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지구를 살리는 60분, 어스 아워 캠페인

by 3기김영현기자 posted Mar 25, 2016 Views 2128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2016년 3월 19일 오후 8시 30분, 서울 코엑스의 불이 꺼졌다.
세계자연기금(WWF)에서 진행하는 "어스아워(지구촌 전등끄기)"캠페인에 참여한 것 이다.

코엑스_요청_160318_블로그-01.png

[이미지 제공 = 서울 코엑스몰 블로그 http://blog.coex.co.kr/1388]


"어스아워(지구촌 전등 끄기)"캠페인은 민간자연보호단체인?세계자연기금(WWF)에서 심각한 환경오염으로 인한 기후변화로 멸종위기에 처한 동물들을 보호하기 위해 시작한 환경 보전 캠페인이다.
2007년, 호주 시드니에서 처음으로 시작된 이 캠페인은 2015년까지 전 세계 172개국의 7,000개 이상의 도시에서 개인, 기업, 기관 등이 참여하며 현재 세계에서 가장 큰 환경 운동으로 자리 잡았다.

캠페인은 매년 3월 셋째주 토요일 오후 8시 30분부터 9시 30분까지 약 한 시간동안 진행된다.
개인, 기업, 지역 커뮤니티, 단체 등 누구나 참여 가능하며, 불필요한 전등을 끔으로써 탄소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

세계자연기금(WWF)의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지금까지 이 캠페인을 통해 지구의 탄소배출량이 정확하게 얼마나 줄었는지는 알 수 없다고 한다. 이 캠페인의 궁극적인 목적은 단순히 탄소배출량을 줄이는 것 뿐만이 아니라 전 세계사람들에게 기후변화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워 주고 자신들의 생태 발자국에 대해 책임감을 갖으며 지속가능한 환경 보존 운동을 도모하기 위함이라고 한다.

우리나라는 지난 2009년부터 운동에 참여하였다. 서울의 남산타워를 비롯해 63빌딩, 국회의사당, 검찰청사 등 서울의 상징적인 건물들이 1시간 동안 불을 끄고 환경을 보호해왔다.
또한 지난해 한국의 '어스 아워' 운동으로 서울 공공건물에서만 400만㎾의 전력 절감과 소나무 60만 주를 심고 온실가스 1천750t을 감축한 효과가 있었다고 한다.

