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간통죄 폐지 이후 1년, 달라진 것은?

by 3기한서경기자 posted Feb 25, 2016 Views 1659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주홍글씨.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3기 한서경 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주홍 글씨"는 남편이 있는 헤스터와 목사 딤스데일이 불륜을 저지르면서 벌어지는 이야기이다. 헤스터는 불륜이 밝혀지며 평생 동안 불륜을 뜻하는 Adultery의 약자 A를 가슴에 달고 살아야 한다. 간통은 죄로 여겨졌다.

2월 26일은 간통죄가 폐지된 지 1년이 되는 날이다. 일명 "주홍글씨 법안"이라고도 불리는 간통법 조항 '배우자가 있는 사람이 간통하면 2년 이하의 징역에 처한다'는 위헌 결정을 받았다.

이유는 결혼과 성에 관한 국민 의식이 변했고, 세계적으로 간통죄가 폐지되는 추세이며, 혼인과 가정의 유지는 형벌로 강제할 수 없는 것이므로 간통죄 조항은 성적 자기결정권과 비밀보장을 침해한다는 것이었다. 결혼과 성 문화가 개방적으로 바뀌는 추세를 반영한 것이다.

이후 사람들의 간통죄로 형사 처벌을 받지 않으니 불륜과 이혼 소송이 급증할 것이라고 예상했고, 간통죄 폐지 직후 콘돔 제조사 주가가 올라 이 예상을 나타내주는 듯 했다. 하지만 전년도에 비해 이혼 소송 접수가 4% 줄었다. 별로 변화가 없었다는 것이다. 이미 간통죄 폐지 전 간통죄를 증명하는 절차가 까다로웠기 때문에 별로 효력이 없었고, 법원이 혼인파탄의 원인제공자가 이혼 소송을 신청할 수 없는 '유책주의' 입장을 고수하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하지만 흥신소의 불륜 조사 의뢰는 30% 늘었다. 간통은 이제 형사적인 처벌을 받을 수 없으므로 실제 불륜을 저질러도 형사상 기록이 남지 않으니 '죄'라는 인식이 줄었고 죄책감을 느끼지 않는 사람도 늘었다고 한다.

