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2023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 8개 나라의 특색 모아

by 박상연대학생기자 posted May 24, 2023 Views 603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6번.pn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박상연 대학생기자]


전라남도의 남서쪽에 위치하여 왼쪽에는 화순군과 오른쪽에는 광양과 여수 사이에 위치한 도시, 순천. 이 지역을 들어본 사람도, 그렇지 않은 사람도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순천만이라는 장소는 아는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어 있으며 한국의 갯벌이라는 칭호를 가진 관광객들, 특히 사진 작가들의 명소라 할 수 있다.


그렇기에 순천은 순천만이라는 장소를 등에 업고 얻고 싶은 칭호가 하나 있었다. 바로 정원이다. 순천은 우리나라의 정원 그리고 이제는 세계의 정원이라는 타이틀을 따고자 2000년대 초반부터 끊임없이 노력해 온 지역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2013, 순천만 국제 정원 박람회를 개최하면서 그 타이틀을 전국과 세계에 알리기 위해 힘썼다.


이러한 노력으로 20159, 국가 정원 1호로 선정되는 성과를 거두며 이번 2023년 순천만 국제 정원 박람회는 10년 전, 박람회의 재림이자 다시 한번 사람들에게 여기가 국제 정원임을 인식시키기 위함이라고 할 수 있다.


9번.pn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박상연 대학생기자]


그렇다면 순천은 어떤 정원과 어떤 구성을 해 놓았기에 대한민국의 생태도시이자 정원이라는 칭호를 여러 사람한테 각인시킬 수 있었을까? 이번 5월에 시작한 이 여정은 이러한 질문을 해소하는 여정이었다먼저 순천만 국제 정원을 가능 방법은 간단하다. 배차 간격이 10 ~ 20분인 100, 101번 버스를 순천역 또는 고속버스 터미널에서 타기만 하면 된다. 그렇게 버스를 타고 지나가면 순천의 시내부터 순천만까지 흐르는 동천이라는 하천을 끼고 있는 순천만 국제정원을 볼 수 있다.


동천이라는 하천을 기준으로 동쪽과 서쪽에 주차장이 위치하여 있는데 동문 주차장에서 내릴 경우, 한국관과 순천만까지 이어지는 스카이큐브를 즐길 수 있으며 서문은 세계 정원과 동물원 그리고 여러 먹거리, 상점들을 즐길 수 있다. 한국의 정기를 먼저 느끼고 싶다는 동문을, 세계의 각양각색의 정원을 즐기고 싶다면 서문으로 가는 것이 좋다. 워낙 국제정원의 부지가 넓다 보니 효율적으로 노선을 짜지 않으면 시간을 낭비하기에 십상이다.


그렇게 노선을 정하고 한국의 정기를 느껴보기 위해 한국관을 올랐다. 한국관은 약간 경사가 져 있는 길과 계단을 올라가다 보면 담백하고 익숙한 느낌의 정원 앞에 정겨운 한옥을 볼 수 있다. 3개로 나 있는 문 중 하나를 통해 들어가면 경주 안압지를 축소해 놓은 듯한 호수를 볼 수 있으며 우리나라의 전통적이고 수려한 미를 동시에 느낄 수가 있다. 그리고 온돌까지 제대로 구현해 놓은 한옥의 형체를 볼 수 있으니 관심이 있다면 뒤쪽으로 크게 한 바퀴 돌아보는 것이 어떨까.


다음은 건너편에 있는, 국제정원의 진면모인 국제 정원으로 향하기 위해 반드시 건너야 하는 코스가 하나 있다. 바로 꿈의 다리. 이 꿈의 다리는 2013, 초등학생 얘들을 대상으로 자신의 장래희망을 작은 종이에 적어 그것들을 모아 다리 안쪽에 진열해 놓은, 이제는 어른이 되어버린 초등학생들의 꿈의 다리 이다. 그 꿈의 다리를 지나면서 아까 지나온 동천을 다시 볼 수 있으며 이제는 순천만 국제 정원이 아닌 반대쪽인 시내를 가로지르는 동천을 볼 수 있다.


7번.png

[이미지 촬영=대학생청소년기자단 박상연 대학생기자]


이제 꿈의 다리를 지나 도착하면 바로 앞에 전통 놀이와 음식을 즐길 수 있는 여러 식당과 놀이터가 거리에 쫙 펼쳐져 있다. 이러한 놀거리 장터를 지나 서쪽 또는 남쪽으로 들어가다 보면 나오는 것이 바로 세계 정원, 일본, 이탈리아, 네덜란드, 태국 등의 8개의 나라의 특색을 고스란히 살린 정원을 접할 수 있다. 이 중에서 네덜란드, 일본, 태국, 이탈리아의 4개의 나라를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남쪽으로 내려가다 보면 독일 아래, 메타세콰이아 길 사이에 있는 네덜란드 정원을 접할 수 있다. 이 네덜란드 하면 생각나는 것이 튤립일 것이다. 이 네덜란드 정원에도 그 튤립 고유의 특성을 잘 표현하고 있어 형형색색의 다양한 튤립과 그 가운데에 네덜란드의 랜드마크인 풍차를 둬 이국적인 느낌과 네덜란드 고유의 특성을 멋들어지게 전시하여 사람들의 이목을 끌고 있다.


