25 변지원 15775
겨울밤이 아름다운 ‘광양 느랭이골 빛축제‘ 1 file 2019.12.23 조햇살 17595
겨울궁전으로 본 러시아의 역사 file 2018.04.02 장세은 15580
겨울 필수품, 핫팩 완전정복 1 2018.01.29 박채리 16124
겨우 끝나가는 메가볼시티 사태, 피해는 누가 보상해주나 file 2017.05.24 양우석 15283
게임으로 배우는 유전자의 원리! file 2020.11.13 박선주 16426
게임문화 가족캠프, 가족 화합의 도구로! file 2022.12.16 이지원 7989
게임과 만화마니아들은 다모여라~!. "코믹월드" 7 file 2017.02.21 전현동 15523
게임 속 캐릭터, 자유를 외치다 '프리 가이' file 2021.08.25 김민주 12980
게임 속 등장하는 로봇, 현실 개발은? file 2017.05.24 이현승 17445
게으른 공부습관, 스터디 플래너로 바꿔보자! 10 file 2017.09.01 김다정 24106
검단 청소년 문화의집 청소년운영위원회 전문연수를 다녀와서... 5 file 2016.02.24 이해영 16117
걸어서 동화속으로, 파주 프로방스 2 file 2017.03.22 인예진 16070
걷기의 시작, 트렌드의 시작, 건강의 시작 2 file 2016.10.23 김가흔 17084
걷기 좋은 골목길, 방배 사이길! file 2017.10.02 최승은 19238
걷고 미니게임만 하면 환경을 보호할 수 있다? ‘2020 롱기스트런 언택트 펀 레이스’ file 2020.11.04 김도연 13447
건축학교 아키, 꿈을 짓는 건축캠프 개최 8 file 2017.02.01 오승민 16570
건국대 인문학연구원, 교양총서 ‘투 유 당신의 방향’ 출간 file 2023.01.16 디지털이슈팀 7398
건강 챙기는 대안생리대 알아보기 24 file 2017.01.09 이민지 15178
거짓 정보가 점령해가고 있는 인터넷, 이대로 가도 되는가? 2 file 2017.03.17 정혜원 18870
거제도, 우리나라 최초의 해저 터널이 만들어진 곳! 1 2017.09.19 김명빈 18300
거작들을 낳은 픽사의 '픽사 애니메이션 30주년 특별전' 2 file 2017.08.30 김수연 16602
거울아, 세상에서 가장 한복이 잘 어울리는 사람은 누구? 1 file 2019.04.05 오서진 20141
거리를 달리며 되새기는 5.18 민주화 운동 file 2017.05.23 박아영 13828
거리 위 작은 상담소, 아라메 카페를 아시나요? 1 file 2017.11.08 김은민 15524
거대한 보온병 하우스, 패시브 하우스가 무엇일까? 6 file 2020.04.13 김서연 15037
거대한 방주와 망망대해에서 펼쳐지는 신비하고 짜릿한 모험 [노아의 방주 2: 새로운 세계로] 2022.01.27 여인우 10052
거대 로봇 애니메이션 '거신: 바람의 아이' 18일 개봉 file 2023.05.25 유영진 9488
거대 IT기업 '애플' 1 file 2022.03.08 현예린 12188
거기 당신! 이번 주말에 여긴 어때요? file 2018.04.05 김리나 14695
갤럭시 노트9이 아닌 노트8.5였다 4 file 2018.08.20 윤주환 33144
갤럭시 노트 7, 삼성의 부활인가 2 file 2016.08.20 황지원 16833
개인화 마케팅 시대 속에서 어떻게 살아남아야 할까? file 2021.06.30 정윤선 12998
개소리를 알아듣는 방법, 카밍 시그널 file 2017.08.27 김수현 20926
개도 안 걸린다는 여름 감기, 건강관리는? 1 file 2017.08.27 이서윤 14291
개고기 식용 아직 풀지못한 과제 4 file 2017.08.06 김도연 15740
같은 듯 다른 일본의 교통 문화 3 2017.07.19 허재영 25436
강해져서 돌아왔다! 부활한 기아타이거즈 file 2017.04.28 서재성 14114
강원도 속초에서 전쟁의 상처인 실향민을 통해 ‘삶’을 배우다 file 2017.07.23 박예은 14139
강서학생자치연합 한마당, 우리끼리끼리끼리 Let’s get it get it get it file 2017.09.07 정민규 18088
강서구립 도서관들의 북 콘서트 2017.11.07 노경배 1565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