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이상일 작가와 함께한 '여인과 인생' 특별전

by 23기이재은기자 posted Apr 06, 2023 Views 717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스크린샷 2023-03-26 오전 12.02.18-min.png[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22 이재은 기자]


경기도 이천에 위치한 복합문화공간 ‘라드라비'에서 <女人과 人生> 특별전시가 진행 중이다. <여인과 인생>은 ‘라드라비'의 대표이자 과거 국내 최초 부티크샵 ‘헤어뉴스'를 만든 헤어디자이너이자 패션디자이너였던 이상일 작가가 그려온 회화작품과 설치미술로 전시되어 있다. 전시관에서는 작가의 어린 시절부터 거슬러 디자이너 시절, 은퇴 이후 그리고 미래지향적 상상력까지 포함한 다양한 작업들을 만날 수 있다. 35년간 만났던 고객들에게 대한 감사, 가족들과의 애환, 소소한 일상, 여행 속 추억과 작가의 상상을 교감하게된다.


전시는 10시 30분, 12시, 2시 그리고 4시 회차별로 진행하며 도슨트 안내를 포함한 입장료는 성인 기준 2만 원이다. 이상일 작가를 직접 도슨트로 만나는 행운도 전시관을 찾는 즐거움이 될 것이다.  물론 기자도 작가의 열정적인 직접 전시해설를 듣는 행복을 누렸다.


이상일 작가는 전시해설을 시작하기에 앞서 “그림은 자기 생각을 펼치는 것으로 머릿속으로 그림을 잘 그려야겠다는 생각이 들면 펜을 놓는다”고 말했다. 이처럼 작가는 그림에 완벽이나 욕심을 추구하며 테크닉에 집중하기보다는 감정과 생각을 그려냈다. “솔직함보다 더 아름다운 것이 없지 않느냐”며 웃음지으며 자신의 미학을 말했다. 


스크린샷 2023-03-26 오전 12.02.02-min.pn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22기 이재은 기자]

제1전시관에 소개된 ‘꽃시장의 인생'은 정해진 틀 없이 30대부터 작업한 그림을 이어가며 퍼즐처럼 계속 새로운 상상력을 더해 그림을 연결하고 확장해왔다. ‘아버지 울아버지’는 작가의 예술적 영감의 원천인 지금도 그리운 아버지를 커다란 고목, 그리고 자신과 그 추억들을 잎새로 표현한 작업이다. 또 다른 작품 ‘뷰티DNA’는 30년간 일했던 헤어 부티크 당시 고객들의 모발이 건성인지 지성인지 진단해 최적의 약품과 스타일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며 제작한 모발 진단키트에 남은 머리카락을 사용해 만든 작품이다. 작가는 은퇴 후 소각장으로 모발 진단키트에 남은 머리카락을 버릴 예정이었다. 그런데 그렇게 소각해 버리기에는 자신을 아름답게 은퇴할 수 있도록 도왔던 고객들에 대한 예의가 아니라는 생각에 수만 개의 약품 캡슐에 담아 감사로 승화시키는 창의, 쓰레기에서 예술픔을 만들어냈다. 


제1 전시관을 빠져나오자 마치 런웨이가 생각나는 구조로 상상해보지 못한 전시관이 이어졌다. 런웨이이며 천이며 모두 작가가 일반적인 갤러리 흰 벽에 전시되는 전형적인 전시 모습을 달리해보려는 아이디어에서 나온 결과다. 전시된 작품부터 전시관 구조까지 작가의 창의적인 컬러와 함께 전시의 높은 완성도를 느낄 수 있었다. 전시관 가운데에는 ‘인생은 나룻배'라는 설치작이 마치 물에 떠있는 나룻배처럼 자리 잡고 있었다. 작품의 소재가 뭘까? 살면서 핀 담뱃값 모두를 버리지 않고 모아, 마치 배의 짐짝처럼 자신이 모아온 사진들과 함께 결합한 작품이다. 작가는 이렇게 기발한 방식으로 인생여정을 또한 보여 주었다. 


