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정부와 부산시는 당장 영화인들을 향한 횡포를 멈추십시오

by 3기기자이강민 posted Mar 19, 2016 Views 1536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부산국제영화제 지난 2014년 <다이빙벨> 상영 후 지속적인 정치적 압박 받아..

영화계도 정공법으로 대응.. 정치계VS영화계 그 결말은..

800px-Opening_ceremony 부국.jpg

 ▲2009년 부산국제영화제의 화려한 개막 (위키미디아,구글)


 부산국제영화제는 한국 영화의 발상지인 부산을, 영상문화의 중앙 집중에서 벗어나

 지방 자치시대에 걸맞은 문화예술의 고장으로 발전시키고자 기획된 영화제이다.

 1996년 제 1회를 시작으로 올해로 21주년을 맞는 부산국제영화제는 서구에 억눌려 있던

 아시아 영화인의 연대를 실현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북한과의 영화교류 모색, 오리엔탈리즘 극복, 아시아 영화의 발굴과 세계화를

 앞으로 풀어 나가야 할 숙제로 삼고 있으며 매년 다양한 행사와 영화 상영으로

 전 세계인들의 주목을 받아 세계 7대 영화제로 손 꼽힌다.

 그런데 이 부산국제영화제가 위기를 맞고 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지난 2014년 부산국제영화제에서 세월호 참사에 관한 다큐멘터리 영화

 <다이빙벨>을 상영예정작으로 선정하자 부산시는 다이빙벨의 상영을 취소하라는

 압력을 넣었고 국제영화제가 이 압력을 수용하지 않고 상영을 강행하자

 부산시 측에서는 국제영화제에게 엄청난 보복을 가하고 있다.


 영화제 종료 한달 뒤 감사원과 부산시는 부산국제영화제에 감사를 착수했고

 이용관(이하 이 위원장) 부산국제영화제 집행위원장에게 사퇴를 압박했으며

 최우수의 평가를 받은 영화제의 지원금을 절반으로 줄여버렸다.

 이 위원장 외 2인의 위원장마저 무더기로 검찰 고발했으며

 이로인해 이 위원장의 연임은 불투명해졌고 사실상 해촉을 당했다.


 이에 봉준호 영화감독은 "특정영화를 빼라는 것은 30년 된 명가 식당의 육수에서

 어떤 재료를 빼달라는 것"이라며 부산시의 압박과 횡포를 전면적으로 비판했다.

 이용관 위원장은 "영화계의 상영작 선정은 프로그래머들의 고유한 권한이며

 누구도 관여하지 않는 것이 부산국제영화제가 고수해 온 방침"이라며 부산시의 압력에

 굴하지 않겠다 라는 굳은 의지를 보였다.


 예산삭감과 이 위원장의 해촉으로 잊혀져가던 부산국제영화제 파행이 지난

 16일부터 부산지방법원이 국내 영화인들에게 우편물을 보내기 시작하면서 재점화되기 시작하였다.

 부산시가 부산국제영화제 자문위원 선임 효력 정지 가처분 신청을 낸 것에 따른것이다.

 우편물을 받은 영화인들은 하나같이 부산시의 소송이 어처구니가 없다는 반응을 보였고

 모 부산영화학과교수협의회 대표는 "막장드라마도 이런 막장드라마가 없다"라며 비판했다.


 이 사건의 본질은 표면적으론 부산시와 영화인들의 싸움으로 보이지만, 실은 정치적인 외압으로

 시작된 행정 권력의 오만에 있다.

 끝내 부산시는 이 문제를 영화인들을 상대로하는 법정싸움까지 끌고 간 것이다.

 부산시는 겉으론 영화제 파행을 원치 않는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지만 여전히 영화계가

 요구하는 독립성을 보장하지 않겠다는 태도로 일관하고 있다.


 영화계 역시 이미 정치적인 논란으로 부산영화제의 위상이 크게 추락한 만큼 사실상 부산시를

 대변인으로 앞세운 정부의 간섭을 더는 용납할 수 없다는 태도를 취하고 있다.

 이용관 집행위원장 해촉 이후 부산시 예산이 절반 혹은 그 이상 줄어들어 자체적으로

 거리에서 치르는 한이 있더라도 부당한 간섭을 인정하지 않겠다는 분위기이다.


 문화와 예술에 있어 독립성이 보장된다는 것은 무척이나 중요하다.

 특히 특정 권력에 의해서 작품에 공격이 가해진다면 더더욱 용납될수 없는 사안이다.

 그런데 이러한 기본 상식마저도 대한민국이라는 이 나라에선 통용되지 않고 있다.

 국가권력의 힘을 빌려 다른 관점의 문화와 예술을 시장에서 부당하게 억누르려고 한다면

 이는 북한과도 별 다를게 없다.


 부산 서병수 시장을 비롯한 부산시와 이를 대리인으로 내세워

 부산국제영화제를 전면압박하고 있는 이 잔인한 정부는 당장 부산국제영화제를 향한

 압박과 횡포를 멈추고 실추된 부산국제영화제의 위상을 되찾아야할 필요가 있다.


