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우정은 가장 섬세한 사랑이다"...영화 '소울 메이트'

by 22기배현주기자 posted Jun 13, 2023 Views 750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당신은 당신에 대해 얼마나 잘 아는가이 영화는 이 물음에 긍정으로 답한 두 주인공의 생각을 깨뜨리며 전개된다. 나조차도 모르는 나를 발견하며 성장의 아픔과 불확실함으로 혼란스러워 하고 있을 때, 두 사람은 상대의 아픔을 알기에 서로에게 손을 내민다. 곁에 있든, 곁에 있지 않든, 태양과 달처럼. 사랑과 우정. 우정과 사랑. 미로 같은 두 단어 사이 서로의 꿈을 그리던 아름답고 찬란한 이야기. 영화 소울메이트를 소개한다.


우정은 가장 섬세한 사랑이다. 이 영화를 보는 내내 내 머릿속을 떠다니던 문장이다. 우정과 사랑은 별개의 것이라 생각했는데, 사랑 안에 우정이 있다. 벅차오르게 애틋하고 벅차오르게 사랑하는 감정이 우정이다. 좋아하는 남자가 생겼다는 하은의 말에 자신도 모르게 복잡미묘한 감정을 드러낸 미소처럼, 이들의 우정은 사랑 없이는 꺼낼 수조차 없는 것이다. 그도 그럴 것이 애인이 죽고 힘없이 살던 미소에게 하은이 토해내듯 뱉은 말은, 너를 진짜로 사랑하는 사람은 나밖에 없어, 라는 말이다. 그 말을 들은 미소의 마음은 속수무책으로 발가벗겨진다. 우정이 이보다 노골적일 수는 없다 느껴졌다. 해는 그림자 덕분에 안온하게 빛나듯, 돌고 돌아도 사랑을 뱉어내는 그들을 보며 사랑의 섬세함을 느꼈다


영화 중반부에 아주 잠시 비춰지는 영어 문구이다. 하은은 미소의 자유로움을 동경한다. 그리고 그 속의 섬세함을 사랑한다. 진우는 하은과 만나면서도 그의 얼굴에 있는 점을 발견하지 못한다. 미소는 하은에게 처음으로 뒷모습을 보여주면서도 하은의 점을 사랑한다. 나는 이 영화에서 둘의 사랑이 처음으로 드러난 장면이 바로 이 장면이라 생각한다. 진우는 옆에 있으면서도 모르지만, 미소는 곁을 내주면서도 그의 아주 작은 점을 아는 동시에 그걸 사랑하기까지 한다. 뒤돌아 볼 때 순간의 눈빛과 하품할 때 맺히는 눈물, 그리고 웃을 때 보이는 앞니 두 톨을 사랑하면서.


35b4972abe1a30625f0aff7a4d52a9bd.jpg

[이미지 제공=소울 메이트 공식 SNS]


나는 문득 당신이 늘 그리는 마음으로 살면 좋겠다고 생각한다. 사랑 없이는 그릴 수조차 없는 마음으로 살기를 바란다. 마음을 그리든, 봄을 그리든, 그리운 누군가를 그리든, 최대한 똑같이. 모든 그리움은 사랑을 닮아있다고 하는데, 이 영화를 본 당신은 외려 사랑이 그리움을 닮아있을 수도 있겠다고 생각했으면 좋겠다. 진우를 그리면서 자신의 마음을 깊이 알게 된 하은처럼, 당신이 그 사람을 그리며 당신의 사랑은 무엇을 닮아있는지, 그 사랑은 무엇을 그려내고 있는지 깨달아 마음에 새겼으면 좋겠다고 생각한다.

 

미소와 하은의 마지막 통화 장면을 보며, 헤어질 결심이 떠올랐다. 해준과 서래가 마지막으로 통화하며 서래가 자신의 마음을 완전히 고백할 때, 그제야 두 사람은 서로를 사랑하는 순간이 겹친다. 소울메이트를 보며 어쩌면 미소와 하은이 해준과 서래보다도 애틋하게 사랑했다고 생각했다. 헤어질 결심의 그들보다 사랑을 알아채기 어려웠을 테니까. 서래와 해준의 사랑은 아무도 모르는 깊은 바다 속에 있다면, 미소와 하은의 사랑은 그들이 쌓아온 무수한 그림들과 둘이 함께 비로소 완성한 미소의 그림에 묻어있는 것이다.


