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지구를 살리는 60분, 어스 아워 캠페인

by 3기김영현기자 posted Mar 25, 2016 Views 2109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2016년 3월 19일 오후 8시 30분, 서울 코엑스의 불이 꺼졌다.
세계자연기금(WWF)에서 진행하는 "어스아워(지구촌 전등끄기)"캠페인에 참여한 것 이다.

코엑스_요청_160318_블로그-01.png

[이미지 제공 = 서울 코엑스몰 블로그 http://blog.coex.co.kr/1388]


"어스아워(지구촌 전등 끄기)"캠페인은 민간자연보호단체인?세계자연기금(WWF)에서 심각한 환경오염으로 인한 기후변화로 멸종위기에 처한 동물들을 보호하기 위해 시작한 환경 보전 캠페인이다.
2007년, 호주 시드니에서 처음으로 시작된 이 캠페인은 2015년까지 전 세계 172개국의 7,000개 이상의 도시에서 개인, 기업, 기관 등이 참여하며 현재 세계에서 가장 큰 환경 운동으로 자리 잡았다.

캠페인은 매년 3월 셋째주 토요일 오후 8시 30분부터 9시 30분까지 약 한 시간동안 진행된다.
개인, 기업, 지역 커뮤니티, 단체 등 누구나 참여 가능하며, 불필요한 전등을 끔으로써 탄소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

세계자연기금(WWF)의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지금까지 이 캠페인을 통해 지구의 탄소배출량이 정확하게 얼마나 줄었는지는 알 수 없다고 한다. 이 캠페인의 궁극적인 목적은 단순히 탄소배출량을 줄이는 것 뿐만이 아니라 전 세계사람들에게 기후변화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워 주고 자신들의 생태 발자국에 대해 책임감을 갖으며 지속가능한 환경 보존 운동을 도모하기 위함이라고 한다.

우리나라는 지난 2009년부터 운동에 참여하였다. 서울의 남산타워를 비롯해 63빌딩, 국회의사당, 검찰청사 등 서울의 상징적인 건물들이 1시간 동안 불을 끄고 환경을 보호해왔다.
또한 지난해 한국의 '어스 아워' 운동으로 서울 공공건물에서만 400만㎾의 전력 절감과 소나무 60만 주를 심고 온실가스 1천750t을 감축한 효과가 있었다고 한다.

