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라면 가격 잡은 정부, 우유 가격도 잡을 수 있을까

by 박상연대학생기자 posted Jul 21, 2023 Views 480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20230721_005155.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박상연 대학생기자]


우윳값이 나날이 비싸져 다른 유제품 가격도 올랐어요아이들이 요플레를 좋아해서 매일 사줬는데 이제는 이틀에 한 번으로 줄였어요.” 근처 동네 마켓에서 장을 보던 이모씨 (34, 순천 남점동)의 말이다


요즘 물가가 높아지고 있는 만큼 우유 역시 그 범주에서 벗어나지 못한 상품 중 하나이다. 그렇다면 어째서 우유의 가격은 예전에 비해 높아진 것일까? 국내에서 한창 일어나고 있는 인플레이션의 현상 중 하나일까. 이미 지난달부터 가격이 떨어지고 있는 라면에 반비례하여 우유의 가격이 높아지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러한 이유의 답을 찾아내기 위해서는 우유의 원재료, 원유를 생산하는 낙농업계의 환경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현재 낙농업계는 이미 지난달, 6월에 기존 가격에서 69~104원 사이의 인상을 발표하였으며 이를 실제로 적용했다. 그 결과, 1L 기준, 2,650원이었던 우유는 2,800원대를 찍으며 이제는 3,000원대를 바라보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이번 달 19, 정부의 가격 안정 요구에 따라 낙농진흥회 소위원회는 낙농업자들과 원유가격 인상률에 대한 조정에 들어가겠다고 하였고 협상에 나섰지만 결렬되고 말았다. 회의는 724일로 미뤄진 실정이다.

 

그렇다면 어째서 낙농업계는 원유의 가격을 지속해서 인상하고 있을까? 대부분의 품목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국내의 인플레이션도 한몫하고 있지만 국제 인플레이션도 영향을 끼치고 있는 것이다. 원유에 영향을 미칠 만큼 국제 인플레이션과 관계 깊은 품목은 무엇일까? 바로 사료이다. 그 사료의 종류 중 매년 90만 톤이나 수입되는 알팔파의 가격 인상이 그 주인공이라 할 수 있다. 물론 국내 사료 자급률은 2021년 기준, 522만 톤 중 431만 톤으로 82.7%로 추계하지만 문제는 질적으로 부족하다는 점이 있다. 그렇기에 축산업자들은 질 좋은 알팔파에 의존하여 나머지 17.3%에 돈을 더 쓰고 있는 실정이다.

 

이 알팔파는 주로 미국과 호주에서 생산되는데 해외에서의 인플레이션이 국내에서 적용될 때, 그 증가의 폭은 넓어진다. 이유는 원가로 들어오는 것이 아닌 인상된 해양 운임, 중계비 그리고 악순환을 겪고 있는 환율로 인해 증가 폭이 더 넓어져서 우리나라에 적용되는 것이다. 그렇게 안 그래도 비싼 이 사룟값은 더욱 비싼 값으로 불어나 우리나라에 들어오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사룟값이 늘어남에 따라 축산업자들도 원유의 가격을 올릴 수밖에 없고 그로 인해 낙농업자들도 울며 겨자 먹기 심정으로 가격을 올릴 수밖에 없는 것이다. 물론 농촌진흥천에서 최근 알팔파의 새로운 품종의 개발로 국내 생산이 가능해졌다는 소식이 전해져 오지만 아직 도입 상태라는 것을 염두에 둬야 한다. 과연 이 알팔파가 외국과 똑같은 효능을 가졌는지, 한우에게 여타 부작용이 없는지에 대한 임상 실험이 진행되어야 하며 전국의 축산업에 보급되는 메커니즘의 마련과 그 실행, 그로 인해 결과가 나오기까지는 아직 시간이 필요하다.

 

현재 가격의 인상은 오로지 국내 인플레이션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다. 원유와 같이 국제 인플레이션도 우리나라의 가격 인상에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파급력은 낙농업계와 정부와의 타협의 결렬로 이어졌다. 또한 설상가상으로 인플레이션 말고도 우유의 가격 인상에 영향을 끼칠 요인이 최근, 하나 더 추가되었다. 바로 국지성 호우이다.


순천의 한 축산업자 강모씨(74)에 따르면 이번 호우로 인해 하우스의 천장이 무너져 소가 여럿 죽었다비가 그나마 적게 온 마을이 이 정도인데 다른 마을의 피해는 가늠이 안 간다라고 말했다. 이번 호우로 인해 가장 피해를 많이 입은 곳은 청양, 영주, 문경으로 아직 피해가 집계되지는 않았지만, 농협사료가 발 벗고 구호 활동을 나선 것을 통해 피해는 상당한 것으로 추정된다. 뿐만 아니라 이번 주 토요일에 다시 비가 예정된 만큼 피해는 현재진행형으로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지금까지 낙농업계가 어째서 가격을 인상할 수밖에 없는지를 알아봤다. 국내의 인플레이션뿐만이 아닌 사료 원산지인 미국과 호주의 인플레이션 그리고 이번 주에 내린 호우로 인한 피해까지 복합적인 원인이 서로 섞여 만들어 낸 결과인 것이다.