원작인 칠월과 안생의 화장실 씬을 보니 이 영화가 더 좋아졌다. 원작에서는 안생이 칠월과 가명 모두 사랑하지만 둘 중 한 명을 선택해야 한다면 망설임 없이 칠월이라고 한다. 돌고 돌아 깨닫게 되는 어떤 변치 않는 사실처럼. 칠월과 안생이라는 제목처럼. 우정이라 치부해 피해도 돌아올 사랑처럼.

 

"네가 아무 이유 없이 날 이해한 것처럼, 나도 아무 물음 없이 너를 이해할게." 영화를 다 보고 나니 마치 미소가 하은에게 했을 법한 말이 머릿속을 맴돌았다. 내가 나를 그리며 떠올렸을 우리의 무수한 순간들을 잘 간직한다는 다짐같은 영화라고 총평한다. 미소가 하은의 유작을 완성하며 고개를 돌려 창밖을 쳐다보았을 때 천천히 떠올랐을 여름의 은하수처럼. 

 

이 영화를 무어라 정의해야 할지 이 긴 글을 쓰면서도 끝까지 떠올리지 못했다. 숨이 차게 당신에게 달려가는 마음을 무어라 정의할 도리가 없다. 당신에게 가는 길에 본 꽃과 나무와 고양이 모두 당신 앞에서는 아무것도 아니게 된다. 나는 그래서 당신을 그리고 싶었다. 당신을 그리며 당신보다도 내 마음을 알고 싶었다. 당신을 느끼는 나의 마음을. 그 마음을 적나라하게 알게 되어 나는 당신의 그림으로만 남게 된 걸지도 모르겠다. 당신을 다시 만나는 날에는 내가 당신을 그려주겠다고 말하지도 못하고 나는 너의 그림이 되었다.

  

우정은 사랑보다 훨씬 비극적이다. 우정이 사랑보다 더 오래 가기 때문이다작가 오스카와일드가 한 말이다. 잔인하리만큼 미소와 하은을 완벽히 표현한 문장이다. 영화는 하은과 진우의 사랑에 대해서 깊게 서술하지 않는다. 그들의 사랑보다 더 큰 사랑이 미소와 하은의 마음에 자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뭐든 다 좋다는 말로 사랑을 퉁치는 진우의 사랑으로는 미소와 하은의 사랑을 가늠할 수 없다. 어쩌면 너무 가까이 있어 사랑인 줄 몰랐을 그들은 비극적이고 가히 사랑스럽다.


c72bf9f36952c717fb07cf46796fe9ae.jpg

[이미지 제공=소울 메이트 공식 SNS]


