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기자수첩] 의대 쏠림 현상, 의대 정원 늘려 해결해야

by 22기이래경기자 posted Jun 24, 2023 Views 756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43278edb80c59843f9e0d18b0c2e28ea.jpeg

[이미지 제공=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DB(이채령), 해당 사진은 기사와 무관합니다.]


2023년 현재 '의대'에 진학하기 위한 '의대 준비반'이 최근 사회의 이목을 끌고 있다. '의사'라는 직업의 안정성과 고소득을 이유로 어릴 때부터 의대를 준비해 합격률을 높이려고 하는 것이다.


이는 곧 '의대 쏠림 현상'으로 이어지며, 초등생부터 의대 준비반에서 공부하는 것이 열풍으로 이어진 최근 사회 속에서는 이러한 의대 쏠림 현상이 '이공계 블랙홀'이라고 불려질 만큼이나 큰 우려를 낳고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의대 쏠림 현상의 궁극적인 원인은 무엇일까. 전문가들은 의대 쏠림 현상에 대해 우리나라의 사회문화적 흐름을 중심으로 주되게 이 이유를 설명한다.


과거부터 보수가 좋고, 높은 사회적 지위를 기대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굳어진 직업의 사회적 이미지를 현대 사회의 통념으로 받아들이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 뿐만이 아니다. 현 세대는 과학기술의 발전과 미래의 불확실성 속에서 경제적 상황에 예민하게 반응할 수 밖에 없으며, 이는 직업선택을 해야 하는 이들로 하여금 자신이 연봉이 높은 안정적인 직업을 원하도록 한다는 것 또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에 해당한다.


전문가들은 의대 쏠림 현상에 대해, 종합적으로는 인적자원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의학 계열로 많은 이과생이 진출함에 따라 결과적으로는 국가의 과학기술 경쟁력이 약화될 수 있을 가능성이 존재한다는 점을 지적한다.


일각에서는 현 상황에 대해 실질적인 대안을 촉구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지기도 한다. 올해만 해도 몇 차례의 '응급실 뺑뺑이' 사건으로 주의를 이끈 '응급실 의료진 부족으로 인한 인명 피해' 를 그 사례로 들고 있다.


한국의 현재 의료진의 수는 부족하나 인구밀도 자체가 높음으로 인해 마치 의료진의 수가 충분하다고 느껴지는 '착시 현상'을 느끼고 있다. 전문 의료진의 확충은 이루어져야 한다. 단 이것이 과잉 경쟁을 불러일으키는 잣대가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효과적인 대책도 마련되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의대 쏠림 현상의 해소를 위해서는 의사 수 증원으로 보건 인력 공급 확대, 이공계 진학에 따른 심리적 재정적 지원과 보상을 확대, 충족시키는 방안을 모색해보는 것이 대표적인 해결 방안으로 꼽히고 있으나, 이마저도 단기간에 추진될 수 있는 방향이 아님에 따라 현 상황의 지속성에 대해서는 확답을 내릴 수가 없는 실정이다. 