 

한편 낙농진흥회가 추진하는 낙농업자와 정부의 원유가격 책정을 위한 논의가 오는 24일 열릴 예정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경제부=6기 대학생기자 박상연]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87591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56181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69545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8주기, 우리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 file 2017.05.25 임재우 12499
포항 지진... 피해 상황은 어떤가 2017.11.28 이지혜 12505
정규직과 비정규직에 대해서 file 2019.07.02 송수진 12531
美 워싱턴주, 시신을 흙으로 만드는 법안 통과 1 file 2019.05.24 이현 12547
기아자동차 스팅어, 시승차 화재에 이어서 고객 출고차량 엔진 과열로 차량교체.. file 2017.07.19 김홍렬 12564
같은 하늘, 같은 시간, 다른 곳에서 2 2017.05.25 류지현 12566
코로나19로 인해 바뀐 삶 3 file 2020.05.18 김혜원 12573
정부가 만든 AI사태 2 file 2017.02.16 박현지 12576
미혼모 청소년들의 학습권 보장:이루어질 수 있을까? 2 file 2017.08.04 변우진 12580
구)공주의료원 어떻게 활용될까? 1 file 2018.10.04 김예경 12581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악성루머 유포자 법적조치, 사이버수사대 의뢰…선처없다" (공식입장) file 2017.06.06 온라인뉴스팀 12591
플라스틱 폐기물에 전 세계가 몸살 file 2019.08.05 유승연 12594
아픈 우리 아이, 치료방법 있나요? 1 file 2018.06.11 이승현 12596
FOOD TECH라고 들어보셨나요? 1 file 2018.12.31 채유진 12600
'제2의 조두순'사건에 분노하는 국민들..아동 성범죄 처벌 강화해야.. 6 file 2018.01.10 이정은 12612
남북정상, 한반도 평화시대 선언.."올해 종전선언·평화협정 전환 추진" file 2018.04.27 디지털이슈팀 12613
하늘의 별이 된 설리, 우리가 해야할 숙제는? 2 file 2019.11.15 정다은 12613
노인 지하철 무임승차, 과연 경제적으로 합당한가? file 2017.11.20 김진모 12619
미래 원자력정책 탈원전, 과연 현실적인가 1 file 2017.03.13 최가현 12629
주황리본을 아시나요? 5 file 2017.08.17 김영인 12641
다문화 가정의 증가, 혼혈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나 2019.05.02 박경주 12652
'강아지 하늘샷', 동물학대 논란에 휩싸이다 3 file 2018.11.19 신미솔 12662
주소지 파악 불가한 정체불명의 ‘대한민국청소년협회’ 등장..네티즌 주의 필요 file 2018.02.26 디지털이슈팀 12670
기억해야할 4월 13일 대한민국임시정부수립일 3 2017.04.10 고선영 12673
독감 예방주사, 선택이 아닌 필수다 2 2017.10.20 박채리 12677
이주노동자에 대한 청소년 인식 개선 시급 file 2018.11.26 여인열 12679
청소년과 정치 1 file 2018.11.26 장보경 12680
코로나19(COVID-19), 알수록 안전해요! 2020.04.17 정미강 12686
트럼프 대통령의 초강수, 보호무역 1 file 2017.10.25 김규리 12692
지소미아로 보는 협정, 조약, 선언의 차이 file 2019.09.04 유승연 12694
Netflix가 시작한 OTT서비스, 과연 승자는 누구일까? file 2019.12.24 이지현 12696
점차 진화하는 불법 촬영, 적극적인 대책 시급해 1 file 2019.03.11 안서경 12698
국민을 기만하는 가짜뉴스, 대처방안은? 2 file 2018.09.03 박민서 12704
나날이 늘고 있는 아동학대, 가정폭력...줄일수는 없을까? 2 file 2020.06.17 이채원 12706
국공립대학교 입학금 전면 폐지하다! 1 file 2017.08.27 김규리 12713
'정준영 사건' 2차 가해, 당신도 가해자일 수 있다 file 2019.03.25 전유진 12729
일본 불매운동, 왜? file 2019.08.28 김민경 12734
의정부 고교생 장 파열 폭행 사건... 과연 진실은? 1 file 2019.02.26 최수혁 12739
나라 싸움에 등터지는 학생들 file 2017.03.25 김윤혁 12741
형광등 대신 LED가 선호되는 이유는? file 2019.03.05 심선아 12741
일본의 경제 보복, 그 진실에 대하여 file 2019.08.12 박고은 12754
고용노동부 상담원 파업 "우리에게도 월급을 달라" 1 file 2017.07.26 김도연 12756
포항 5.4 지진으로 보여준 필로티의 위험성 1 file 2017.11.23 김성연 12759
박 前 대통령 탄핵...해외 반응은? 4 file 2017.03.11 정예빈 12778
후성유전, 이것의 정체는? file 2018.10.22 여다은 12780
한겨레교육, 꼭 알아야 하는 글쓰기 교육 11월 개강 file 2022.11.01 이지원 12787
브렉시트....현재 진행 상황은? file 2017.12.12 현승현 12798
식민주의가 낳은 피해자들, 로힝야족 file 2019.04.19 이서준 1280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