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전북도립미술관서 현대미술 '그러모은 풍경'전 열려

by 진요한대학생기자 posted Jan 22, 2024 Views 419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KakaoTalk_20231225_170215274_08.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진요한 대학생기자]


전북도립미술관 제1, 2전시실에서는 이의주 작가의 '그러모은 풍경' 이 개최됐다. ‘그러모은이란 사람이나 사물을 거두어 한곳에 모은다는 뜻으로, 사진과 같이 정확한 장면을 화폭에 옮겨내는 오차 없는 풍경이 아닌 사실적 표현을 함의하여 대상의 핵심과 순간적인 인상만을 그러모은 풍경이 이번 전시의 핵심 가치라고 한다.

 

이의주 작가는 19266월 전라북도 남원에서 태어나 1949년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제1기생으로 입학하였고, 1960<온실의 여인>이라는 작품으로 대통령상을 수상했다. 이후 부산대학교, 동아대학교 학장을 역임하며 후학 양성에 힘쓰고, 사생 미술 단체의 지도를 맡으며 여생을 보내다 20008월에 향년 74세로 타계했다.

 

KakaoTalk_20231225_170215274_16.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진요한 대학생기자]


3~5 전시실에서는 <가운데 땅 이야기 : Kazakhstan all the Time> 이 개최됐다. 13명의 작가가 총 97점의 작품을 내놓은 전시로, 카자흐스탄 국가를 비롯한 모든 헐벗은 삶의 이야기를 경청하고, 조금 더 다정한 미래를 상상해 보고자 기획된 전시이다


전시 제목에 등장하는 가운데 땅이라 함은 소설 작가 J.R.R. 톨킨의 창작 세계의 근간이 되는 상상의 장소로, 다양한 존재들이 연대하며 살아가는 영토이다


이번 전시는 카자흐스탄이라는 거대한 가운데 땅위에서 예술을 초점으로 기존에 구축된 우리를 가두는 체제들을 의심하고, 다시금 삶을 향해 거슬러 올라가는 용기를 내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전시의 작가들은 자국의 정치·경제·사회적 현안을 비롯하여 전 지구적 차원의 구조적 문제를 각자의 조형 언어로 말하고 있다. 일부 작품은 관객들이 직접 체험으로 만질 수도 있다한편 두 작품전은 오는 310일까지 개최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7기 대학생기자 진요한]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667091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664701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084466
대한민국에서 여자로 태어난 '82년생 김지영'의 고통 2 file 2017.05.25 이세림 18782
우리가 곧 현실이라는 것을 알려준 【스마트 디바이스 쇼 2017】 2017.08.17 권오현 18773
I Marymond You; 일본군 '위안부' 문제해결을 위한 하나의 움직임 3 file 2017.03.05 김가빈 18772
꿈의 나노소재, 그래핀 1 file 2018.08.20 박효민 18766
서울 송파구 석촌호수, 9일간 벚꽃길을 펼치다 2 file 2017.03.30 박재완 18761
차근차근 알아보는 2017년의 IT 트렌드 file 2017.09.13 한동엽 18753
청소년의 방학, 휴식 시간인가? 4 file 2017.08.27 박재현 18750
[클래식 음악 소개] 쇼팽 3 file 2017.09.18 김기현 18749
느껴보자! 울릉도의 맛과 멋 그리고 즐거움까지 2 file 2017.08.11 정은희 18747
세계 최대 규모 해킹대회 '코드게이트' 성황리에 마무리 3 file 2017.04.23 김지환 18747
작지만 큰 나라, 대만 3 file 2016.03.21 조혜온 18745
2019 양산웅상회야제 file 2019.06.03 김서현 18740
서울의 얼굴 광화문, 그 색상을 찾아서 file 2017.08.29 김태헌 18738
환경을 생각하는 텀블러, 리유저블 텀블러 4 file 2019.10.24 박효빈 18735
밝은 미래를 향한 노력의 중심, 제4회 국제전기자동차엑스포 2 file 2017.03.28 신온유 18735
소프트웨어의 시대가 열리다! 아두이노와 앱인벤터를 이용하는 사람들 file 2017.08.09 박서영 18730
어린이 화장품 출시, 과연 옳은 일인가? 16 file 2017.01.23 안수현 18730
어서와, 펜팔은 처음이지? file 2016.05.24 김은진 18721
아시아 문화의 메카! 국립아시아문화전당! 7 file 2016.03.01 이봉근 18720
[ 삼일절 ] 그날의 함성을 재현하다 5 file 2016.03.02 황지연 18716
봄의 향기를 담은 매화마을-‘매곡동’ 6 file 2016.02.23 유성훈 18714
미래 과학기술을 이끌 연구의 장, 제64회 전국과학전람회 file 2018.09.05 신온유 18712
자율주행 자동차의 현실 file 2018.08.20 이형우 18711
2016년 제주 수학축전 2 file 2016.10.07 이서연 18710
여의도는 얼마나 큰가요? 2020.10.13 박지훈 18703
영화'택시운전사'가 알려준 그 시대의 사실들 7 file 2017.08.08 이윤지 18695
눈부신 발전, 그 뒤편의 아픔을 추억하다…일본 고베 항 지진 피해 메모리얼 파크 1 file 2017.03.02 조지원 18694
올림픽의 진정한 의미 file 2016.08.21 박채운 18692
마음의 온도, 언어의 온도 2 2019.07.26 신수민 18680
강남역 한복판에 떠오른 'GT 타워 아이스링크' 1 file 2017.02.28 송초롱 18680
빠르고 편리한 비대면 키오스크, 과연 소외계층에게도 '편리'할까? 2 file 2021.03.25 남서영 18668
기존의 수학은 잊어라! KYMA 대한청소년수학회 학술대회 개최 12 file 2017.02.09 최기영 18665
사람과 환경이 공존하는 착한 건축 26 file 2016.02.17 장서윤 18665
서울시립과학관에서 만나는 과학 file 2019.04.01 봉하연 18645
조선의 그린벨트, 성저십리 2 file 2017.03.01 최지민 18645
교토, 일본 본연의 도시 7 file 2018.08.20 이승철 18641
'글로리데이'청춘의 아픔을 그려낸 청춘영화 file 2016.03.25 홍경희 18641
노숙자분들을 위한 쉼터, 바하밥집에서의 봉사 file 2016.09.03 오지은 18635
세계평화의 숲, 식목일 기념 '시민 나무심기'행사 개최 file 2017.04.21 정지용 18629
한국의 빵빵한 지하철 와이파이 과연 일본은? file 2018.04.03 김진영 18628
알프스의 꽃, 만년설이 녹아내리다 5 file 2017.09.14 김정환 18624
민족 대명절 설 제대로 알고 보내자 13 file 2016.02.08 김상원 18619
'질문은 발견' 유스보이스, 청소년의 목소리 지원하는 컨퍼런스 개최 6 file 2016.02.21 서소연 18604
'밀어서 잠금해제' 아닌 초음파로 바로 하자 file 2019.03.27 나어현 18603
여성혐오적 의미가 담긴 유행어는 성희롱입니다. 3 file 2018.03.01 홍예림 18593
롯데월드타워는 어떻게 지어졌을까? file 2019.03.11 봉하연 18592
양평 속 하늘, '천사의 집' file 2016.05.24 조혜온 18592
앞으로의 미래는 청소년이 앞장선다! 1 file 2019.01.28 심화영 1858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