손해배상 강도는 높아질 것이라고 예상했지만, 실제 받는 위자료는 최대 3000만원으로 달라진 것이 없었다. 실제 간통 피해자와 그 가족들이 적절한 금전적 보상을 받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결혼은 서로간의 약속이다. 부부끼리 '함께 사는 것' 이상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간통은 이혼이라는 합법적인 절차를 거치지 않고 상대 배우자의 신뢰를 깬 것이다. 간통 피해자는 적절한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보호 조치가 필요해보인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3기 한서경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 2016.02.26 08:58
    배우자는 제2의 부모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배우자의 의미가 큰 나라가 대한민국이 아닐까 싶습니다. 간통죄 폐지 이후 다시 부활하게 될 줄 알았는데 의외로 큰 이변이 생기지 않아 조금 놀랍기도 한 것 같습니다. 마지막에 하신 말씀처럼 간통 피해자는 적절한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보호 조치가 더 확대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
    3기박준수기자 2016.02.26 12:46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3기이상훈기자 2016.02.26 20:42
    폐지 당시 논란이 많았죠. 부부라는 관계 속에서 서로에게 신뢰를 줄 수 있으면 좋겠네요. 좋은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3기김윤정기자 2016.02.27 00:32
    서로를 진심으로 사랑해서 결혼한 만큼 서로를 더 아끼고 사랑해주면 좋겠네요 ㅠㅠ 제 배우자가 그런다면 정말 화날거같아요..
  • ?
    4기이채린기자 2016.02.27 22:09
    맞는 말인 것 같아요. 대한민국이란 나라에서 배우자의 의미는 큰데, 대한민국의 결혼 절차가 너무 간단해서 까딱하면 바로 결혼이 된다는 점이 결혼의 신뢰를 파괴하는 것 같아요~ 간통죄 폐지 당시에는 논란이 엄청 일었는데, 큰 변화가 없다니 다행이네요. 잘 읽고 갑니다! 수고하셨어요!
  • ?
    3기목예랑기자 2016.02.28 10:57
    간통죄 폐지 이후에 대해서는 잘 알지 못했었는데 참 신기하네요!
    기사 잘 읽고 갑니다:)
  • ?
    3기이은경기자 2016.02.28 23:15
    간통죄 폐지 이후 오히려 간통으로 이혼하는 사례가 줄었다고 하는데 어떤 게 좋은 건지는 겪어봐야 아는 거 같아요 좋은 기사 잘 읽었습니다 ㅎㅎ
  • ?
    4기 조은아 기자 2016.02.29 09:07
    성적 자기결정권과 비밀보장을 주장하기 전에 서로에게 믿음을 약속한 배우자에 대한 예의와 가정에 대한 의무를 먼저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기사 잘 읽었습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97602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65232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78475
저출산 문제, 이대로 괜찮을까...? file 2019.03.26 강민성 9380
선거인단, 그게 무엇일까? 2 file 2020.11.19 김나희 9357
의학적 홀로코스트, 코로나19 위기에 빠진 한국을 구해줄 K 방역 1 file 2021.01.18 김나희 9355
희망을 주는 무료 급식소와 취약계층의 피해... file 2020.02.12 정다현 9354
코로나19의 분야별 피해 현황과 그 해결책은? file 2020.03.02 전지영 9351
새로운 경제 정책, 대한민국을 바꿀 것인가 1 file 2017.07.25 홍은서 9349
코로나가 환경을 살리다?_떠오르는 환경이슈 1 2020.04.14 남지영 9345
미래 배달사업의 선두자; 드론 file 2018.12.24 손오재 9344
대륙이 손을 폈다, 하지만 이제 시작일 뿐 file 2017.03.26 김지한 9341
닌텐도 스위치의 가격 폭등 file 2020.05.27 백진이 9336
대한민국 교육정책, 장미대선으로 뒤바뀌다. 1 file 2017.06.24 윤은서 9334
'한강 사건 타살 가능성 낮다'라는 전문가에게까지 근거 없는 억측 file 2021.06.03 박지훈 9332
“다시 시작하는 대한민국” 2 file 2017.05.13 한지선 9330
필리핀 네티즌, 한국을 취소하다? 1 file 2020.09.15 황현서 9328
촛불과 함께한 모든 날이 좋았다. file 2017.03.20 김윤영 9328
국민청원이 병들어간다 2 2018.08.27 지선우 9325
김종천 청와대 의전비서관 음주운전 적발 file 2018.11.29 김도영 9324
젊은 층이 관심을 두는 투자, 비트코인은 건강한 투자인가? file 2021.03.30 조민서 9319
윤석열 대통령 당선에 대한 각국의 반응은? file 2022.03.21 이유진 9312
교육부, 대학 개강 시기 "4주 이내 조정 권고" file 2020.02.12 박가은 9312
최악의 폭염, 얼마 남지 않은 골든타임 1 file 2019.01.29 김사랑 9312
'최대 산유국, 이상적인 무상복지국가, 미인 강국'의 몰락 2021.03.29 김민성 9302
코로나 사태로 인한 총선 판도의 변화 2020.04.13 김경민 9298
모두 마스크를 쓰세요, 코로나바이러스 5 file 2020.02.20 이도현 9297
해양 쓰레기 증가, 바다도 아프다 2020.09.28 이수미 9294
대한민국의 탄핵 사태,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2 file 2017.03.23 박수민 9294
아파트 근처에 있는 코로나 선별진료소 과연 괜찮을까? file 2020.03.05 김묘정 9291
운치 있는 해안가 산책로, 쓰레기 투기 빗발친다 file 2020.03.02 이승연 9291
치명률 30% 메르스 우리가 예방할 수 있을까? 1 file 2018.09.28 박효민 9291
우주의 탄생, 작은 점이 폭발하다 1 file 2019.01.31 김가영 9279
미국에서 일어난 시위와 폭동, 'Black Lives Matter' 1 2020.06.16 허예진 9277
지역구 득표율로 바라본 제21대 총선 결과 file 2020.04.27 위동건 9277
북미회담의 결과는 어떻게 될까 1 file 2018.06.05 양희원 9261
기록적인 폭염속에..정부 누진제 개편안 발표 2018.09.03 신유빈 9259
미얀마의 외침에 반응하고 소통하다 file 2021.03.18 김민주 9253
대한민국 국민과 언론이 타협하여 찾은 진실, 미래에도 함께하길... file 2017.03.25 김재원 9249
시진핑, 장기집권의 길을 열다: 중국 공산당 100년 역사상 3번째 '역사결의' file 2021.11.22 황호영 9245
재건축 규제 완화 공약...강남 집값 상승 전환 file 2022.03.28 송경원 9234
또 다른 재난, 미세먼지 file 2018.11.30 서민석 9226
탄핵 이후, 해결해야 할 과제! file 2017.05.13 양수빈 9217
전세계가 랜섬웨어에게 공격당하고 있다. 2017.07.24 최민영 9215
인도 발전의 주역, 바지파이 전 인도 총리 별세 file 2018.08.27 서은재 9213
고 김용균, 비정규직의 안타까운 죽음을 애도하다 file 2019.01.28 최경서 9210
'시간은 흘러도 그때 그 마음 그대로' 촛불집회 2주년 기념 file 2018.10.30 장민주 9207
소년법 개정되나? file 2020.06.19 이지우 9203
문대통령 '사드 합의 공개' , 한·미 정상회담에 미칠 영향은? file 2017.06.26 곽다영 9192
5.18 망언 3인방과 추락하는 자유한국당 file 2019.03.04 정민우 9191
왜 그것은 말할 수 없는 비밀이 되었는가? 2 2018.01.29 김민소 919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