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마우리치오 카텔란이 당신에게 질문하다

by 김하은대학생기자B posted Mar 22, 2023 Views 875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김하은 대학생기자B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김하은 대학생기자B]


바나나를 덕 테이프로 벽에 붙여놓은 '코미디언' 작품으로 유명한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전시회가 한국에서도 열렸다. 서울 리움미술관에서 진행되는 '마우리치오 카텔란 : WE' 전시회의 규모는 역대 두 번째로, 총 38점의 카텔란의 작품이 진열되어 있다. 


카텔란은 이탈리아의 가난한 집안에서 태어나, 온갖 잡일을 하며 20대 후반까지 미술과는 동떨어진 삶을 살았다. 이랬던 그가 어떻게 전세계를 돌며 자신의 작품을 전시하는 예술가가 될 수 있었을까? 카텔란의 전시에서, 그 이유를 조금은 찾을 수 있었다.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김하은 대학생기자B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김하은 대학생기자B]


보자마자 시선을 속박시키는 듯한 말의 조각. 머리가 벽에 끼어 옴짝달싹 못 하는듯한 자세 같기도, 높은 곳으로 도약하는 찰나를 담아둔 모습 같기도 하다. 중요한 건 머리가 없다는 점이다. 그렇다면 반대의 경우엔 어땠을까? 종종 사람들은 동물의 머리만을 박제해 액자에 걸어두곤 한다. 이를 ‘헌팅트로피'라고 부르는데, 아마 이번 전시에서도 말의 머리만이 진열되어 있었다면 우리는 별 감흥 없이 지나쳤을지도 모르는 일이다.


하지만 단순히 보이는 부분을 다르게 하자, 관람객의 발길을 멈추고 눈길을 모으게 했다. 카텔란은 무엇을 말하고 싶었던 걸까? 헌팅트로피 속 동물들의 ‘나머지'도, 저런 모습이었을까? 벽 너머에 있을지도 모를 말의 표정을 괜히 상상해보게 된다.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김하은 대학생기자B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김하은 대학생기자B]


아래서부터 차례대로 당나귀, 개, 고양이, 까마귀가 한 곳을 응시하며 울음소리를 내고 있다. 무엇을 보고 있는 걸까? 이 동물들은 ‘브레멘 음악대’에 등장한다. 다른 점은 '브레멘 음악대'에서는 까마귀 대신 닭이 등장한다는 것이다. 이 동화는 늙고 병든 자신을 처리하려는 주인을 피해 모험을 떠난 당나귀가, 자신과 뜻이 맞는 동물 친구들과 함께 음악의 꿈을 키워 브레멘으로 향한다는 내용이다. 


동화는 해피엔딩으로 끝나지만, 동화 속에서 튀어나와 눈앞에 있는 이들을 보고 있자니 현실적인 고민에 빠지게 된다. 과연 그들은 모두가 무사히 지낼 수 있었을까? 수명도, 습성도, 특징도 모두 다른 이들이 과연 서로를 의지하며 산다는 것이 가능했을까? 자신을 지킬 날카로운 이빨도, 맹수같은 힘도 없는 이들이 과연 인간들에게서 영원히 무사했다고 말할 수 있을까. 천적을 마주 대고 우는 듯한 고양이의 표정이, ‘해피엔딩’이라는 글자만으로는 포장할 수 없는 수많은 삶의 고통을 구체화하는 것 같다.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김하은 대학생기자B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김하은 대학생기자B


‘방 안의 코끼리'란 말을 들어본 적이 있는가? 이 말은 '누구나 알고 있지만 아무도 말하지 않는 문제'를 방 안에 코끼리가 있다는 현상으로 비유한 말이다. 스쳐 지나가기만 해도 알아차릴 수 있을 정도로 코끼리는 거대하다. 모두가 코끼리를 보고 지나가지만, 그리고 누구나 저 코끼리를 인식하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사람들은 약속이라도 한 듯 침묵을 지킨다.


카텔란은 정말 새끼 코끼리를 형상화하여 방 안에 배치했다. 코끼리가 쓰고 있는 흰 천은 그저 핼러윈 의상처럼 보일지 몰라도, 조금만 더 예리한 시각으로 바라본다면 미국에서 활동하는 백인우월주의 단체(일명 ‘KKK’)의 의복과 상당히 닮았다는 걸 눈치챌 수 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의 ‘방 안의 코끼리’는 무엇일까? 누구나 알고 있는 문제는 침묵을 양분 삼아 우리 모두가 밟고 있는 땅을 천천히 잠식시킨다. 그 침묵을 깨고 문제를 정면으로 마주할 때, 우리는 서로를 더 이해하고 함께 나아갈 힘을 얻게 될 것이다. “방 안에 코끼리가 있다!”라고 외치는 것, 그것이 시작이다. 카텔란은 자신의 작품을 통해 소리 없이 외친 것이 아닐까. 


이렇듯 카텔란의 작품은 보는 순간 시선을 사로잡는 힘이 있다. 그리고 1차적인 충격의 여파를 남기고, 그 후에 관람객이 작품 앞에 서서 한참을 고민하게 만든다. 실제인듯한 착각을 일으키는 작품의 섬세한 묘사도 이목이 쏠리는 데에 큰 역할을 한다. 또한 전시장에서는 눈길을 단번에 사로잡는 커다란 작품들과 함께, 자세히 살펴 보아야 알 수 있는 자그마한 작품들도 관람의 재미에 가담한다. 