‘광화문 패션쇼'는 작가가 접신하는 환영처럼 디자인 영감을 받으며 굴곡진 우리근현대사를 그려냈다고 한다. 광화문은 일제강점기, 6.25 전쟁, 촛불집회 그 모두를 지켜본 역사적 건물이다. 그렇게 겪은 수난을 광화문처럼 떠올리며 막막한 감정과 함께 시작된 된 상상력이다. 톤다운 된 돌들은 마치 멍이 든 것처럼 표현했고 디자인한 옷들과 함께 피날레는 곤룡포 의상으로 재해석해 자신을 대한민국의 디자이너로 세계 앞에 당당히 표현하고자 했다. 작가는 광화문을 기리는 동시에 광화문을 볼록하게 표현해 미래지향적 대한민국의 희망을 입혔다.


설치작 ‘라스트 뷰티’에서는 작가의 죽음에 대한 남다른 해석을 볼 수 있다. 단언컨대 세상에 유일한 생존한 사람을 위해 미리 설치된 장례식장이자, 예술작품이 아닐까? 작가는 상복을 검은색이 아닌 흰색으로, 지금도 수없이 쓰다 버려지는 냅킨 휴지를 활용하여 꽃상여 지붕을 만들었다. 죽음은 누구나 꽃처럼 활짝 피다 시드는 인생이란 고찰을 담고 있었다. 작가에게 인생은 고통이 아닌 뷰티, 아름다움이며, “죽음은 슬픔이 아니라 자유를 읊는 것으로 마음의 영원한 평화이자 축제 카니발이다”고 말했다. 이렇게 죽음을 직면할 수 있고, 아름다움으로 승화시킨 공력이 놀라울 뿐이다. 


제4 전시관으로 이어지는 마지막 전시는 이전 작품과는 정반대로 ‘퍼스트 뷰티'라는 작품이었다. “인생에는 마지막도 처음도 순서가 없다”라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의도된 동선 구성 중 하나였다. 건물구조까지 더해 기획된 해설은 삶과 죽음을 더욱 깊이 성찰하는 기회를 만들었다.


