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기자수첩] 미국 청소년들도 빠져든 K팝...한국 문화 영향력 커져

by 22기이승주기자 posted Sep 16, 2023 Views 750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Screenshot 2023-08-23 at 9.32.03 AM.png[이미지 제공=Ambassador Highschool Sophia Stern,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한국의 대중문화를 전 세계로 전파시킨 K-Pop은 한국뿐만 아니라 미국 관객들도 사로잡았다. K-Pop만의 절도 있는 안무와 독특한 팬덤 문화로 문화의 장벽을 넘고 미국 청소년들에게도 강렬한 인상을 심어주고 있다.


K-Pop의 팬인 미국 고등학생 Sophia와의 인터뷰에 따르면 그는 세븐틴을 통해 케이팝에 빠지게 되었고 K-Pop의 특징인 칼군무와 멤버들끼리의 관계성이 특별해 좋아하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또한 음악으로 전달되는 에너지와 멤버들의 비주얼 등 다양한 요소가 결합되어 K-Pop이 더욱 특별한 장르임을 강조했다. 


단순한 관심을 넘어서 Sophia는 미국 내 K-Pop 댄스팀인 A2URE에 참여했다. A2URE 팀에서는 K-Pop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이 모여 공연을 하며 최근에는 5월 26일에 KCN(Korean Cultural Night)을 맞아 트와이스의 ‘Moonlight Sunrise’와 우주소녀의 ‘Last Sequence’를 공연을 했다고 밝혔다. KCN에는 약 500명 정도의 관객이 참여했고 6팀이 한국의 문화를 알리는 공연을 했다.


K-Pop의 본격적으로 국제 시장 진출은 2000년대 초반으로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를 중심으로 인기를 끌었다. 북미와 유럽 지역으로는 잘 알려지지 않았던 K-Pop은 BTS의 빌보드 핫 100 1위 달성 이후 북미와 유럽 지역으로 파급력을 보였다.


처음 K-Pop이 전 세계적으로 알려진 것은 가수 싸이의 ‘강남스타일’이다. ‘강남스타일’은 2012년 11월에 유튜브 뮤직비디오 조회수 1위를 달성하고 이후 5년 동안 1위 자리를 지켜왔다. 싸이 이후 BTS와 블랙핑크를 포함하여 다양한 K-Pop 가수들이 해외로 진출에 성공하며 더 많은 영향력을 끼치고 있다.


Screenshot 2023-08-23 at 9.31.55 AM.png

[이미지 제공=Ambassador Highschool Sophia Stern,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초기 K-Pop 수출 당시의 관세청 발표에 따르면 피지컬 앨범 수출액은 약 3천만 달러였다. 2022년에는 2억 4천만 달러 (약 2천999억 원) 가까이로 최고 기록을 달성하며 초기에 비하여 엄청나게 증가한 수치를 보여준다. 또한 많은 아이돌들이 미국에서 공연을 진행하고 있으며 BTS의 경우에는 2022년 미국 투어 공연 부문에서만 400억 원의 수익을 올렸다. 이처럼 K-Pop은 단순한 문화를 전파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경제적인 영향력도 끼치고 있다.


세계 최대의 음원 사이트인 Spotify에서는 2022년 한 해에 K-Pop 가수들의 음원이 165억 회 보다 더 많이 재생되었다고 이는 2020년에 비하여 56%, 2021년에 비하면 20% 증가된 수치이다. 또한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스트리밍 된 가수에서는 BTS가 9위를 차지했다. 이 데이터는 K-Pop의 실질적인 글로벌 영향력을 보여주며 해외의 증가한 관심을 보여준다.


