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지하주차장 LED전등교체공사의 경제적 효과

by 3기박건기자 posted Mar 24, 2016 Views 2368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취재지역 446-715 경기 용인시 기흥구 동백2로 12 (경기 용인시 기흥구 중동 1050) 지하주차장 (중동, 어은목마을코아루아파트)

하나뿐인 지구 - 지구인의 빛 사용법

  

얼마 전 우리 아파트 지하주차장에서 LED전등교체공사를 대대적으로 했다. 아파트지하주차장 전체 공사로 오전과 오후, 차를 주차장에 댈 수 없었고, 주말에도 LED 전등 교체 공사때문이라며, 차를 지상으로 옮겨 주차해달라는 방송이 흘러나왔다.

    

 

20160318_225909.jpg

출처: 아파트 LED공사 중 본인 사진임

 

"친환경적이고 에너지 절감 효과, 아파트 주차장 2600개 교체, 700~800만 원 전기요금 절약

‘전기’ 그리고 ‘에너지’의 소중함이 새삼 크게 느껴지는 요즘, 상상할 수도 없었던 일이다.

24시간 전등을 밝혀야 하는 지하주차장에 형광등을 LED조명등 2600여 개로 바꾸면서 매달 700~800만 원의 전기요금이 절감된다는 사실을 알았다.

 

, LED교체공사를 한 다른 아파트에서는 최저임금제 시행으로 해고 위기에 처한 아파트 경비원의 고용을 보장하기 위해 관내 아파트 지하주차장 전등 교체에 나섰다고 한다. 전등을 전력 소모가 적은 LED(발광다이오드)로 교체해 절감하는 공동전기료를 경비원 급여에 쓰도록 하였다.

뿐만아니라 거리의 상점들 착한 가게에서는 가게의 전등을 LED전등으로 교체한 햇빛 사용법 예도 있었다. 일반 가정집에서도 어려운 이 일을 70군데가 넘는 상가에서 실천하며 절전효과로 전기세가 1/3로 줄였다고 한다. “에너지캠페인이 처음에는 귀찮았다라고 한다.

이 이야기는 이 시대를 사는 우리들이 모두 공감하는 내용이다. 조금만 돌아보면 실천할 수 있는데, 라는 울림을 주었다.

LED란? LED(Light Emitting Diode)로 갈륨비소 등의 화합물에 전류를 흘려 빛을 발산하는 물질을 의미한다. LED 램프는 백열등, 형광등에 비해 소비전력이 적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필라멘트의 높은 온도를 가해 빛을 내는 백열등, 진공 유리관 안에 있는 형광물질로 빛을 내는 형광등의 경우 전기에너지의 10~15% 정도 만이 빛 에너지로 전환되는 반면, LED 램프는 전기 에너지의 약 90%를 빛 에너지로 사용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LED 램프의 소비전력은 백열등의 5분의 1, 형광등의 2분의 1에 불과하다. 즉, 같은 밝기라면 LED가 백열등보다 에너지를 다섯 배 절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LED 램프는 상대적으로 긴 수명을 가지고 있다. LED 조명은 평균적으로 약 15,000시간의 수명을 가지고 있는데 약 1,000시간의 수명을 가진 백열등의 15배에 달하는 수치이다. 비교적 긴 수명을 자랑하는 만큼 유지, 보수 비용을 고려한다면 백열등, 형광등보다 훨씬 경제적인 셈이다.

또한 LED 조명은 형광등에 수은이 들어가 있는 것과는 달리 LED 램프에는 유해물질이 들어가지 않아 친환경적이며, 다른 조명에 비해 깜박임이 적고 광량이 고르며 눈부심이 적어서 눈에 부담이 적다. 피부 손상의 원인이 되는 적외선, 자외선을 포함하지 않는 빛이기 때문에 피부에도 해가 없다.

LED 조명의 쓰임은 우리 일상 생활 속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중 하나가 식물을 기르는 데 쓰이는 것이다. ‘노원 에코팜센터’에서는 태양광이 아닌 LED 조명으로 실내에서 식물을 재배한다. LED는 식물의 광합성에 가장 적합한 파장인 600~700나노미터를 항상 유지하기 때문에 일반 토양에서 60~70일이 걸려 재배되는 상추가 에코팜센터에서는 30일 만에 출하할 수 있다고 한다.