영화의 마지막 장면은 그림처럼 자유로운 하은이 바이칼 호수 앞에서 미소짓는 장면이다. 이제야 자유로워진 하은은 미소가 준 바이칼 호수 엽서 사진을 손에 들고 장엄한 바이칼 호수를 천천히 걸어나간다. 처음에는 이걸 왜 마지막 장면으로 한 건지 이해할 수 없었다. 하지만 두 번째로 이들을 마주하고 나선, 그 의미를 한 층 더 깊이 이해하게 되었다. 아무도 모를 너의 자유 앞에서 힘껏 행복하겠다는 너의 다짐. 그리고 옅게 띄우는 미소. 그 뜻만으로도 이 영화는 완전해진다. 이 영화는 단순히 사랑이나 우정을 논하는 영화가 아니라고 감히 말해본다. 두 단어를 뛰어넘어 흐릿하게 보이는 저 너머의 나와 너, 비로소 우리. 나만큼 아끼고 사랑하는 누군가가 있다면, 이 영화에 공감하고 눈물 흘리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이 영화는 물음을 띄우는 당신에게 직선을 그려 길을 제공하지 않는다. 다만 하은과 미소의 그림처럼, 흐릿하면서도 또 때론 선명하게 보여준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22기 배현주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667477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665092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084833
한국인들은 안경 끼고 밤 늦게까지 공부만 한다고? 3 file 2017.05.18 하은지 12668
한국인 유일의 단독 방북 취재, 진천규 기자 file 2019.02.21 오유민 15171
한국의 사계절이 사라지고 있다 file 2021.11.22 임나연 12428
한국의 빵빵한 지하철 와이파이 과연 일본은? file 2018.04.03 김진영 18634
한국을 알리다, 영국남자 4 file 2019.02.07 장혜원 17265
한국은행 전북본부 고교경제 토론대회 개최 7 file 2017.01.19 최희주 14880
한국은 지금 '젠트리피케이션' 몸살 중 file 2018.11.21 박태준 14061
한국은 제2의 영국이였다 file 2016.05.10 이지영 15801
한국외대 모의국제연합과 함께하는 제41차 HIMUN 총회 file 2017.07.25 이가영 15571
한국영화의 미래, <아이 캔 스피크> 2 file 2017.11.13 김서영 16131
한국에서만 유일하게 사용하는 것? 3 file 2017.03.26 전인하 15461
한국에서 접하는 이슬람, '한국이슬람교 부산성원' file 2017.05.14 허재영 16133
한국에서 점점 입지를 다지고 있는 일본 애니메이션 영화들 2 file 2017.10.24 정혜원 17986
한국에서 외국문화 즐기기 1 file 2016.08.24 강예린 19399
한국에서 기본소득, 득일까 독일까 19 file 2017.01.15 김혜진 21335
한국어린이기자단과 함께한 영화 ‘정글번치: 최강 악당의 등장’ 시사회 file 2018.04.11 디지털이슈팀 16904
한국스카우트연맹·토당청소년수련관, 청소년 나눔김장 사업 진행 file 2017.11.26 디지털이슈팀 14323
한국사회의 쌀 소비실태 현황 및 오늘날 쌀에 대한 청소년 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file 2016.10.25 권주홍 25411
한국사회와 유럽사회 2 file 2017.04.24 이시온 14982
한국민속촌, 가을 축제 '풍요로운 낭만조선' 진행 file 2022.10.13 이지원 8225
한국민속촌, ‘추석이 왔어요’ 명절 맞이 세시 행사 개최 file 2022.09.07 이지원 6918
한국민속촌, ‘시골마을의 한로일에는’ 행사 진행 file 2022.10.22 이지원 8679
한국문화원연합회, 재미와 유익함 동시에 잡은 콘텐츠로 지역문화 홍보 file 2023.01.02 이지원 7556
한국문화예술회관연합회, ‘2023년 전시공간 활성화 지원 사업’ 공모 file 2022.11.01 이지원 8225
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23년 ‘예술과기술융합지원 사업’ 공모 추진 file 2023.01.09 이지원 8747
한국만화영상진흥원, 만화콘텐츠 및 만화산업 육성을 위한 다양한 지원사업 진행 1 file 2017.04.04 문정호 20487
한국만화박물관을 다녀와서 2 file 2019.02.14 강재욱 15043
한국만화박물관에 가다! 4 file 2017.02.23 이예림 16766
한국디지털미디어고등학교 주관, 제2회 전국 청소년모의해킹대회 개최 file 2017.05.24 이정수 18381
한국뇌연구원 대강당에서 2017 세계뇌주간 행사 개최 1 file 2017.03.19 박은서 13100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2022 어린이 꽃그림 그리기 대회 개최 file 2022.09.14 이지원 8946
한국교통대학교 2017년 제16회 국원문학상 공모 1 file 2017.08.03 김경수 15553
한국교육개발원, 건강장애학생 교육 기회 확대 및 소통을 위한 메타버스 온라인 미술캠프 개최 file 2022.11.01 이지원 8032
한국교육개발원, ‘2023 한-OECD 국제 세미나’ 개최 file 2023.01.12 이지원 7736
한국과 일본의 미래를 위한, 한·일 중고생교류사업 file 2017.10.30 송지현 14573
한국과 다른 듯? 같은 듯! 일본의 가정과 학교 9 file 2017.01.24 박수연 26748
한국경제신문, 상경대 희망 고교생 위한 캠프 개최 2 file 2017.08.02 유채원 15122
한국걸스카우트 국제야영 "Act! Connect! Empower!" file 2017.08.23 김주희 16013
한국 프로야구, 겨울잠에서 깨다! 2 file 2017.03.30 김지헌 14977
한국 축구의 미래 U-20 축구 대표 팀 아디다스컵 우승! file 2017.04.02 서재성 16189
한국 청소년, 미국 친구들과 만나다! file 2019.07.29 이솔 15876
한국 천주교 순교자들의 역사, 오륜대 한국 순교자 박물관 file 2017.09.26 허재영 16256
한국 직장의 모습을 거짓 없이 드러낸 영화 '오피스' 6 file 2017.01.22 최윤정 15883
한국 외교의 발자취가 담긴 외교사료관에서 외교관의 꿈을 키워보자! file 2019.02.11 이채빈 21012
한국 영화산업, 세계로 나아가나 2017.08.11 김정환 14893
한국 속의 유럽 2 file 2016.07.25 김태윤 18125
한국 모바일 게임의 미래는? 1 file 2017.04.10 신지혁 15375
한국 로봇 융합 연구원, 로봇교육실 상설 운영 file 2016.08.14 이민정 1696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