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기자수첩] 서현역, 신림역 칼부림 사건..."법정 최고형 구형해야"

by 22기김진원기자 posted Aug 10, 2023 Views 711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지난달 21일 모두를 놀라게 했던 신림역 칼부림 사건 그 이후, 대한민국은 여러 장소, 시간대의 칼부림을 예고하는 글들로 인해 공포심에 떨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은 서현역과 신림역의 칼부림 사건을 예로 들며 무고한 시민들을 향한 테러라며 강경한 대응을 지시하였고, 대한민국 경찰청은 무차별적인 칼부림을 테러 행위로 간주하고 피의자를 특정한 후, 예고 없이 테이저 건과 실탄 발포도 주저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실제 여러 칼부림이 예고된 장소에 무장한 경찰 특공대와 장갑차를 배치하며 강경 대응을 할 의지를 보이고 있다.


KakaoTalk_20230806_195226528_02.jpg

[이미지 촬영=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22기 김진원 기자]


신림역에서 30대 남성 피의자 조선이 20대 남성 1명을 사망케 하고 30대 남성 3명을 중상을 입게 만든 후 신림역은 추모의 물결이 이어지고 있다. 피의자 조선은 체포될 당시 그냥 세상이 살기 힘들어 죽였다며 무책임한 발언을 하기도 했다. 피해자의 유족은 피해자가 일면식도 없는 사람에게 칼로 13회나 찔려 죽었다며 비통한 감정을 나타냈다. 이 소식이 전해지고 많은 시민들도 피해자들을 추모해 주었고 피해자의 유족은 피의자가 체포된 후 피의자는 전과 3범이며 소년원은 14번이나 갔다 온 사람을 사회에 놔두면 안된다며 엄벌에 처해 달라 호소했다.


그 후 얼마 안 가 8월 3일, 서현역의 AK플라자 분당점에서 피의자 최원종이 인도로 차량을 들이박아 행인 5명이 부상 당하고, 백화점 1층과 2층을 돌아다니며 9명을 부상 입혀 1명이 사망하고 13명이 부상을 당하는 사건이 발생한다. 신림역 칼부림 사건의 비극이 채 가시지 않은 채로 또 다시 일어난 비극에 시민들은 불안과 분노를 금치 못했다. 


그런데 이 비극들이 일어난 후 대한민국은 알 수 없는 방향으로 흘러가기 시작했다. 여러 SNS나 커뮤니티에 특정 날짜와 장소에 흉기를 챙겨가 칼부림을 일으키겠단 예고가 흡사 열풍처럼 불어나기 시작한 것이다. 장소는 강남 대치동, 원주역, 일산 KINTEX 등 다양하였고 여러 시민들은 이래서 무서워서 어떻게 길거리를 돌아다니겠냐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대한민국에 칼부림 주의보가 내려진 것이다. 실제로 그 후 대전의 한 고등학교에서 이미 졸업을 한 상태였던 졸업생이 교사를 찔러 숨지게 하는 사건도 발생하였고 서울, 용인, 대전 등에서 흉기를 소지하는 인물들이 돌아다녀 경찰이 체포하는 일도 있어 대한민국 사회의 공포심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이 예고들을 작성한 인물들을 경찰들이 체포하자 "심심하여 호기심에 써봤다", "장난으로 써봤다" 등의 어이없는 말을 하나같이 말했다. 심지어 한 인물은 자신이 활동하는 커뮤니티의 회원들이 장난으로 받아들일 줄 알았다며 또 다시 공분을 사는 발언을 하기도 했다. 허위 예고글을 작성하여 경찰이 체포한 것만 어림잡아 50건, 이 모두 장난이라는 변명 하나로 어물쩍 넘어가려는 뉘앙스를 보였다.


반사회적 범죄인 묻지마 칼부림 범죄를 막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해외 사례를 참고 해보면 프랑스의 경우는 테러리즘은 보통 자신이 몸담고 있던 사회 집단에서 소외되었다 느끼는 사람이었단 논문이 있고, 일본의 경우도 자신의 처지의 불만을 느낀 사람이 무차별 살상 사건을 일으킨 경우가 많다는 보고서가 있다. 


대부분 살인 동기가 사회적인 불만이었다는 것이다. 물론 사회에서 비난을 받았다고 칼부림을 일으키는 것은 엄연한 인정해선 안 될 범죄이며 사회에 대한 불만을 동기라고 내놓은 사람 중 자신의 범죄를 남 탓, 사회 탓으로 돌려버리려는 사람이 적지 않지만, 만약 사회 시스템이 잘못되어 일어난 범죄라면 고쳐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일어나지 않아도 될 범죄였으며 막을 수 있는 범죄라면 말이다.


