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치약 시장에 부는 프리미엄 바람...그릿메이드 치약 직접 써보니 "부드럽네"

by 홍혜린대학생기자 posted Aug 22, 2023 Views 510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프리미엄 생필품 브랜드 그릿메이드에서 치약 제품을 새롭게 출시했다그릿메이드 치약은 인스타그램 이용자들 사이에서 명품치약이라는 별명으로 불리우며 인기를 끌고 있는 추세라고 한다.


그릿메이드 치약은 흔히 미백 치약이라고 불리며 지속적으로 사용할 경우 뛰어난 미백효과를 보이고 있다. 또한, 합성계면활성제, 파라벤, 가습기살균제성분, 트리콜로산, 중금속 치약에 포함될 있는 17가지의 유해성분이 포함돼있지 않고, 이를 대신해 식물성 성분이 들어가있다. 자몽종자 추출물, 자일리톨, 코코넛오일 등과 같은 자연 추출물을 이용하여 구내 세균을 억제하고, 구취제거와 동시에 뛰어난 세정력을 보이고 있다.

 

그릿메이드1.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홍혜린 대학생기자]


그릿메이드 치약의 식물성 계면활성제 성분으로 인해, 양치 입마름 현상과 구취 제거 효과를 극대화 시키며 상쾌함을 극강시킨다. 사용자에 의하면 "그릿메이드 치약을 1주일간 사용해본 결과, 양치 후에도 살짝 머무는 찝찝함이 확실히 사라졌고, 화학성분의 화한 느낌이 없이 부드럽게 양치를 있어 좋았다" 라고 말했다. 이는 실제로 치약에 '불소' 성분 포함이 돼있어 미국 FDA에서도 인증을 받은 치약으로, 무해한 성분으로 강한 세정력을 보이고 있기에 치약보다 순한 성분으로 효과적인 살균 능력을 보이고 있다. 또 2세의 어린아이들 역시 사용할  있는 인증을 받은 점을 보아 치약보다 훨씬 순한 성분으로 세정을 있다는 점을 있다