카텔란은 자신을 '예술계의 침입자'라고 규정한다. 그는 정해진 형식을 따르지 않고 자신만의 방식으로 세간에 충격을 준다. 작품은 말을 하지 않지만, 그 앞에 선 관람객은 작품 뒤에 숨은 카텔란이 자신에게 끊임없이 질문하고 있는듯한 느낌을 받는다. 말을 하지 않고도 질문을 던질 수 있는 힘, 이것이 카텔란이 세계적인 예술가가 된 이유가 아닐까.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6기 대학생기자 김하은]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671103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668789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088532
1월의 '충남도서관' 탐방 file 2021.01.26 노윤서 14340
1세대부터 3세대까지 변치 않는 팬심 file 2017.09.29 최서은 16990
1부 승격, 다크호스로의 비상을 꿈꾸다 file 2015.05.17 정은성 23410
1년에 한 번 피는 꽃, 한화와 함께하는 서울세계불꽃축제 2017 file 2017.10.16 김세령 13773
1년에 단 한 번! ‘2021년 대한민국 한복 모델 선발대회’ 개최 file 2021.03.11 김태림 12697
1년 365일 자원봉사하기 좋은 날 2 file 2019.03.29 김수현 18553
1987년 여름, 그들은 무엇을 위해 거리로 나왔을까? 6 file 2018.01.24 박환희 15998
1980년대 그때 그시절의 편지 20 file 2016.02.20 지다희 30700
1930s 근대, 이야기 속으로! 군산시간여행축제 file 2017.09.29 김주빈 20077
1919년 3월 1일 , 그날의 함성이 우리에게 닿는 날 file 2016.03.21 한지혜 16330
1636년의 병자호란, 2017년에 다시 펼쳐지다. 2017.10.18 전성준 14728
14년만에 세상에 나온 영화 ‘귀향’ 7 file 2016.02.25 윤주희 14855
14,15 장미꽃 다음은 스승의 날!? 2017.06.10 김윤지 14121
13의 의미 file 2021.09.28 이준호 10440
13년째 사랑받고 있는 벚꽃 축제 3 file 2018.04.12 강서빈 19600
137년 vs 14년, 한 맺힌 팀들의 대결…UCL 결승 6월 1일 개최 file 2019.05.31 권진서 16102
12월에만 6골, 손흥민 아시안컵도 품을까 4 file 2019.01.03 서한서 15854
12월 국산 중형차량 판매량, 중형차의 왕은? 12 file 2018.01.24 김홍렬 17213
12월 25일에 학교 가는 나라 1 2020.12.28 오예린 12132
12월 1일은 세계 에이즈의 날! file 2020.12.23 윤현서 12219
11월은 남성의 달 “Movember” file 2021.11.29 유수정 8899
11월 22일, '김치의 날'을 아시나요? file 2021.11.23 민유정 12124
11월 11일은 '빼빼로 데이'? 2 file 2016.11.27 신수빈 16316
11월 11일, 빼빼로 대신 묵념은 어떨까? 2 file 2020.11.30 신재호 12168
10월의 축제, 핼러윈 1 file 2017.10.27 4기윤민경기자 16424
10월, ‘문화가 있는 날’과 함께하는 여유로운 가을 산책 file 2022.10.24 이지원 7324
10월 25일은 독도의 날... 제 4회 경상남도 독도사랑 골든벨 퀴즈대회 열려 file 2017.10.30 이영혁 13730
10대의 화이트데이는 '별 의미없는 날…'이다? file 2017.03.17 권나규 15005
10대들이 받고 싶어 하는 선물은? file 2020.01.03 이채희 47388
10대들의 마음을 사로잡은 패션 브랜드 '키르시(KIRSH)' 9 file 2019.04.12 김세린 40388
10년 차 걸그룹의 화력...음원차트 올킬 3 file 2020.04.20 조기원 12573
101명에 대한 사랑은 무엇일까 file 2017.07.23 하은지 14328
100만 명이 다녀간 ‘2019 장성 황룡강 노란꽃잔치’ file 2019.10.25 조햇살 15611
100m 안에만 3군데… 그 이유는? 9 file 2017.02.25 정세은 15316
1000원? 5000원? 아니, 이제는 2000원! 2 file 2017.09.28 이승희 15672
1.3세대가 함께 만들어가는 2017 함지마을 축제 '함께 이룸' 2017.10.26 조유진 15695
1,400년 역사와 드론의 찬란한 만남...'익산 미륵사지 미디어아트 쇼' file 2021.09.24 김수인 12564
(현장취재) National Assembly 알고보면 국민에게 가까운, 대한민국 국회에 대해 알아보자. file 2017.02.25 박재범 15095
'힐링(healing)'이라는 따뜻한 단어 속의 차가운 진실 마주보기 9 file 2016.02.21 최원영 19307
'희움일본군위안부역사관'에 다녀오다. 2 file 2016.03.13 권은다 16258
'황소' 황희찬이 라이프치히에 왔다? 1 file 2020.09.25 김시윤 11054
'환경보호국민운동본부'와 시민들이 함께하는 '겨울철 야생동물 먹이주기 행사' 열려 8 file 2017.01.25 박소윤 14789
'화장 왜 하니?'에 대한 시대별 답변과 화장법 file 2020.06.03 조은솔 15165
'화성의 자랑' 송산 포도 축제장으로 file 2017.09.12 이지은 17187
'호모포비아'라는 단어가 존재하는 세상 5 file 2018.11.14 김유진 16556
'현대판 노예'가 되어버린 그들 2 file 2017.08.29 서효원 15552
'행복한 소리 Dream' 목소리를 기부하다 1 2017.09.20 이태녕 19370
'할 수 있다'가 전부야? file 2017.05.24 하은지 1327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