사회적으로도 민감한 주제인 만큼 신중한 접근과 해결 방안에 대해 지속적인 고민 또한 필요하겠으나, 점차 고령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국내의 상황으로써는 직업의 다양성 보호와 고른 인재 양성을 위해서라도 현 상황에 대하여 꾸준한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 여실히 드러난다. 아울러 오늘날의 '의대 쏠림 현상'은 실질적인 대책의 적용이나 정책 실행을 위한 관심, 사회적 인식의 개선과 같이 범사회적인 노력을 요구하는 문제임을 인식해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22기 이래경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89903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58397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71847
2016년 ‘위안부 손배소’, 이용수 할머니 증언을 끝으로 4년 만에 드디어 막 내린다 2020.09.16 이채은 7798
일본과 우리의 코로나19 대응 차이 2020.06.01 이다진 7798
임대료없어 폐업 위기, 소상공업자들의 위험 file 2021.02.01 최은영 7797
코로나19 백신, 팬데믹 해결의 열쇠가 되나 1 file 2020.11.24 임성경 7797
마스크의 대란 어디까지인가 2020.03.18 김도연 7797
여러 민주화 시위에서 사용되고 있는 손가락의 영향력과 힘 2021.04.29 김경현 7795
레바논의 수도, 베이루트에서 폭발이? file 2020.08.10 허예진 7782
우후죽순 터지는 인사 실패와 망언들, 급락하는 윤석열의 지지율 file 2021.12.27 윤성현 7778
코로나를 통한 사재기와 우리의 태도 file 2020.03.30 이수연 7777
코로나19, 동물도 피해 갈 수 없는 재앙 file 2020.09.28 최은영 7774
수에즈 운하 열렸지만 문제는 여전히 file 2021.04.02 김민주 7772
미국과 중국의 패권 경쟁에 놓인 홍콩 1 file 2020.05.26 신지윤 7769
코로나19의 재확산, 방역 당국과 교육 당국의 지침은? file 2020.08.25 홍승우 7767
의도적인 트럼프의 발언? 1 file 2020.03.06 권수현 7767
2020년 의사 파업 그리고 현재 file 2021.03.03 이채령 7755
이제야 끝난 장마, 기후변화에 경각심을 가질 때 file 2020.09.07 박영주 7753
프랑스 "2시간 30분 이내 거리 항공기 금지" 기후법 통과 2021.07.08 현나은 7752
백신, 안전한가? 1 file 2020.10.22 홍채린 7738
의대생 증원에 따른 파업과 약대 학부전환, 입시에 '나비효과' 줄까? 1 file 2020.08.21 차준우 7730
사회를 갉아먹는 '인간바이러스' file 2020.09.03 김예한 7727
코로나 아직 끝나지 않았다, 생활 속 거리두기 함께 하기 file 2020.05.12 임효주 7724
더 나은 대한민국을 만들 첫걸음, 4·15 총선 file 2020.04.08 박소명 7716
마스크 대란을 잡기 위해 내놓은 정부의 대책 file 2020.03.12 신지홍 7704
'의료계 총파업', 밥그릇 챙기기인가 정당한 투쟁인가 file 2020.10.29 유서연 7703
주한 외국인 증가율 file 2019.12.27 김희서 7703
심각한 경제위기에 직면한 일본.. 이대로 선진국 반열에서 탈락하나? file 2022.02.08 이성훈 7701
삼성전자 이 부회장의 2년 6개월 실형 선고... 또 다른 리스크인 보험업법 개정 결과는? file 2021.01.19 김가은 7698
코로나 백신, 가능할까? 1 file 2020.11.13 이채영 7694
공포가 된 독감백신‧‧‧ 접종 후 잇따른 사망 1 file 2020.10.26 윤지영 7690
차별금지법 제정, 한국 사회가 직면한 과제 file 2021.06.16 김도희 7684
온라인 수업의 부작용, 'VDT 증후근' 2020.08.31 오윤성 7675
등교개학 이후, 학교 VS 코로나-19 2020.06.16 홍승우 7673
3월 9일부터 실시된 마스크 5부제의 현재 상황은? file 2020.03.27 박가은 7672
탄화규소 전력반도체 웨이퍼의 대량 도핑 기술 개발... 대량생산 원천기술 확보 file 2022.02.28 한건호 7671
불법이 난무하는 도로, 범인은 전동 킥보드? 1 2020.10.12 이삭 7670
독감백신 종이상자로 유통 file 2020.09.28 윤지영 7670
창원 남창원농협 발 코로나 확진자 급증, "공동체의 안전을 위협하는 행위, 결코 용납할 수 없는 일" file 2021.08.20 우한인 7663
코로나19 사태, 숨겨진 일등공신은? file 2020.05.27 임서현 7660
코로나19에 의한 경제적 양극화 현상.. 그 이면에는 거대기업들과 무책임한 정부가 있다? file 2021.10.05 이성훈 7648
독감백신 사망자 점차 증가 1 file 2020.10.29 박정은 7646
코로나19가 불러온 고통 1 file 2020.03.16 최서윤 7643
코로나19로 힘든 시기에 한강, 과연 안전할까? file 2020.08.24 고종현 7638
광복절 집회에 대한 법원의 판결, 적절한가? file 2020.08.31 김근영 7633
야심 차게 내놓은 '서민·중산층 주거안정 지원방안' 과연 효과는? file 2020.11.24 김아연 7623
강북인터넷중독예방상담센터, 2022 스마트폰 가족치유캠프 개최 file 2022.07.15 이지원 7621
정세균 총리, '코로나 대규모 확산의 길에 서 있는 일촉즉발의 상황' 1 file 2020.11.23 명수지 7613
"우한은 코로나19 기원지 아니다" 다시 시작된 중국의 주장 1 file 2020.11.23 박수영 7605
'코로나19'로 소상공인 피해 입다 2020.03.26 이수미 760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