전시해설을 할 때 이상일 작가는 자주 눈을 지그시 감으며 설명을 이어갔다. 관람객들의 얼굴을 보면 본능적으로 얼굴형에 어울리는 게 뭐가 있을까  헤어디자이너 직업병으로 해설을 집중하기 어려웠단다. 해설에 그래서  집중하기 위해 눈을 감는다고 직접 설명했다. 이렇듯 헤어 디자이너라는 직업이 얼마나 작가의 인생의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지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다. 한 사람이 최선을 다해 경주했던 업이 미칠 수 있는 영향력의 가치를 생각할 뿐만 아니라, 그 영향력을 뷰티로 승화시켜가는 작가 이상일 대한민국 청소년들이 많이 만났으면 좋겠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22 이재은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667851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665463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085239
'스포티파이', 드디어 대한민국에... 여전히 없는 '아이유' file 2021.02.18 최다빈 15075
'시간을 파는 상점'-시간의 위대함 1 file 2018.03.14 박채윤 20471
'신흥 강자'로 불리던 게임들이 유독 한국에서 부진한 이유는? 1 file 2020.09.21 김상혁 89035
'아덴만 여명작전' 6주년 기념식 부산서 열려 13 file 2017.01.20 서상겸 23293
'아듀! 2017년' 양양 해맞이 축제 현장을 가다 4 file 2018.01.03 마준서 14381
'아름다운 팬심' EXO 팬, 강릉 산불 피해 이웃 도왔다 3 file 2017.06.06 김현정 14959
'아산 동물 보호연대'를 아시나요? 2018.07.20 오가람 19469
'아이돌 마케팅', 건강한 소비생활을 위협하다 2 file 2018.02.02 한채은 17759
'아티스틱'한 염주체육관에 다녀오다 file 2019.07.26 김석현 14723
'아파트 숲'이 된 북서울 6 file 2017.01.20 이다빈 32327
'아프리카의 산업화 촉진' AfDB 연차총회 file 2018.06.20 박다현 14888
'안아키'라고 아시나요? 1 file 2017.05.07 정주연 14813
'알라딘', 연기와 음악 모두 접수하다 1 file 2019.07.29 김민정 14250
'알쓸범잡', '웰컴 투 비디오' 손정우 판결은 "무지에서 비롯된 안이함" file 2021.04.26 김수연 10535
'야민정음', 언어유희일까 한글파괴일까 file 2017.05.26 서은유 29825
'어른이'들을 위한 전시회, 슈가플래닛 file 2019.01.02 윤은서 14873
'어른이'들을 위한 한강 놀이터 2 file 2017.08.27 강유진 20698
'에브리타임' 익명성 개선 인식은 어떠한가? file 2020.11.09 석종희 22978
'영화에 집중이 안되잖아요!' 고통받는 관람객 3 file 2017.09.01 권나연 15073
'예측불허' PL 순위싸움... 우승-챔스 티켓-강등 주인공 '아모른직다!' 1 file 2022.03.23 손동빈 9342
'오늘 엄마가 죽었다. 아니, 어쩌면 어제. 모르겠다.' 2 file 2019.09.30 김민경 20474
'오리대감'과 함께하는 광명축제 열려 file 2015.05.17 김민지 36717
'와칸다 포에버' 블랙 팬서 채드윅 보스만의 사망 2 file 2020.09.03 이다원 14551
'요즘 핫하지 말입니다'...'태양의 후예'의 이모저모 file 2016.03.21 이채은 15249
'우리끼리 해냈다' 삼성화재, 2018 제천·KAL컵 남자프로배구대회 우승...MVP 송희채 file 2018.09.20 김하은 15725
'우리나라의 자랑스러운 과학기술인 팝아트 전' 개최 file 2017.08.04 오태윤 16984
'원더우먼'으로 보는 국제적 이해관계 2 file 2017.06.19 김다은 14698
'위드코로나', 전 세계적으로 효과 있었을까? file 2021.11.25 서승현 11079
'위안부' 할머니들을 지키고 평화를 가꾸는 우리는 피스가드너입니다. 17 file 2017.01.18 이민지 22363
'유기동물 행복찾는 사람들' 바자회 개최 1 file 2018.05.25 정수민 14067
'유비라 불리던 사나이' 유상철, 하늘의 별이 되다 file 2021.06.10 이정훈 12178
'유통기한 vs 소비기한'...지구를 위한 현명한 선택은? 1 file 2020.08.27 길서영 18353
'의료기술, 생명윤리의식' 둘의 관계, 의료계열직업 희망학생들이 고려해야할까? file 2017.05.25 진시은 17151
'이상문학상'을 아시나요? file 2017.03.25 정준서 14244
'이태원 클라쓰', '쌍갑포차' 등 연이은 웹툰 드라마의 열풍 2 file 2020.06.03 이다원 21936
'인생꿀로윈 디저트 페스티벌' 즐기러 송도 가자 1 file 2017.10.17 김민 16018
'인형 뽑기 방'의 유행, 과연 소소한 재미일까. 7 file 2017.02.25 김현서 19883
'자도 자도 부족한 그 존재, 잠'...수면이 이루어지는 과정은? 1 file 2022.02.11 하지수 9139
'자살', '살자' 1 file 2016.08.25 최호진 16217
'저와 친구가 되어 주실래요?'- 제주 강정마을 (제주 해군기지) 1 file 2017.03.04 김예진 17026
'전현우+모트리 45점' 전자랜드, 오리온 꺾고 4강 PO 진출 file 2021.04.19 윤서원 10533
'제 98회 3.1절 기념식' 강원대학교에서 열려 2 2017.03.14 유찬민 12913
'제12회 칠갑산얼음분수축제'가 열린 알프스마을 2020.01.06 이다원 15683
'제15회 서울환경영화제'에서 환경문제의 심각성을 알자! file 2018.06.18 김태희 14477
'제22회 부산바다축제' 내 마음속에 저장! 3 file 2017.08.06 신수범 14540
'제5회 부산 청소년 열린 축제' 개최 1 file 2017.05.25 김예원 13580
'제5회 포항 운하 축제' 개최 2 file 2018.09.28 정수민 13610
'제6회 전국 감사편지 공모전' 감사한 마음을 전해보아요 file 2021.04.02 하늘 1327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