(위의 이미지는 비상업적인 용도 이미지와 허가된 이미지만을 사용했음을 밝힘)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 3기 이강민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3기 2016.03.21 22:51
    이런 일이 있다는 것을 모르고 있었어요. 제 생각에는 예술이 누군가에게 압박을 받는다는것. 상식적으로 이해가 가지않아요. 예술적인 축제에서까지 이러한 횡포와 압력이 있었다는 것이 신기할따름이네요..
  • ?
    3기김윤정기자 2016.05.22 11:15
    이런 문제가 있는줄을 몰랐네요.. 나름 영화와 다양한 영화제에 관심이 있는 편이라고 생각했는데..! 기사 잘 읽었습니다..ㅠㅠ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92568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60872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74155
프로스포츠에 뿌리박힌 승부조작 3 file 2016.08.24 박민서 17794
중앙선관위, 선거연령 18세로.. 2 file 2016.08.24 안성미 16292
정당방위 적용 범위 개선되어야 file 2016.08.25 조해원 18132
아이스크림 정찰제, 확신할 수 없는 효과 1 file 2016.08.25 박하연 14498
믿을 수 없는 더위에 지쳐가는 국민들 1 file 2016.08.25 이나은 13371
아이스크림 정찰제에 대한 견해 차이 2 file 2016.08.25 이은아 16001
Greatest Fakes, China file 2016.08.25 정채현 52376
사드 배치에 성난 성주, 김천 주민들… “사드가 안전하다면 청와대 앞마당에 놓으세요” 1 file 2016.08.25 유진 15211
숨겨주세요, 여성용 자판기 2 file 2016.08.25 김선아 20246
자나깨나 누진세걱정 ... 집에 에어컨은 있는데,,, 2 file 2016.08.25 이예린 15163
[이 달의 세계인] 알레포의 기적, 옴란 다크니시 file 2016.08.27 정가영 15476
아이에겐 엄격하고 애완견에겐 관대하다 1 file 2016.08.31 김관영 15375
기상이변, 넌 어디서왔니! 4 file 2016.09.01 김나림 14787
잊혀져가는 옥시, 그들의 제품을 다시 찾아보다 5 file 2016.09.11 김수빈 15165
스크린 독과점의 논란, 재시작? 3 file 2016.09.14 손지환 16614
이 ‘데자뷰’의 끝을 다시 써보려 해 5 file 2016.09.16 조민성 14541
폭염이 몰고 온 추석경제부담 2 file 2016.09.23 이은아 16419
한반도를 둘러싼 외교전쟁 file 2016.09.24 이민구 16226
우리나라는 지진으로부터 안전한 나라다? file 2016.09.24 최시헌 16575
여전한 아동노동착취의 불편한 진실 2 file 2016.09.24 노태인 34547
청소년들의 순수한 팬심을 이용하는 엔터테인먼트의 장사술, 이대로? 2 file 2016.09.25 이세빈 16052
공정무역의 가면을 쓴 불공정 무역 4 file 2016.09.25 노태인 54789
김재수 장관 해임건의안 가결로 본 대한민국의 정치 file 2016.09.25 구성모 16698
더 이상 남일이 아닌 지진피해, 우리의 안전은? 2 file 2016.09.25 김혜빈 15237
사재기, 보이지 않는 검은 손 2 file 2016.09.25 강하윤 15801
상인들의 시장문화도 바꾸어버린 김영란법 2 2016.09.26 류보형 14102
죽어서도 편히 쉴 권리, 반려동물에게도! 2 file 2016.09.30 박채원 14254
김영란법에 대해 알아보자 7 file 2016.10.02 천주연 16148
경기도 야간자율학습 폐지 찬반논란 1 file 2016.10.23 박채운 17771
흉물속의 리그 file 2016.10.23 한종현 19543
복지를 통해 부의 불균형을 해결한다? file 2016.10.24 장은지 16966
故백남기 농민 부검영장 강제집행 시도와 철수, 그 이후의 현장 1 file 2016.10.24 박채원 14592
18호 태풍 차바, 울산 태풍피해 심각 3 2016.10.24 김현승 17852
'우리가 백남기다', 백남기 농민 추모대회 2016.10.24 박하연 17164
청소년들의 언어사용 실태 5 file 2016.10.25 김나연 67648
통장개설 제한만이 과연 대포통장을 막을 수 있는 해결방안인가 file 2016.10.25 조해원 22887
위험천만 승용차 등하교길 그리고 해결방안 file 2016.10.25 류나경 17426
중학교에 전면 시행된 자유학기제, 현 주소는? 2 file 2016.10.25 신수빈 16357
태풍 18호 차바의 영향을 살펴보자 file 2016.10.25 김규리 18104
"국가가 살인했다…" 경찰 물대포 맞고 쓰러진 백남기 농민 사망 file 2016.10.25 유진 23779
더이상 한반도는 안전하지 않다, 계속되는 여진, 지진대피요령은? 3 file 2016.10.30 김영현 18482
언론출판의 자유 2 file 2016.11.03 유승균 17683
한마음으로 뭉친 시민들의 광화문 집회 1 file 2016.11.06 김관영 18041
20만이 외친다! 박근혜는 하야하라 4 file 2016.11.06 박채원 16796
더 빈곤해지는 노인 3 file 2016.11.09 임지민 16264
'박근혜는 하야하라!'전국에서 타오르는 열기, 광주 촛불 집회 2 file 2016.11.12 박하연 19564
[종합] 광화문광장, 100만 촛불 들어서다 file 2016.11.12 이지원 17654
수능, 마지막이자 새로운 시작 4 file 2016.11.17 서지민 1714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