그 다음으로 도착한 곳은 이탈리아와 일본 정원으로 먼저 이탈리아는 16c 당시의 르네상스의 전성기던 이탈리아의 건축 양식과 그에 맞는 정원을 조화롭게 이뤄낸 정원이라 할 수 있다. 정원 쪽으로 확 트인 대리석 테라스와 사각 형태의 각을 맞춘 듯이 분리된 정원이 세련미와 정직함을 잘 드러내는 이탈리아의 특징을 잘 드러내었다


이 이탈리아 정원을 지나 바로 위쪽에 있는 일본의 정원은 아기자기함과 정교함을 위주로 한 특징을 뽐내고 있다. 이 뿐만 아니라 중간에 흐르는 시냇물과의 조화를 위해 일부러 바위와 이끼를 배치해 둔 점이 일본의 소박하면서도 자연을 배려하는 미덕이 담긴 정원이라 할 수 있겠다.


 4번.png

[이미지 촬영=대학생청소년기자단 박상연 대학생기자]


마지막으로 들린 것은 태국 정원이었다. 태국 정원에서의 가장 큰 특징은 모레를 해놓았기에 정원이었다는 것으로 삭막한 이미지만을 줄 것 같은 모레의 주변에 잔디와 야자나무를 해 놓았기에 마치 오아시스와 비슷한 느낌을 만들어낸 것이다. 이를 통해 모레를 물로 승화시키고 다른 나무에 비해 이질적인 야자나무를 오아시스라는 느낌에 동화시켰다는 해석도 가능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주변에 태국의 전통 가옥인 살리타이와 정원과의 조화도 제법 어울리며 동시에 다른 건축물들과 다른 대나무를 사용한 점과 하늘을 찌를 듯이 높이 치솟은 지붕을 보면서 태국의 다우와 다습의 기후를 잘 표현해 놓은 정원이었다.


 8번.png

[이미지 촬영=대학생청소년기자단 박상연 대학생기자]


이렇게 순천만 국제 정원의 한국관과 국제 정원 4곳을 살펴보았다. 이 정원들의 가장 큰 특징은 각 나라의 고유한 미와 특징들을 잘 살려냈다는 것이다. 그저 하나의 땅을 구역별로 나누고 다른 종류의 꽃을 심은 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닌 식물을 심되, 어떤 방식으로, 어떤 모양으로 잡히게끔 심으며 뿐만 아니라 이 구역만 너무 이질적이지 않으면서 주변과 잘 동화게끔 그 형태를 잡아낸 것이다. 이런 노력을 하였기에 국제 정원은 한 곳이 너무 튀거나 화려한 차별성을 줄이고 동시에 그 정원만의 고유한 특색을 잡아내는 것에 성공하였다. 동시에 사람들이 한곳으로 쏠리고 한 곳만 들리는 현상도 방지할 수가 있었다. 어쩌면 이것이 순천이 국제 정원이라고 여러 사람한테 불릴 수 있었던 이유가 아닐까 싶다.


순천만 국제 정원의 매력은 이것만이 아니다. 앞서 설명한 동물원뿐만 아니라 더 서쪽으로 가면 순천만 생태 교육원이 위치하여 있으며 이는 남쪽인 생태체험 교육장도 있으니 시각만이 아닌 다른 오감을 사용한 체험을 즐길 수 있으며 동문에는 편도 7 ~ 8, 왕복 16 ~ 17분 정도 걸리는 스카이큐브와 이것과 연결된 순천의 정수인 순천만도 들렀다 와보는 것이 어떨까. 여러 사람한테 국제정원의 건너편에 펼쳐져 있는 튤립 정원도 나가려는 이목을 다시금 사로잡기에는 충분할 것이다.


