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달! 달! 무슨 달! 쟁반같이 둥근 달!

by 3기기자조민성 posted Feb 25, 2016 Views 1818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취재지역 405-734 인천 남동구 호구포로 803 (인천 남동구 구월동 24) 공원 (구월동, 롯데캐슬골드2단지)

얼마 전에 지나갔던 정월대보름에 뜬 보름달은 잘 보셨나요? 많은 사람들이 정월대보름에는 1년 중 가장 큰 달이 뜬다고 생각하고 있는데, 사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먼저, 정월대보름은 음력 1월 15일로 음력으로 새해의 첫 보름달이 뜬다는 뜻 입니다.


보름달 사진 2016. 2. 24.pn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3기 조민성기자]


특별한 보름달의 종류에는 슈퍼 문 (Super Moon) 과 미니 문 (Mini Moon) , 그리고 블루 문 (Blue Moon) 이 있습니다. 이 외에도 개기 월식, 개기 일식 등 달과 관련된 신기한 현상들이 많이 있습니다.


먼저 슈퍼 문은 달이 지구와 가장 가까워졌을 때 보름달이 뜰 경우인데요, 이 경우에는 달이 평소보다 더 밝고 크게 보이는 현상이 나타납니다. 지구와 달 사이의 평균적인 거리는 약 38만 4000km 인데, 슈퍼 문은 약 35만 7000km 로 가까워지게 됩니다. 슈퍼 문이 뜰 경우 달과 지구의 거리가 가까워지면서 인력이 강해집니다. 그래서 밀물과 썰물차가 평소보다 19% 정도 더 커집니다. 하지만 지진이나 해일 등의 자연재해는 없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슈퍼 문은 13달에서 14달에 한 번씩 나타나고, 가장 최근에 일어났던 것은 2015년 9월 28일 이었습니다. 이 때 슈퍼 문을 보지 못 하셨다면 다음 기회인 2016년 11월 14일 에는 꼭 보시길 바랍니다.


또한, 미니 문은 슈퍼 문과는 반대되는 현상으로 달이 지구와 가장 멀어졌을 때 보름달이 뜨는 경우입니다. 미니 문이 뜰 경우 지구와 달 사이의 평균 거리는 약 40만 6000km 로 가까워집니다. 그래서 미니 문은 평상시의 달에 비해 더 작게 보입니다. 슈퍼 문은 미니 문보다 30% 정도 더 밝고, 13% 정도 더 크게 보인다고 합니다.


