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진학&진로

청소년 작가 이재은, 첫 역사기행 '선비의 케렌시아, 정자' 출간

by 23기이재은기자 posted May 24, 2023 Views 383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87a549607e021e63570adc7690aa8d0c.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22기 이재은 기자]


지난 4월 청소년 작가 이재은의 첫 역사 기행 『선비의 케렌시아, 정자』가 출간됐다. 청소년들을 위한 복합공간이 현대의 케렌시아 역할을 하듯 이 책은 과거 선비들의 케렌시아였던 정자를 소개하는 정자 답사기이다. 


86세 외할머니와 16세 청소년 작가가 협업하여 만든 첫 작품으로 정자 최다 보유지역 봉화에 위치한 총 8개의 정자를 소개하고 있다. 각 정자는 가족, 인간관계, 자연, 교육 등 누구나 한 번씩 고민하는 주제들을 풀어내 삶을 성찰하고 케렌시아의 첫걸음을 제시하며 방황하는 현대인들에게 옛 선비의 지혜를 재밌게 전달하고 있다.


eefb4ebfc1babe177d10f32f2bf9887a.pn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22기 이재은 기자]


경상북도 봉화는 전국에서 정자가 가장 많기로 유명하다. 현재 남아있는 정자만 해도 100여 개가 있다. 봉화에는 왜 유독 정자가 많은 걸까? 당시 조선시대에는 4대 사화(무오, 갑 자, 기묘, 을사사화)와 전쟁으로 인해 관직을 떠난 선비들이 많았다. 봉화는 태백과 소백 양 백이 만나는 경치가 빼어나다는 명성이 자자했고 유학의 거점인 안동과 밀접한 지리적 장점까지 합쳐 관직에서 물러난 선비들이 봉화에 많이 왔다고 한다.


그 시기에 세워진 정자는 삶이 편안할 때 마련하는 단순한 별장이 아니라 가장 지치고 은둔할 수밖에 없을 때 지어진 것이 특징이다. 관직에서 물러난 선비들은 낙심하고 지친 마음을 자연과의 교감을 통해 치유하기 위해 주로 조용한 강가나 깊은 숲에 지어졌다. ‘공간혁명’의 저자 골드 헤이건은 인간은 유전적으로 자연과 가까운 환경을 갈망하고 자연 세계와 밀접한 관계를 지속할 때 행복감을 느끼도록 설계되어 있다고 말한다. 


또한 정자는 쉼의 공간으로 사상을 토론하고 술과 달에 취해 풍류를 즐기며 문화예술을 나눌 수 있는 자유로운 공간이었다. 지인들과 대화와 사귐을 가지기도 하고 홀로 자연 속을 거닐며 생각에 잠길 수 있는 이상적인 공간이기도 했다. 이외에도 많은 시와 문학작품들의 창작발전소이자 문화예술의 중심지였다. 정자는 선비들의 케렌시아였다. 케렌시아(Querencia)는 스페인어로 제3의 공간, 안식처를 의미한다.


매년 청소년 가출 건수는 늘어나는 추세이며 지난달 남학생의  24.2%, 여학생의 33.5%가 우울증을 경험했다는 통계가 교육부와 질병관리청을 통해 발표됐다. 특히 코로나 팬데믹 이후 활동의 제한과 공간의 제한이 청소년들에게 악영향을 미쳤다. 청소년들의 정신 악화에 대응해 청소년들은 직접 스트레스 해소할 만한 자신만의 아지트를 찾기 시작했다.


대표적인 예시로는 청소년들이 직접 설계한 공간 ‘펀그라운드’와 같은 청소년문화의집이나 영등포구에서 시행되는 청소년자율문화공간, 청소년 창작 작업실로 설계된 공간; 스토리스튜디오처럼 우리 주변에는 청소년들에 의한, 청소년들을 위한 공간들이 늘어나고 있다.


지금 우리에게 정자와 같은 공간은 어디에 있을까? 충분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나만의 안식처, 은신처를 찾는 일은 오늘날 청소년들의 최우선 관심사가 아닐까? 선비의 정자는 나만의 케렌시아를 찾고 있는 청소년들에게 소중한 길잡이가 될 것이다.


교보문고 POD 주문형으로 출판된 이 책은 인터넷 혹은 모바일교보문고를 통해 구할 수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22기 이재은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청소년 작가 이재은, 첫 역사기행 '선비의 케렌시아, 정자' 출간 file 2023.05.24 이재은 3832
‘KB인재양성’ 장학금 전달식 열려 file 2023.04.07 디지털이슈팀 3428
[포토] 2023년 첫 전국연합 필적란 “온 세상이 너를 닮은 꽃빛으로” file 2023.03.27 정은비 4160
용산구, '청소년 디지털월드' 3월 개관...VR 체험공간 마련 file 2023.02.28 디지털이슈팀 4533
퀄컴 후원 로봇챔피언십 대회, 대전서 성황리에 마쳐 file 2023.02.10 디지털이슈팀 4115
서울시교육청, KT와 청소년 AI 전문가 육성 나선다 file 2023.02.07 디지털이슈팀 4541
용산청소년문화의집, 청소년 요리조리 베이커리 진행 file 2023.02.01 디지털이슈팀 3153
한화, 우주 영재 육성 프로젝트 ‘우주의 조약돌’ 1기 수료식 완료 file 2023.01.09 이지원 3611
서울시립문래청소년센터, 자유학기제 프로그램 ‘2023 그린로드’ 운영 file 2023.01.06 이지원 3395
국립극장, 2023년 1월 예술교육 프로그램 수강생 모집 file 2022.12.30 이지원 3216
문화예술네트워크 위드, ‘예술 전공생이 꼭 봐야 할 나만의 방향성 설정’ 온라인 클래스 오픈 file 2022.12.23 이지원 3138
한국교육개발원, 12월 7일 제188차 KEDI 교육정책포럼 개최 file 2022.12.06 이지원 4084
청년 자립 돕는 직업교육 SK 뉴스쿨, 2023년도 신입생 모집 file 2022.11.29 이지원 3917
SK행복나눔재단, 시각장애 아동 위한 페스티벌 ‘점자로 만나는 세상’ 성료 file 2022.11.18 이지원 3881
강동구청소년지원센터 꿈드림, 학교 밖 청소년 인식개선사업 ‘가을여행’ 진행 file 2022.11.16 이지원 4302
에스모드 서울, 2023학년도 신입생 모집 오픈캠퍼스 11월 18일 개최 file 2022.11.14 이지원 3187
한국플랜트산업협회, 국비 지원 ‘플랜트 전문 인력 양성 과정’ 겨울 학기 교육생 모집 file 2022.10.18 이지원 3882
2022 전통예술 기획자 양성 프로젝트 참가자 모집 file 2022.10.15 이지원 330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9 Next
/ 29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