그리고 이 허세성 허위 칼부림 예고들을 막기 위한 대책도 필요해 보인다. 한 명이 장난으로 쓴 예고에 수십 명의 경찰 병력이 깔리게 해 막상 실제로 경찰이 필요한 장소에 제때 도착하지 못하게 하고, 그 곳에 거주하는 주민들을 두려움에 떨게 하는 이 악질적인 행위도 엄연히 공무 방해이며, 제대로 엄벌에 처해야 할 것이다. 어디서 불어왔는지 모를 이 공포의 열풍은 아직 현재 진행형이다. 여러 시민들의 공포는 칼부림 피의자들과 허위 예고글 작성자에게서 나왔단 것을 명심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22기 김진원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89545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58051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71468
4월 한반도 위기설 뭐길래? 1 file 2017.04.21 송선근 9644
4월13일 총선에 대해 알아보자. 5 file 2016.04.10 천주연 17702
4차 민중총궐기, 서울광장에서 진행 5 file 2016.02.27 황지연 16475
4차 불법촬영 편파수사 규탄시위, 작년 촛불시위와 비교해봤을 때⋯ file 2018.08.13 김진진 10378
4차 산업혁명···기계들이 꿰차버릴 일자리? 4 file 2017.02.03 박혜신 19434
4차 산업혁명을 향한 중국의 도약, 우리나라 이대로 괜찮은가 file 2018.03.07 김명진 11004
4흘째 이어지는 필리버스터,,지금 국회 상황은? 10 file 2016.02.25 최다혜 17425
5.18 광주 민중항쟁과 청소년의 사회의식 file 2016.05.22 박채원 13956
5.18 망언 3인방과 추락하는 자유한국당 file 2019.03.04 정민우 9077
5000년 함께 한 무궁화, 국화가 아니다? 2 file 2019.03.07 박은서 11771
5060 신중년 정책, 국민들의 많은 관심이 필요합니다. 1 2017.09.05 김민주 11320
5G 그것이 알고 싶다 1 file 2019.06.05 봉정근 11430
5G, 이제 우리의 곁으로 다가왔다 1 file 2019.05.13 11기이윤서기자 13864
5·18 광주 민주화운동 진실 규명 이뤄지나 … 발포 명령 문서 첫 발견 2 2017.09.01 손서현 10112
5·18 그 날의 광주, 드러나는 진실 file 2017.10.31 정선아 11576
5·18 퍼지고 있는 거짓들 7 2017.05.19 김형주 10121
5·18민주화운동 38주년, 현재는? file 2016.05.27 유진 15133
5·18민주화운동과 희생자를 기리며 file 2019.05.29 박고은 8357
5년 단임제, 4년 중임제? 임기 개헌에 대한 국민의 목소리 4 file 2017.02.19 정혜정 25599
5대 비리 고위공직 원천 배제 공약 위배 논란, 그것이 알고 싶다. file 2017.05.29 4기박소연기자 11690
5월 22일 진행된 文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의 만남 1 2018.06.05 변성우 9825
5월 9일 제19대 대통령 선거, 각 후보들 공약 꼼꼼히 알아보고 꼭 투표해요! file 2017.05.09 김채원 9920
5월, 그리고 가짜 뉴스 2019.05.20 안광무 10027
6.25 67주년, 우리에게 주어진 과제 1 file 2017.07.05 정지원 9959
6.25 D-DAY, 국민들 우려대로 전쟁 일어날까? file 2020.06.29 임지안 7473
6월 20일 세계 난민의 날 ? 난민들의 서글픈 현실 file 2017.06.23 노태인 9973
6월은 호국 보훈의 달 ... 호국 보훈 정신은 어디로 갔는가 1 file 2016.06.25 이예린 15868
6차 핵실험, 또다시 북한을 감싸는 중국 2 file 2017.09.15 박현규 12280
70% 더 빨라진 전파력, 영국에서 변종 코로나19 바이러스 발견 file 2020.12.22 박수영 7341
737 MAX 다시 운행해도 괜찮을까? file 2020.04.24 이혁재 7976
75주년 광복절 & 태평양 전쟁 패전 75주년 1 file 2020.08.27 차예원 8426
77분간의 리얼리티 쇼, 트럼프와 언론의 끝없는 전쟁 2 file 2017.02.19 김윤혁 16178
8년 만의 일본 총리 교체, 한일관계 변화 올까? file 2020.09.25 김진성 10234
8월에 주의해야 할 재난·안전사고 1 file 2020.08.10 김현수 7393
9교시 등교 2014.09.22 김건재 22652
9년 만에 돌아온 폭우 file 2020.09.08 홍채린 7479
9시 등교 ··· 이대로 괜찮을까? file 2014.09.15 이지현 22066
9시 등교 과연... 학생들의 생각은? 1 2014.09.15 박성아 21342
9시 등교 시행 그 후.. 문제의 근본을 해결하지 못한 조삼모사식 정책 2014.09.22 차진호 21498
9시 등교, 갈등의 기로에 있지만 보안한다면 최고의 효과 2014.09.25 김신형 26358
9시 등교, 거품 뿐인 정책 2014.09.21 선지수 22621
9시 등교, 과연 이대로 괜찮을까? 2014.09.09 김도희 20575
9시 등교, 과연 학생들을 위한 정책인가? 2014.09.22 심현아 18919
9시 등교, 그것이 알고 싶다. 2014.09.21 부경민 20092
9시 등교, 누구를 위한 것인가 file 2014.09.25 이지원 25814
9시 등교, 누구를 위한 것인가? file 2014.09.23 한지홍 24116
9시 등교, 당신의 생각은? 2014.09.25 김미선 22009
9시 등교, 득일까 실일까 2014.09.22 손윤주 1951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