그릿메이드의 치약은 SNS에서 명품치약 이라는 해쉬태그에 걸려서 입소문을 타고 있다. 실제로 대중들의 재구매의사 이유 예쁘고 고급스러운 패키지라는 이유가 높은 순위권에 위치하고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6기 대학생기자 홍혜린]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658051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655554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075843
프리미어리그 개막, 빅6의 시작은 어땠을까? file 2021.08.19 윤서원 10993
‘녹용을 먹으면 바보가 된다’는 속설은 어디서 왔을까? 1 file 2022.02.11 김다혜 10978
UN에 관심 있는 청소년들이여, 이리로 오라! 3 2020.09.25 전민영 10978
청년 예술가를 찾아서! file 2021.09.27 김동은대학생기자 10967
기존 반도체 공정을 활용한 고집적 '뉴로모픽 반도체' 제작 성공 file 2021.08.25 한건호 10965
배우 윤여정, 아카데미 여우조연상 수상 file 2021.05.17 김이원 10954
올바른 다이어트란 뭘까? 1 file 2022.01.26 권소연 10950
'코로나19' 고군분투 의료진들에게 전하는 감사의 메시지 1 file 2020.04.27 김언진 10945
초록우산어린이재단 2년 연속 전국 감사편지 공모전에 홍보대사 방송인 장성규 위촉 file 2021.03.30 장헌주 10939
원자만 한 두께의 2차원 반도체를 쌓아 초격자 구조 구현 성공... 양자컴퓨터 소자로 사용 가능 file 2021.07.26 한건호 10938
미국 주식 개미들, 이제는 테슬라 아닌 애플에 몰려 file 2021.08.30 전인애 10934
울산의 랜드마크, 태화강 국가정원 file 2021.10.25 김지언 10928
세월호 '#기억은힘이세지' 온라인행진 이루어지다 file 2021.04.22 이은별 10920
그린플레이션의 등장…시작된 배경은 무엇인가 file 2021.10.07 임규리 10915
빈자리에 소중한 것들을 채워 담다 1인 출판사 '틈새의 시간' 1 file 2021.10.20 김유진 10872
홍성 역사 축제 '이응로' file 2021.05.24 노윤서 10846
전국 감사편지 공모전 참가로 인성 교육하다 file 2021.04.01 양지윤 10831
해외 신문 들여다 보기 file 2021.05.04 강윤아 10828
지상 최대 거물들의 밥그릇 전쟁 발발 file 2020.09.29 오진혁 10824
아이들이 부모를 선택하는 시대, '페인트' 1 file 2022.03.28 민유정 10814
포스트잇은 왜 노란색일까? 1 file 2021.11.25 민지혜 10814
당신이 기억하는 '당신의 몸'은? file 2021.04.21 정다빈 10801
엑시노스의 또 한 번의 도전 file 2021.07.26 이준호 10799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증가에 따른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의 힘 file 2021.07.20 남서영 10793
청년을 위한 행사, '제1회 청년의 날' 기념식 file 2020.09.28 황지우 10784
코로나에 빼앗긴 벚꽃 구경, 온라인으로 즐기자 file 2021.04.06 권민주 10775
울산의 새로운 문화 공간, 울산시립미술관 2 file 2022.02.24 김지언 10774
MZ세대의 명품 소비, 하나의 문화로 자리잡을 수 있을까? file 2021.11.26 박예슬 10756
연이은 대형주의 폭락…갈 곳 잃은 동학개미들 file 2021.09.17 송경원 10754
파인타르 사용으로 인한 부정투구, 이제는 안녕 file 2021.07.19 김민성 10751
자가격리, 어떻게 하는 걸까? file 2021.11.26 정서진 10739
제6회 초록우산 어린이재단 전국 감사편지 공모전 개최, 사전 접수 104만 명에 이르러... file 2021.04.01 김수연 10738
오징어 게임 마케팅 전략 이대로 통하나 file 2021.10.25 박서빈 10731
서울시 교육청 '희망급식 바우처' 사업 추진 file 2021.06.02 김예인 10724
여보, 아버님 댁에 친환경 콘덴싱 놓아드려야겠어요 file 2022.01.25 김하영 10712
대학생 실종사건으로 불거진 한강 금주에 대한 찬반 논란 file 2021.05.24 김초원 10710
뮤지컬 ‘레베카’, 출연 배우 확진으로 오는 6일까지 공연 취소 1 file 2022.02.07 오다해 10704
종이책의 위기, 극복 방법은 없을까? 1 file 2021.10.28 박예슬 10687
희귀의약품 '메카신(Mecasin)' 1 file 2022.03.07 김다혜 10680
언택트 시대, 감사편지로 마음을 나누다 file 2021.03.30 강대우 10663
세종서 택시 같은 버스 ‘셔클’ 운행 file 2021.04.20 김태림 10658
"大韓民國 臨時政府 行政 首班" (대한민국 임시정부 행정수반) file 2021.06.24 노윤서 10655
덕수궁 국립현대미술관서 열린 '장욱진 회고전'에 가다 file 2023.11.30 정서영 10625
2021 롤드컵, EDG가 담원기아를 제치고 우승 트로피를 들어 올리다 1 file 2021.11.08 최은혁 10622
서울문화재단 서울예술교육센터, 청소년과 예술가의 공동창작 프로젝트 ‘아츠포틴즈’ 참가자 모집 file 2022.07.08 이지원 10607
코로나19를 극복하는 템플스테이, 색다른 문화즐기기 file 2021.04.28 윤희주 10603
도심 속에서 찾는 여유, '덕수궁' file 2021.09.09 박혜원 10600
독서 기록 앱, '북적북적'을 파헤쳐 보다 1 file 2021.10.25 김승원 1059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