이처럼 K-Pop의 글로벌 영향력은 더 이상 부인할 수 없으며 한국의 문화 수출품일 뿐만 아니라 국가의 위상과 경제의 원동력이 되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22기 이승주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14766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81714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95002
'우리는 독립을 요구합니다!', 카탈루냐의 독립 요구 시위 2019.10.22 신주한 10419
'웰컴 투 비디오' 운영자 손씨, 구속 2개월 연장...7월 범죄인 인도심사 추가 심문 file 2020.06.25 김수연 9264
'웰컴 투 비디오' 운영자 손정우 美 송환 불허한 법원, 가라앉지 않는 비난 여론 2 file 2020.07.22 김수연 10806
'위안부' 생존자들의 아픈 역사를 되돌아보다 3 file 2017.02.19 이다빈 16524
'의료계 총파업', 밥그릇 챙기기인가 정당한 투쟁인가 file 2020.10.29 유서연 8006
'이천 수간 사건' 국민청원 게시 file 2019.05.27 허서인 12600
'임금 체불 의혹' 웨이브에이전시 송모 사장, 보조 출연자들에 폭언 일삼아 file 2023.11.05 김진원 5413
'있어빌리티'는 이제 그만 file 2019.05.07 신아림 14448
'잊혀질까 봐, 흔적도 없이 사라질까 봐...' 나비의 1219번째 날갯짓 10 file 2016.02.24 김민지 21509
'자발적인 청소년 정책 참여의 첫걸음' 제 1회 청소년정책학술회, 성공리에 개최 그러나 10 file 2016.02.14 박가영 18244
'자율주행 자동차' 무인화 시대 다가오다 file 2019.02.28 이승민 11716
'장미대선'을 앞둔 안철수의 교육정책, 학생의 시선에서 바라보다 file 2017.03.22 홍정민 18274
'재팬 패싱'은 현실화될 것인가 1 file 2018.06.12 이후제 10996
'전 국민 고용보험시대'의 시작 file 2020.05.26 박병성 8356
'전안법' 시행, 누구를 위한 법인가? 7 file 2017.01.25 김연우 18474
'전태일 정신 계승' 전국노동자대회 그리고 전태일 3법 1 2020.11.19 이정찬 8290
'정당한 권리'라는 빛에 가려진 '주어진 권리를 성실히 이행해야 할 의무'라는 그림자 3 file 2017.02.17 이우철 15947
'정준영 사건' 2차 가해, 당신도 가해자일 수 있다 file 2019.03.25 전유진 13057
'제2의 조두순'사건에 분노하는 국민들..아동 성범죄 처벌 강화해야.. 6 file 2018.01.10 이정은 12951
'제33차 혁신성장 전략점검회의' 개최 file 2021.09.27 이지은 7538
'존댓말 없는 사회' 실험...어린이가 성인에 반말하는 봉사활동에 가다 file 2023.11.08 조혜영 5222
'청와대 국민청원 및 제안', 이제는 대책을 세워야 한다. 1 file 2018.03.02 이단규 11737
'촛불 vs 태극기' 정월 대보름의 탄핵찬반집회 1 file 2017.02.13 김태헌 25053
'촛불'이 일궈낸 대선, 대선이 일궈낼 더 나은 대한민국 4 file 2017.05.07 김유진 10537
'최대 산유국, 이상적인 무상복지국가, 미인 강국'의 몰락 2021.03.29 김민성 9543
'코로나19'로 소상공인 피해 입다 2020.03.26 이수미 7936
'탄핵 지연 어림없다' 광화문을 밝힌 84만 명의 사람들 4 file 2017.02.19 김현수 15176
'통제된 화재'가 무엇인지 아시나요? file 2020.01.22 권민서 9035
'투'덜대지 말고, '표'현하세요. 6 file 2017.05.05 이주은 11169
'트럼프 대학' 소송 2500만 달러로 서둘러 종결 1 file 2016.11.22 백재원 17752
'포켓몬 고', '속초는 스톱' 12 file 2017.01.25 이주형 18868
'폭력에서 자유로운 나라?'...부산 사하구 여중생 폭행 사건 발생 1 file 2017.10.10 허석민 22668
'폭염에 이어 폭우', 기습적 피해 받은 영동 1 file 2018.08.07 이선철 11115
'표현의 자유'의 정당성에 관하여 13 file 2016.02.19 김지현 18293
'하얀 계란' 아직 생소하신가요? 14 file 2017.01.25 정수아 29787
'학교폭력 의혹' 서수진, 연예계 문 다시 두드린다 file 2023.10.21 이가빈 5258
'학생을 위한' 수능 절대평가 과목 확대, 학생을 위한 것인가? 6 file 2017.08.24 도서영 12284
'학원 집 학원 집...' 초등학생들의 이야기 file 2018.11.22 박서현 11930
'한강 사건 타살 가능성 낮다'라는 전문가에게까지 근거 없는 억측 file 2021.06.03 박지훈 9540
'합리적인 금리' 라 홍보하는 이자율 27.9% 2 file 2017.02.13 최민주 16520
'행정구역 쪼개기'로 불편함 겪는 위례신도시 하남 주민들 file 2016.05.25 최민지 17676
'호남 민심 잡기' 나선 야당 주자 문재인 4 file 2017.01.22 김다현 17529
'혹시'나 '옥시'만은 1 file 2016.05.15 조민성 16379
'회복되는 남북관계' 기대와 우려의 목소리 2018.04.04 마준서 9827
100만원짜리 콘서트 5 file 2016.03.25 장채연 16551
100만의 촛불, 대한민국을 밝히다 1 file 2016.11.25 윤지영 18692
1020 정치참여, '젊은 정치' 가능할까? 10 file 2017.02.11 최은지 28103
10년 만에 다시 재조명된 ‘장자연 사건’...청와대 국민청원 3위 기록 1 file 2019.04.05 안서경 1336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