한국의 생태도시라는 타이틀을 갖게 해준 순천만 국제정원은 오는 1031일까지 개최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경제부=6기 대학생기자 박상연]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668779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666387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086109
SNS.. 그 편리함 속 숨겨진 역기능 4 file 2016.03.18 김주영 23277
tvN 인기드라마 '시그널'의 방송종료 5 file 2016.03.18 김윤정 17715
우리의 비극적이고 아름다운 역사들, 서대문형무소역사관. 4 file 2016.03.17 최찬미 18528
청소년들의 논문 Project Together! 3 file 2016.03.15 이지웅 15514
대구 세계화를 위한 청소년 연합, 시내 캠페인을 성황리에 마치다 8 file 2016.03.13 장보경 19090
취미, 이제는 즐거움과 집중력의 두마리 토끼를 잡다 4 file 2016.03.13 이지수 17171
3월, 새로운 시작의 달, 학생들을 위한 선물 4 file 2016.03.13 최서영 15395
'희움일본군위안부역사관'에 다녀오다. 2 file 2016.03.13 권은다 16237
2016 K리그 클래식 개막, 8개월간의 대장정 시작 2 file 2016.03.13 한세빈 15731
독도 사랑 필통을 만들다!!(하늘고등학교 한방울 봉사단) 6 file 2016.03.13 김강민 16228
[곰이 문 화과자] ' 3월 ' 문화행사 A to Z 2 file 2016.03.13 박서연 23142
Happy Walking, 금천 한가족 건강 걷기대회 2 file 2016.03.12 김혜린 15467
다문화 어린이와 함께하는 예능 발표회 보셨나요? 4 file 2016.03.12 이서연 15192
세계 섬유패션산업의 최신 트렌드 한 자리에… '대구국제섬유박람회' 4 file 2016.03.11 이세빈 18555
인피니트 호야 주연의 '히야' 예매율 1위 차지!! 6 file 2016.03.09 문근혜 17200
나를 알려라 : PR 문화 3 file 2016.03.06 이민재 15397
아날로그와 함께하는 롯데월드, 응답하라 1988 전시회 5 file 2016.03.05 김민지 19488
달콤한 디저트들이 가득한 [쁘띠북팔코믹스페스티벌:졸업전] 5 file 2016.03.04 오지은 16783
97년전 오늘... 9 file 2016.03.03 이송림 14635
[ 삼일절 ] 그날의 함성을 재현하다 5 file 2016.03.02 황지연 18729
'통일의 길목' 파주에서 국가 안보를 논하다. 9 file 2016.03.02 이송림 16731
3·1절을 맞은 온양온천전통시장의 풍경 2 file 2016.03.02 이지영 20712
세계의 공장 베트남으로 오세요!! 5 file 2016.03.02 김유민 15455
"깨어나라 대한민국! 우리는 하나다" 3.1 절 행사 4 file 2016.03.01 신예지 17037
아시아 문화의 메카! 국립아시아문화전당! 7 file 2016.03.01 이봉근 18728
오리지널을 뛰어넘는 바이오시밀러 9 file 2016.02.29 권용욱 15545
제88회 아카데미 시상식,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남우주연상 수상 7 2016.02.29 송채연 25769
세계적인 밴드 ‘비틀즈’ 노래를 음원사이트에서 들을 수 있다고? 7 file 2016.02.29 김수빈 17078
성북구청 주최, 설과 발렌타인데이를 맞이하여 공정무역으로 사랑을 나누다 9 file 2016.02.28 김혜연 18479
재미있는 영어책 읽기- 영어스토리텔링 봉사단과 함께! 16 file 2016.02.27 이채린 21206
27일, 서울시 어린이 청소년 참여위원회 오리엔테이션 열려 5 file 2016.02.27 황지연 17860
생명 보험, 제대로 알고 가입하자 6 file 2016.02.26 조수민 16301
지속가능한 발전목표(SDGs) 확산을 위한 모의유엔MUN 컨퍼런스-SDGMUN 7 file 2016.02.25 김세영 17483
달! 달! 무슨 달! 쟁반같이 둥근 달! 8 file 2016.02.25 조민성 18118
쩍벌 없는 바람직한 지하철 문화...작은 시작이 불러온 변화 6 file 2016.02.25 이상훈 19965
호스피스 들어보셨습니까? 9 2016.02.25 최민지 21289
문이과 통합형 인재? PSL에서 경험하라! 7 file 2016.02.25 이은경 19307
자전거가 타고 싶은 날엔...'피프틴'으로 가자! 4 file 2016.02.25 이상훈 18230
한국축구의 뿌리, K리그 연간회원! 4 file 2016.02.25 박성현 20017
14년만에 세상에 나온 영화 ‘귀향’ 7 file 2016.02.25 윤주희 14849
사람들의 영원한 네버랜드, 테마파크 더 발전하다 5 2016.02.25 명은율 17229
설특집 파일럿 예능 프로그램 총 정리, MBC 웃고 KBS 울다 4 file 2016.02.25 류보형 17756
나를 위한 작은 힐링, 마음 약방 4 file 2016.02.25 김민아 22008
돌아보는 '설날'.... 연휴의 연장선 아닌 온정 나누는 우리의 고운 명절 5 file 2016.02.25 안성주 23581
'코이카'를 통한 청년 해외 일자리 찾기 6 file 2016.02.25 강지희 17467
발렌타인데이에 가려진 '그 날' 8 file 2016.02.25 한지수 16982
서울시교육청 전자책 서비스 See, 한번 이용해 볼까요? 5 file 2016.02.24 지예슬 15973
충북 청소년 노동인권캠프 ‘꽃보다 노동-지금보다 더 괜찮을 거야.’ 4 file 2016.02.24 곽도연 2240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