마지막으로 블루 문 입니다. 블루 문은 이름처럼 푸른 색이 아닙니다. 블루 문은 양력 날짜로 한 달에 달이 두 번 뜨는 현상으로, 두 번째로 뜬 달을 일컫습니다. 달의 공전 주기는 29.5일 이지만 한 달은 30, 31일 입니다. 그래서 양력 날짜로 1일이나 2일에 보름달이 뜬다면 그 달의 30일 이나 31일에 보름달이 다시 뜨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블루 문은 약 2.7년에 한 번 씩 나타납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 = 3기 조민성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3기박지영기자 2016.02.26 00:50
    달에 대해 자세하게 알 수 있어서 좋았어요:-)
  • ?
    4기김예지기자 2016.02.26 14:14
    정월대보름에는 당연히 오곡밥을 먹고 달이 가장 크게 뜨는 줄 알았는데 새로운 사실을 알게되어서 기쁘네요!
  • ?
    3기안세빈기자 2016.02.26 18:00
    아! 그렇군요! 이때 까지 잘못알고 있었네요...좋은정보 감사합니다~
  • ?
    3기전재영기자 2016.02.28 22:22
    보름달에도 많은 종류가 있었네요. 이 기사 덕분에 정원대보름에 뜨는 보름달에 대해서 정확하게 알게 되었어요. 그냥 보름달도 좋지만, 슈퍼문, 미니문, 블루문도 다 보고 싶어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
    3기이은경기자 2016.02.28 22:39
    블루문이 왜 파란색이 아닌지 항상 궁금했었는데 이제 잘 알게 된거 같아요!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ㅎㅎ
  • ?
    6기강예린기자 2016.02.29 16:00
    보름달에도 미니문 블루문 슈퍼문 등의 종류가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 ?
    3기권주홍기자 2016.02.29 18:33
    기사잘읽었습니다! 어서 슈퍼문을 다시볼 기회가 왔으면좋겠네요
  • ?
    3기 2016.03.05 14:34
    보름달의 종류에도 정말 다양한 달의 모양이 많네요. 많은 관심이 없었는데, 기사를 읽고 조금은 이해가 가고 신기한 점들을 배울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저같은 경우에는 과학이 좀 어려워서, 자연현상이나 위성, 우주의 현상들에 관심을 가지려고 노력을 해본적이 별로 없어요. 그런데 조금만이라도 배운다면 굉장히 재미있을거 같아요. 직접 밤하늘을 보면서 달을 관찰해봐야겠어요 :)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676070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673724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094405
청소년 모의유엔, 이젠 VIVIDMUN에서 만나요! 2017.06.24 황보민 27391
청소년 댄스 밴드 경연대회 PUNK&DREAM! 1 2017.06.14 조성민 18949
청소년 기후활동가 에코디자이너, 업사이클링 작품 전시회 개최 file 2022.12.09 이지원 8455
청라국제도시의 새로운 교통망, GRT 2 file 2018.02.28 고동호 17886
청년희망적금 걱정 잇따라.. 1 file 2022.03.28 박서빈 16787
청년의정, 7월 30일 의정부 청년센터에서 ‘도보 7분 쉐어하우스’ 낭독극 개최 file 2022.07.29 이지원 8917
청년의날 축제, 여의도공원서 성황리 마무리 file 2023.09.30 박도현 5098
청년을 위한 행사, '제1회 청년의 날' 기념식 file 2020.09.28 황지우 10851
청년들이 제작하는 국내 최초 환경 용어 뉴스레터, '이유있는 기후식' 2021.11.30 지혜진 14124
청년들이 세상을 바꾼다! 제5회 '청년의 날' 축제 개최 file 2021.11.08 최우석 8912
청년들의 꿈과 희망을 키워줄 'MBN Y 포럼 2019' 2019.02.12 오승엽 13776
청년들에게 희망을, 서울 밤도깨비 야시장 2017 1 file 2017.11.06 오소현 16363
청년 예술가를 찾아서! file 2021.09.27 김동은대학생기자 11076
청년 실업 대란 속 일본과 한국의 프리터족 file 2018.08.08 이승철 17229
청년 수당, 본격 시행되다 file 2017.05.24 송다원 13054
첫 '남녀부 분리 운영'의 V-리그, 무엇이 달라졌을까 1 file 2018.11.12 김하은 14596
첨단 의과학캠프의 현장으로 file 2017.08.12 김민지 12562
천헤의 속살, 천지연 폭포를 바라보다 file 2016.06.12 박도은 15836
천진 모의유엔 2019 file 2019.11.22 김수진 18608
천재교육, 그 이념과 목표의 깊이에 대해 알아보다. file 2017.05.25 김해온 16626
천왕동청소년문화의집, 서울오케스트라와 업무협약 체결 file 2023.03.07 디지털이슈팀 7518
천안에 도시락 배달 천사들이 떴다! 1 2017.08.25 오세민 15258
천안시, 빵의 도시를 위한 새로운 발돋움...베리베리 빵빵데이 개최 file 2023.03.24 박상연 6537
천사가 될 수 있는 가장 따뜻하고 든든한 방법? 10 2017.03.03 하영서 16532
천년의 역사 속 무지개 행렬, 전주 퀴어 문화 축제 file 2018.04.20 김수인 15747
천고마비의 계절, 독서와 함께 마음을 살찌우자! 2 2017.10.31 홍서영 13280
처음으로 부산에서 열린 2016-2017 KCC프로농구 올스타전! 3 file 2017.01.22 김다정 18553
책읽어주는 언니오빠와 함께 알아가는 책 읽는 즐거움 1 file 2017.02.22 곽문주 15137
책의 도시, 군포시! file 2014.10.23 이효경 22928
책을 꾸준히 읽을 수 있는 좋은 습관, '독서 마라톤' 4 file 2017.03.11 최영인 19547
책으로만 본 국회의사당, 직접 만나보세요! 7 file 2017.02.08 김수오 17188
책으로 떠나는 '언택트 피크닉' 5 file 2021.02.25 정다빈 14116
책소개 - 미움 받을 용기 1 file 2016.09.26 이지은 17385
책나눔터가 뭔지 알아? 4 file 2017.03.01 김경민 15096
책과 함께, 경의선 책거리 file 2018.05.30 최금비 14088
책과 과학의 만남 1 file 2022.02.14 현예린 9599
책가방 대신 카메라를 메고 교실 밖으로 나온 여고생 슬구를 아십니까? 2 file 2016.05.27 김윤정 16300
책 <조선 국왕의 일생>을 통해 조선시대 왕들의 삶을 보다 file 2018.12.03 이태권 15585
채식으로부터 오는 모든 것 file 2019.03.20 김지현 18030
창조경제 도시 포항, 포항운하로 여행을 떠나요~ file 2016.07.25 권주홍 14247
창원서, '전국특례시시장협의회' 개최 file 2021.04.26 김진영 9745
창원 시민들의 화합의 장 '제15회 창원야철마라톤대회' file 2019.04.18 민서윤 16075
창문으로 넘어오는 담배 냄새 싫어요! 1 file 2017.08.29 김예닮 27818
창동 예술촌으로 놀러오세요~ file 2016.04.02 이서연 15900
참외씨, 먹어야 할까? 2017.07.25 박수연 17753
참여와 소통을 통한 화합의 장을 마련하다, '2017 오송읍 주민화합 한마음 축제' file 2017.06.13 김다빈 15219
참신한 최신 스마트기기가 궁금하다면 스마트 디바이스 쇼로! file 2017.08.16 이승아 13965
참된 되살림의 현장, 안양 교복은행 나눔장터 3 file 2017.02.18 김효림 1752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