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서울 종로구 구민들 "출퇴근, 등하교 시간 02번 버스 증차 촉구"

by 22기박서율기자 posted Jul 26, 2023 Views 449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최근 출, 퇴근 시간대 도시철도 '김포골드라인' 혼잡도가 악명 높아 많은 조명을 받아왔다. 이른바 '지옥철'에 대한 대책으로 서울시와 김포시, 국토교통부는 안전관리요원 충원 및 열차 신규도입(예정) 등 여러 대책을 내놓은 바 있다.


'지옥철' 뿐 만 아니라 혼잡한 버스로 서울 종로구에 있는 마을버스 '종로02번'도 예외는 아니다. 종로02번 버스는 종각역에서 회차하여 안국역과 북촌한옥마을을 비롯한 관광지와 감사원, 통일부 등 주요 행정기관을 지나 성균관대학교 까지 운행하는 노선이다. 이렇다 보니 노선 특성상 수요가 많을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20230608_201350.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22기 박서율 기자, 안국역 2번출구 정류소의 모습]


서울시나 운수사에서 종로02번의 차량 혼잡도는 따로 측정하지 않고 있지만, 기자가 지난 5월 22일부터 26일까지 5일간 직접 아침마다 기록한 내용을 보면 평일 출근시간인 08시 기준, '안국역 2번출구' 정류소를 기준으로 평균 2대 정도는 차량의 혼잡도가 너무 높아 어쩔 수 없이 그냥 보내야 했다.


종로02번의 출퇴근 시간대 배차간격은 평균 5분~7분, 즉 정류소에서 2대를 보내버리면 최대 14분 정도를 추가적으로 기다려야 되는 상황이다.


2023-06-16-08-25-47-115.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22기 박서율 기자, 아침시간 발 디딜 틈 없는 혼잡한 종로02번 차량 내부의 모습]


운행되고 있는 차량도 문제다. 종로02번에서 운행되고 있는 차량이 버스를 이용하는 승객들의 수요에 비해 턱없이 작다.


02번 노선에 보유 중인 차량은 총 7대, 그 중 3대가 소형버스 이고 나머지 4대가 그나마 큰 중형버스로 운행하고 있다. 소형버스가 혼잡한 시간대에 정류소로 진입하면 버스를 기다리고 있는 시민들은 한숨을 내쉬며 "다 탈 수 있나"라고 말하기도 했다.


20230411_081333.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22기 박서율 기자, 운행 중인 중형 차량의 모습]


02번 버스를 이용하여 중앙중학교를 통학하고 있는 학생들은 "이건 매일 아침마다 겪는 고통"이라며 "서울시가 버스 증차 등 해결책을 마련해 주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버스 증차 해결방안에 대해 서울시는 기자에게 "현재 마을버스 대부분이 심각한 경영난을 겪고 있다"며 "운수사의 재정상황을 고려했을 때 증차는 어려움이 있어 불편을 호소하는 시민들께 양해를 구한다"며 "내구연한 만료로 소형버스 교체 시 중형버스로 교체될 수 있도록 운수사에게 요청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또 마을버스는 혼잡도 정보를 제공하고 있지 않아 승객들이 '분산승차'를 할 수 없어 혼잡도를 키운다는 지적도 있다. 이에 대해 서울시는 현재 검토 중이라는 내용을 밝혀 왔다.