올해 어스아워 캠페인에 참여한 코엑스몰 관계자는 “어스아워 캠페인에 국내를 대표해 참여하게 돼 뜻 깊다”, “기후변화의 심각성과 자연보호의 필요성에 대해 함께 생각해볼 수 있는 시간이 되기를 바라며, 앞으로도 고객이 참여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자리를 다양하게 마련할 것”이라고 전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 = 3기 김영현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3기김윤정기자 2016.04.05 22:22
    이런 행사가 있다는건 알고 있었는데 구체적으로 언제인지, 몇시부터 몇시까지 인지는 몰랐는데 정확히 알게되었네요! 아쉽게도 이번년도에는 실천하지 못했지만 다음년도에 꼭 실천하도록 해야겠어요! 기사 잘 읽었습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05521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72506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85631
'촛불'이 일궈낸 대선, 대선이 일궈낼 더 나은 대한민국 4 file 2017.05.07 김유진 10410
강서구 PC방 살인 사건 관련 청원, 국민청원 100만 돌파 file 2018.10.26 정아영 10409
“음주운전은 살인행위“라던 민주평화당 이용주 의원 “음주운전 적발” file 2018.11.08 곽승준 10406
2050년, 다시 찾아올 식량 위기 ➋ 2 file 2018.02.07 김진 10402
최순실 1심 판결, 징역 20년·벌금 180억 원·추징금 72억 원 file 2018.02.22 허나영 10400
더불어민주당 2022년 대선 후보, 이재명 후보로 지명 file 2021.10.12 이승열 10395
런던의 또 한 번의 테러: 지하철역 안에서 3 file 2017.09.19 박우빈 10394
'살충제 계란' 과연 그 진실은? 2 file 2017.08.29 정다윤 10391
40년 전 그땐 웃고 있었지만…국정농단의 주역들 구치소에서 만나다 file 2018.03.30 민솔 10384
페트병을 색으로만 기억해야 할까? file 2018.11.29 박서정 10377
삐까뻔쩍한 아파트를 가진 가난한 사람들, 당신이 몰랐던 이유 2017.09.19 호수 10377
아직 종로에 남아있는 삼엄한 분위기의 잔재 file 2017.04.23 오주연 10377
위디스크 양진호 회장, 갑질의 선을 넘었다 file 2018.11.19 박예림 10374
SNS가 되어버린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 1 file 2018.08.16 지윤솔 10373
5월, 그리고 가짜 뉴스 2019.05.20 안광무 10366
비트코인 사용시 주의할 점 file 2018.02.21 허어진 10365
시리아, 드디어 끔찍한 전쟁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을까? file 2017.07.29 윤정민 10365
러시아까지 영국에 이어 코로나 누적 확진자 1천 만명 넘었다...위드 코로나는 역시나 다시 중지 file 2021.12.24 정지운 10364
2017 대선의 숨은 모습을 찾다 file 2017.05.26 구성모 10360
제로금리에 가까웠던 美 기준금리 7년 만에 인상, 우리나라에 미치는 엉향은? file 2017.03.22 이승희 10360
무모한 트럼프의 100일간의 무모한 행보, 그리고 대한민국 대통령에게 2 file 2017.05.03 김유진 10352
촛불 대통령에게 '레드카드'를 보내다 file 2017.05.16 김소희 10348
12월 13일 조두순 출소...청소년들의 공포감 6 file 2020.10.15 김지윤 10345
우리나라 가계부채 명목 GDP 대비 106.5%…가계경제 비상등 켜지나 file 2022.01.18 윤초원 10344
마스크의 생산량 추이와 전망 1 file 2020.10.05 김남주 10338
“러시아인들은 환경에 대한 경각심이라고는 눈곱만큼도 없다"... 그러나 현재 일본은? 1 file 2021.04.28 김태환 10337
코로나로 위험한 시국, 대통령을 비판한 미래통합당 file 2020.08.25 박미정 10334
대한민국의 흐린 하늘을 만드는 주범, 미세먼지 2 file 2018.05.24 노채은 10334
5·18 광주 민주화운동 진실 규명 이뤄지나 … 발포 명령 문서 첫 발견 2 2017.09.01 손서현 10334
19대 대선의 여담 2 file 2017.05.21 강민 10333
탄핵, 그 후 경제는? file 2017.03.21 장혜림 10328
조 바이든, 공식적으로 정권 인수 착수 1 file 2020.11.30 차예원 10327
리벤지 포르노, 단순한 복수가 아닌 엄연한 범죄 file 2018.10.17 이채언 10324
대중교통도 마스크 의무화 1 file 2020.06.05 최윤서 10322
전기자동차, 떠오르는 이유는? 1 file 2019.03.25 김유민 10320
세월호 인양, 시민들의 생각은? 2 file 2017.04.10 김동현 10312
새롭게 바뀐 한국의 대통령, 중국과 한국과의 관계도 바뀌나? 2 file 2017.05.19 강지오 10310
10월 25일, 독도의 날 1 2017.11.22 박민영 10309
유엔인권 이사회, 북한 인권 결의안 무표결 채택 file 2017.03.26 이승민 10309
초콜릿은 모두에게 달콤하기만 한 것일까? file 2019.09.23 이채윤 10307
잠잠하던 코로나... 태국에서 다시 기승 2020.12.28 이지학 10302
사형집행은 사형집행관이 한다 1 file 2018.08.30 정해린 10302
누구를 위한 법인가? 2 file 2018.05.24 심윤지 10300
박근혜 전 대통령 1심 선고, 징역 24년·벌금 180억 원 file 2018.04.19 허나영 10296
1270차 수요집회-1270번째 대답없는 메아리 2 2017.05.24 이하은 10293
청와대 국민청원 '시작은 좋았으나' 2 file 2018.09.03 김지영 10291
'우리는 독립을 요구합니다!', 카탈루냐의 독립 요구 시위 2019.10.22 신주한 10286
세상은 멈추지 않는다 file 2020.06.26 정미강 1028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