게다가 LED 조명은 방충 효과도 있다. LED는 다양한 파장을 만드는 것이 가능해서 곤충들을 유인할 수 있는 파장의 조명을 설치하면 곤충들을 LED 조명 쪽으로 유인해서 농약을 살포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재 농촌진흥청 등에서 이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정부에서도 LED 조명 보급을 위해 힘쓰고 있는데 2020년까지 조명 전체의 60%를 LED 조명으로 교체하는 'LED 조명 2060 계획'을 추진하면서 공공기관에서도 여러 가지 시설물의 조명을 LED로 바꾸는 추세이다.

일례로 수원시는 팔달문 등 주요 버스정류장에 LED 조명등을 설치하는 버스정류장 개선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광주시는 아파트 지하주차장 조명등을 LED로 교체하는 아파트에 최대 200만 원의 인센티브를 지급할 계획이다.

다양한 분야에서 쓰이는 LED 조명! 지금까지 LED 조명 보급에 가장 걸림돌이 되었던 부분은 바로 높은 가격이다. 하지만 최근 LED 조명 생산 기술이 발전하고 국내 생산 업체들이 늘어나면서 가격이 저렴해지고 있다. 그리고 소비전력을 고려해 본다면 백열등, 형광등에 비해 훨씬 경제적이기때문에 전력도 아끼고 친환경적인 LED 가 지구를 살리는 길이다.

나 하나의 작은 실천이 지구를 위해, 곧 환경을 위해 한걸음 나아갈 수 있는 길이다.

에어컨을 여름에 사용하고 스위치를 생각 없이 꽂아놓으면 대기전력이 소모된다. 에어컨을 사용하지 않는 9~ 이듬해 6월까지 에어컨 전원 코드뽑아 놓기, 집안에서 쓸데없이 냉장고문을 여닫지 말자보단 냉장고의 설정온도를 변경하라고 말한다. 냉동실 -18~-17, 냉장실은 4~5도로 조금 올려도 일반 가정집은 냉장고의 역할을 다할 수 있다.

TV 절전 모드 설정하기 등 한 번 설정만 해두면, 우리가 지구를 위해 녹색실천을 할 수 있다

도시에 사는 우리가 할 수 있는 어쩌면 가장 가치 있는 일일 것이다.

하나뿐인 지구 지구인의 햇빛 사용법

그동안 무심했던 전기사용에 대해 경계심과 작은 실천일 것이다.