올해 어스아워 캠페인에 참여한 코엑스몰 관계자는 “어스아워 캠페인에 국내를 대표해 참여하게 돼 뜻 깊다”, “기후변화의 심각성과 자연보호의 필요성에 대해 함께 생각해볼 수 있는 시간이 되기를 바라며, 앞으로도 고객이 참여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자리를 다양하게 마련할 것”이라고 전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 = 3기 김영현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3기김윤정기자 2016.04.05 22:22
    이런 행사가 있다는건 알고 있었는데 구체적으로 언제인지, 몇시부터 몇시까지 인지는 몰랐는데 정확히 알게되었네요! 아쉽게도 이번년도에는 실천하지 못했지만 다음년도에 꼭 실천하도록 해야겠어요! 기사 잘 읽었습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90029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58517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71945
다이지에서 울산 고래 전시간까지...돌고래의 끝없는 고통 3 file 2017.02.28 박설빈 14271
사람 하나 잡는다, 가짜 뉴스가 뭐길래? 5 2017.02.24 김가은 14272
한국 드디어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하나? 김빛내리 교수와 코로나19 바이러스 file 2020.04.24 윤혜림 14275
美서 '북한·러시아·이란' 통합제재안 통과, 각국의 반응은? 3 file 2017.08.09 홍동진 14280
점점 폭력적으로 변해가는 태극기 집회 6 file 2017.02.20 송선근 14343
정치적 비리의 피해자가 된 올림픽 영웅. 6 file 2017.04.01 정예진 14351
키즈 유튜브, 이대로 괜찮은가? file 2019.09.02 선혜인 14358
개성공단은 재가동 되어야 한다 8 file 2016.02.23 조민성 14363
스윙 보터? 게리맨더링? 캐스팅보트? 1 file 2017.06.26 강민 14368
내전의 시련 속에서 한줄기 희망 시라아 민간구조대 ‘한얀 헬멧’ file 2016.08.24 노태인 14376
정부기관 사칭하는 ‘한국청소년역사진흥원’ 등장..네티즌 주의 필요 file 2017.09.04 디지털이슈팀 14378
2월 탄핵 불가능에 촛불이 다시 타오르다! file 2017.02.17 조성모 14390
브뤼셀 테러 발생, IS의 테러는 어디까지 5 file 2016.05.24 정가영 14393
리우올림픽 D-10, 불안한 치안부터 러시아 도핑 논란까지 4 file 2016.07.27 이소민 14407
트럼프 대통령의 반이민 행정명령의 또 다른 의도는 없을까? 2 file 2017.02.15 김채원 14413
[이 달의 세계인] 국제탐사보도언론인협회, 파나마 페이퍼를 공개하다. file 2016.05.24 정가영 14419
대중을 사로잡는 한마디,슬로건 4 file 2017.03.30 강민 14427
청소년을 보호하는 소년법, 개정 혹은 폐지? 4 2017.11.09 박찬영 14431
닭 쫓던 개 신세 된 한국, 외교 실리 전혀 못 찾아 4 file 2016.02.28 이민구 14434
누구의 외교부인가? 4 file 2017.02.25 구성모 14434
아무도 지켜주지 못한, 그리고 모두가 외면한 2 file 2016.06.16 조민성 14451
저출산/고령화현상 이제 무시해서는 안됩니다. file 2017.02.24 신규리 14453
"PARK OUT" 박근혜 탄핵 해외 반응 2 file 2017.03.12 이태호 14461
예상치 못한 북한의 도발, 우왕좌왕하는 트럼프-아베 2017.02.19 장진향 14464
32번째를 맞이하는 2020년 도쿄 올림픽, 과연 예정대로 열릴 수 있을까? 6 file 2020.02.28 장민우 14470
이제는 종이컵이 아닌 리유저블컵 1 file 2019.07.31 방민경 14476
정치인에게 책이란? 4 file 2017.02.23 강민 14478
아이스크림 정찰제, 확신할 수 없는 효과 1 file 2016.08.25 박하연 14479
월드컵으로 경제 한걸음 - 러시아 월드컵 중계와 시장 경쟁 file 2018.07.16 김민우 14492
달라진 미국 비자 발급... 내 개인정보는? file 2019.08.16 유예원 14492
아파트 금연구역 지정, 좀 더 쾌적한 아파트 단지를 만들어요 2 file 2016.07.24 박하은 14495
당신은 알고 있었는가, 학교 비정규직 근로자들의 파업 3 file 2016.06.18 정현호 14500
모두를 경악하게 만든 코로나의 또 다른 습격...해결 방안은? 9 file 2020.08.25 염채윤 14505
당사자인가, 연대인가? 인권운동의 딜레마 file 2018.12.26 김어진 14511
언어는 차별의 결과가 아닌, 시작이다 2 2018.10.12 유형민 14513
코시엘니 사태로 바라본 정당하지 않은 선수들의 태업 file 2019.07.15 이준영 14513
이 ‘데자뷰’의 끝을 다시 써보려 해 5 file 2016.09.16 조민성 14521
격화되는 G2 무역전쟁, 그 위기 속 해결방안은... file 2018.11.20 이유성 14527
렌즈 사용, 우리의 눈은 괜찮을까? 4 file 2019.04.10 오윤주 14532
서울 시내버스 음식물 반입금지조례 "과도한 규제 vs 합당한 대응" 1 file 2018.03.26 정준교 14534
각 나라의 코로나19 대처법은? file 2020.04.09 이채영 14535
학생인권침해에 나타난 학생인권조례, 우려의 목소리 file 2018.07.23 정하현 14539
인천의 구 명칭 변경, 과연 옳은 결정일까? 2 file 2018.01.03 박환희 14542
박근혜, 그녀는 좋은 대통령이었다. 덕분에 국민 대단합 이뤄.. 5 file 2017.04.16 이지연 14547
세월호 4주기, '잊지 않겠습니다.' 2018.04.23 노영석 14555
文 정부가 임용 대란의 해결사라 생각하는 1교실 2교사제란? 2017.11.16 박환희 14564
청소년도 쉽게 보는 심리학: ② 자이가르닉 효과 2 file 2019.02.18 하예원 14581
故백남기 농민 부검영장 강제집행 시도와 철수, 그 이후의 현장 1 file 2016.10.24 박채원 1458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