이번 도시철도 '김포골드라인'이 출, 퇴근시간대 악명 높은 혼잡도로 안전사고가 다수 발생하여 주목 받은 만큼 안전에 대한 경각심과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22기 박서율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13050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79972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93205
삼산고 학생들이 힘을 합친 '위안부 소녀상 건립' 캠페인 1 2017.10.24 주하영 11388
삼성 갤럭시 노트 7 발화 원인의 진실 수면 위로 떠오르다!! 2 file 2017.01.23 양민석 19176
삼성 휘청: 삼성 이재용 부회장 결국 포승줄에 묶이다 file 2017.02.21 송경아 16528
삼성,애플에 이어 LG까지...? 3 2017.01.22 안유진 17988
삼성그룹 회장 이건희, 78세의 나이로 별세 1 2020.11.02 조은우 8550
삼성물산 "우수품종 토종식물, 래미안 단지에 활용 계획" file 2023.02.02 디지털이슈팀 4577
삼성은 반도체 패권을 가져갈 수 있을까? file 2021.05.26 이준호 6928
삼성전자 이 부회장의 2년 6개월 실형 선고... 또 다른 리스크인 보험업법 개정 결과는? file 2021.01.19 김가은 7887
삼성전자, 갤럭시 노트7 소손 원인 발표 ··· "죄송하며 감사하다." 3 file 2017.01.23 이정수 64305
상암동 장례식장 건립, 주민들 반대 운동 확산 1 2018.05.03 도예준 11937
상업적 대리모 그리고 인간 존엄성 1 file 2020.05.06 임효주 12537
상인들의 시장문화도 바꾸어버린 김영란법 2 2016.09.26 류보형 14281
새 정부의 5.18 4 file 2017.05.30 이주현 10497
새로운 경제 정책, 대한민국을 바꿀 것인가 1 file 2017.07.25 홍은서 9522
새로운 코로나 변종 바이러스 발견, 이 팬데믹의 끝은 어디인가? file 2020.09.02 방지현 7682
새로운 형태의 자산 가치 상승, 현대 사회가 가지는 또 하나의 숙제 file 2021.05.26 한형준 7230
새롭게 바뀐 한국의 대통령, 중국과 한국과의 관계도 바뀌나? 2 file 2017.05.19 강지오 10416
샘 오취리, ‘preach' 성희롱 댓글 뒤늦게 논란 file 2020.08.31 유시온 8133
생계형 난민의 폭풍... 그리고 유럽의 반난민 정책 1 file 2018.09.05 조제원 11180
생리대, 과연 안전한가? 5 2017.09.04 박채리 11812
생리대를 둘러싼 진실게임 2 2017.10.10 제규진 11919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 ‘SOS생명의전화’ 운영 11년 차 맞아 누적 상담 빅데이터 분석 결과 공개 file 2022.08.12 이지원 6261
생존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 후원시설 “나눔의 집” 탐방 1 file 2016.03.24 서소연 18874
생활 방역 시대, 청소년이 가져야 할 마음가짐 file 2020.05.04 서하연 8615
생활 속에 파고든 알코올 중독, 더 이상 방치해선 안 된다 2018.04.18 정하현 10276
생활쓰레기문제, 한국인의 저력을 보여 주자. 2 2017.07.17 박수지 12462
서대문 청소년기관, 2022년 청소년 2800명 대상 종합실태조사 발표 file 2022.12.23 이지원 6417
서울 M 중학교 교사, 그동안 학생들 상대로 상습적인 성추행 일삼아·· 5 file 2018.03.15 허기범 11223
서울 광화문 미국 대사관 앞 대규모 "사드 배치 반대" 집회 1 file 2017.09.12 김승만 10722
서울 시내버스 음식물 반입금지조례 "과도한 규제 vs 합당한 대응" 1 file 2018.03.26 정준교 14870
서울 종로구 구민들 "출퇴근, 등하교 시간 02번 버스 증차 촉구" file 2023.07.26 박서율 4492
서울대 본관 점거 153일째, 물대포로 농성 해산...해산되기까지 과정 file 2017.03.15 최문봉 11772
서울대 치대, 전원등록포기? 4 2016.03.08 임은석 20347
서울대, 잇단 성추문에 몸살 24 file 2017.01.12 이승욱 19863
서울시립강북인터넷중독예방상담센터, 10주년 기념 ‘온라인 캠페인 및 청소년 욕구도 조사’ 실시 file 2022.12.23 이지원 5225
서울시자살예방센터, 2022년 ‘서울 청년의 생명을 살려라! 100인 토론회’ 개최 file 2022.08.16 이지원 5859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청년자살예방 인식 개선 연합 캠페인 ‘서울 청년의 생명을 살려라’ 성료 file 2022.10.22 이지원 5746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 9월 29일 ‘2022년 정신건강 정책 심포지엄’ 온라인 생중계 file 2022.09.16 이지원 4893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 정신건강의 날 기념 및 제32대 정신건강지킴이 위촉 file 2022.09.19 이지원 5887
서울여중, 활기 찬 봄의 향연 속 백일장/사생대회 실시 1 file 2015.05.21 변유진 29180
서울연구원, '여건 변화에 대응하는 국토계획법 및 서울 도시계획' 주제로 세미나 개최 file 2022.12.14 이지원 5610
서지현 검사의 폭로, "검찰 내에서 성추행을 당했다" 2 file 2018.02.02 이승민 10516
선거 7번 출마, 허경영…. 서울시장 선거 3위 기록 file 2021.04.12 김민석 8289
선거 연령 하향의 효과와 우려 7 file 2017.05.31 김지민 26788
선거구 획정안, 국회는 어디로 사라졌나? 13 file 2016.02.07 진형준 20288
선거마다 발병하는 고질병들, 언제까지 유효할 것인가 3 file 2017.04.25 정혜정 11575
선거에 관련한 법률, 어디까지 알고 있을까 2 file 2016.04.24 김나연 15934
선거연령 하향 이후, 청소년들의 정치적 태도 변화는? file 2020.04.28 이승연 875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