우리 집 지하주차장에서 LED전등교체 공사를 할 때 일주일 가량 불편을 느꼈지만, 충분히 감수할 가치가 있었음을 알게 되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경제부=3기 박건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3기박진우기자 2016.03.24 22:37
    저희 아파트 지하 주차장과 현관도 다 LED 램프로 교체했는데 환경에 도움도 되고 경제적으로도 이득이 되고 눈건강에도 좋다니 일석삼조네요.
  • ?
    3기김윤정기자 2016.05.22 10:54
    잠깐의 불편함을 감수하면 환경에도 좋고, 사람들에게도 좋으니 많이 설치되었으면 좋겠네요! 기사 잘 읽었습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96887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64586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77829
프로스포츠에 뿌리박힌 승부조작 3 file 2016.08.24 박민서 17821
중앙선관위, 선거연령 18세로.. 2 file 2016.08.24 안성미 16341
정당방위 적용 범위 개선되어야 file 2016.08.25 조해원 18186
아이스크림 정찰제, 확신할 수 없는 효과 1 file 2016.08.25 박하연 14524
믿을 수 없는 더위에 지쳐가는 국민들 1 file 2016.08.25 이나은 13397
아이스크림 정찰제에 대한 견해 차이 2 file 2016.08.25 이은아 16028
Greatest Fakes, China file 2016.08.25 정채현 52404
사드 배치에 성난 성주, 김천 주민들… “사드가 안전하다면 청와대 앞마당에 놓으세요” 1 file 2016.08.25 유진 15227
숨겨주세요, 여성용 자판기 2 file 2016.08.25 김선아 20286
자나깨나 누진세걱정 ... 집에 에어컨은 있는데,,, 2 file 2016.08.25 이예린 15183
[이 달의 세계인] 알레포의 기적, 옴란 다크니시 file 2016.08.27 정가영 15503
아이에겐 엄격하고 애완견에겐 관대하다 1 file 2016.08.31 김관영 15408
기상이변, 넌 어디서왔니! 4 file 2016.09.01 김나림 14814
잊혀져가는 옥시, 그들의 제품을 다시 찾아보다 5 file 2016.09.11 김수빈 15191
스크린 독과점의 논란, 재시작? 3 file 2016.09.14 손지환 16658
이 ‘데자뷰’의 끝을 다시 써보려 해 5 file 2016.09.16 조민성 14574
폭염이 몰고 온 추석경제부담 2 file 2016.09.23 이은아 16451
한반도를 둘러싼 외교전쟁 file 2016.09.24 이민구 16255
우리나라는 지진으로부터 안전한 나라다? file 2016.09.24 최시헌 16616
여전한 아동노동착취의 불편한 진실 2 file 2016.09.24 노태인 34578
청소년들의 순수한 팬심을 이용하는 엔터테인먼트의 장사술, 이대로? 2 file 2016.09.25 이세빈 16093
공정무역의 가면을 쓴 불공정 무역 4 file 2016.09.25 노태인 54846
김재수 장관 해임건의안 가결로 본 대한민국의 정치 file 2016.09.25 구성모 16740
더 이상 남일이 아닌 지진피해, 우리의 안전은? 2 file 2016.09.25 김혜빈 15265
사재기, 보이지 않는 검은 손 2 file 2016.09.25 강하윤 15821
상인들의 시장문화도 바꾸어버린 김영란법 2 2016.09.26 류보형 14132
죽어서도 편히 쉴 권리, 반려동물에게도! 2 file 2016.09.30 박채원 14283
김영란법에 대해 알아보자 7 file 2016.10.02 천주연 16179
경기도 야간자율학습 폐지 찬반논란 1 file 2016.10.23 박채운 17803
흉물속의 리그 file 2016.10.23 한종현 19576
복지를 통해 부의 불균형을 해결한다? file 2016.10.24 장은지 16986
故백남기 농민 부검영장 강제집행 시도와 철수, 그 이후의 현장 1 file 2016.10.24 박채원 14627
18호 태풍 차바, 울산 태풍피해 심각 3 2016.10.24 김현승 17895
'우리가 백남기다', 백남기 농민 추모대회 2016.10.24 박하연 17201
청소년들의 언어사용 실태 5 file 2016.10.25 김나연 67686
통장개설 제한만이 과연 대포통장을 막을 수 있는 해결방안인가 file 2016.10.25 조해원 22921
위험천만 승용차 등하교길 그리고 해결방안 file 2016.10.25 류나경 17457
중학교에 전면 시행된 자유학기제, 현 주소는? 2 file 2016.10.25 신수빈 16406
태풍 18호 차바의 영향을 살펴보자 file 2016.10.25 김규리 18136
"국가가 살인했다…" 경찰 물대포 맞고 쓰러진 백남기 농민 사망 file 2016.10.25 유진 23824
더이상 한반도는 안전하지 않다, 계속되는 여진, 지진대피요령은? 3 file 2016.10.30 김영현 18505
언론출판의 자유 2 file 2016.11.03 유승균 17710
한마음으로 뭉친 시민들의 광화문 집회 1 file 2016.11.06 김관영 18077
20만이 외친다! 박근혜는 하야하라 4 file 2016.11.06 박채원 16819
더 빈곤해지는 노인 3 file 2016.11.09 임지민 16326
'박근혜는 하야하라!'전국에서 타오르는 열기, 광주 촛불 집회 2 file 2016.11.12 박하연 19602
[종합] 광화문광장, 100만 촛불 들어서다 file 2016.11.12 이지원 17678
수능, 마지막이자 새로운 시작 4 file 2016.11.17 서지민 1718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