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마우리치오 카텔란이 당신에게 질문하다

by 김하은대학생기자B posted Mar 22, 2023 Views 871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김하은 대학생기자B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김하은 대학생기자B]


바나나를 덕 테이프로 벽에 붙여놓은 '코미디언' 작품으로 유명한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전시회가 한국에서도 열렸다. 서울 리움미술관에서 진행되는 '마우리치오 카텔란 : WE' 전시회의 규모는 역대 두 번째로, 총 38점의 카텔란의 작품이 진열되어 있다. 


카텔란은 이탈리아의 가난한 집안에서 태어나, 온갖 잡일을 하며 20대 후반까지 미술과는 동떨어진 삶을 살았다. 이랬던 그가 어떻게 전세계를 돌며 자신의 작품을 전시하는 예술가가 될 수 있었을까? 카텔란의 전시에서, 그 이유를 조금은 찾을 수 있었다.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김하은 대학생기자B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김하은 대학생기자B]


보자마자 시선을 속박시키는 듯한 말의 조각. 머리가 벽에 끼어 옴짝달싹 못 하는듯한 자세 같기도, 높은 곳으로 도약하는 찰나를 담아둔 모습 같기도 하다. 중요한 건 머리가 없다는 점이다. 그렇다면 반대의 경우엔 어땠을까? 종종 사람들은 동물의 머리만을 박제해 액자에 걸어두곤 한다. 이를 ‘헌팅트로피'라고 부르는데, 아마 이번 전시에서도 말의 머리만이 진열되어 있었다면 우리는 별 감흥 없이 지나쳤을지도 모르는 일이다.


하지만 단순히 보이는 부분을 다르게 하자, 관람객의 발길을 멈추고 눈길을 모으게 했다. 카텔란은 무엇을 말하고 싶었던 걸까? 헌팅트로피 속 동물들의 ‘나머지'도, 저런 모습이었을까? 벽 너머에 있을지도 모를 말의 표정을 괜히 상상해보게 된다.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김하은 대학생기자B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김하은 대학생기자B]


아래서부터 차례대로 당나귀, 개, 고양이, 까마귀가 한 곳을 응시하며 울음소리를 내고 있다. 무엇을 보고 있는 걸까? 이 동물들은 ‘브레멘 음악대’에 등장한다. 다른 점은 '브레멘 음악대'에서는 까마귀 대신 닭이 등장한다는 것이다. 이 동화는 늙고 병든 자신을 처리하려는 주인을 피해 모험을 떠난 당나귀가, 자신과 뜻이 맞는 동물 친구들과 함께 음악의 꿈을 키워 브레멘으로 향한다는 내용이다. 


동화는 해피엔딩으로 끝나지만, 동화 속에서 튀어나와 눈앞에 있는 이들을 보고 있자니 현실적인 고민에 빠지게 된다. 과연 그들은 모두가 무사히 지낼 수 있었을까? 수명도, 습성도, 특징도 모두 다른 이들이 과연 서로를 의지하며 산다는 것이 가능했을까? 자신을 지킬 날카로운 이빨도, 맹수같은 힘도 없는 이들이 과연 인간들에게서 영원히 무사했다고 말할 수 있을까. 천적을 마주 대고 우는 듯한 고양이의 표정이, ‘해피엔딩’이라는 글자만으로는 포장할 수 없는 수많은 삶의 고통을 구체화하는 것 같다.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김하은 대학생기자B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김하은 대학생기자B


‘방 안의 코끼리'란 말을 들어본 적이 있는가? 이 말은 '누구나 알고 있지만 아무도 말하지 않는 문제'를 방 안에 코끼리가 있다는 현상으로 비유한 말이다. 스쳐 지나가기만 해도 알아차릴 수 있을 정도로 코끼리는 거대하다. 모두가 코끼리를 보고 지나가지만, 그리고 누구나 저 코끼리를 인식하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사람들은 약속이라도 한 듯 침묵을 지킨다.


카텔란은 정말 새끼 코끼리를 형상화하여 방 안에 배치했다. 코끼리가 쓰고 있는 흰 천은 그저 핼러윈 의상처럼 보일지 몰라도, 조금만 더 예리한 시각으로 바라본다면 미국에서 활동하는 백인우월주의 단체(일명 ‘KKK’)의 의복과 상당히 닮았다는 걸 눈치챌 수 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의 ‘방 안의 코끼리’는 무엇일까? 누구나 알고 있는 문제는 침묵을 양분 삼아 우리 모두가 밟고 있는 땅을 천천히 잠식시킨다. 그 침묵을 깨고 문제를 정면으로 마주할 때, 우리는 서로를 더 이해하고 함께 나아갈 힘을 얻게 될 것이다. “방 안에 코끼리가 있다!”라고 외치는 것, 그것이 시작이다. 카텔란은 자신의 작품을 통해 소리 없이 외친 것이 아닐까. 


이렇듯 카텔란의 작품은 보는 순간 시선을 사로잡는 힘이 있다. 그리고 1차적인 충격의 여파를 남기고, 그 후에 관람객이 작품 앞에 서서 한참을 고민하게 만든다. 실제인듯한 착각을 일으키는 작품의 섬세한 묘사도 이목이 쏠리는 데에 큰 역할을 한다. 또한 전시장에서는 눈길을 단번에 사로잡는 커다란 작품들과 함께, 자세히 살펴 보아야 알 수 있는 자그마한 작품들도 관람의 재미에 가담한다. 


카텔란은 자신을 '예술계의 침입자'라고 규정한다. 그는 정해진 형식을 따르지 않고 자신만의 방식으로 세간에 충격을 준다. 작품은 말을 하지 않지만, 그 앞에 선 관람객은 작품 뒤에 숨은 카텔란이 자신에게 끊임없이 질문하고 있는듯한 느낌을 받는다. 말을 하지 않고도 질문을 던질 수 있는 힘, 이것이 카텔란이 세계적인 예술가가 된 이유가 아닐까.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6기 대학생기자 김하은]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667656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665249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085023
마스크 귀걸이 자르기?…우리의 작은 노력으로 지키는 생태계 2 2021.11.22 정지운 14538
마스크 착용! 우리의 생명을 지키는 유일한 방법 1 file 2020.12.29 정주은 13613
마스크에 대한 서로 다른 생각 2 file 2020.04.03 백진이 13991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WE' file 2023.03.27 고민서 8280
마우리치오 카텔란이 당신에게 질문하다 file 2023.03.22 김하은 8713
마음씨도 달달한 BTS슈가, 생일 기념 보육원 한우 선물 2 file 2018.03.22 김수인 25648
마음에 와닿는 감성영화 추천! BEST 4! 19 file 2020.03.24 민아영 20127
마음에 젖어드는 영화 '지금 만나러 갑니다' 2 file 2018.04.20 정상아 16403
마음을 그려내는 빛, 한글 6 file 2017.10.16 정다윤 14771
마음을 나눌 수 있는 곳 '느림우체국' 2 file 2017.03.21 이다은 15866
마음을 따뜻하게 해주는 <빌리 엘리어트> 16년 만에 재개봉 8 file 2017.01.21 박예림 15250
마음의 양식, 독서 1 file 2018.12.07 서인하 15346
마음의 온도, 언어의 온도 2 2019.07.26 신수민 18690
마음의 위로가 필요하다면? '아무것도 아닌 지금은 없다' file 2021.03.10 박서경 13737
마음이 따뜻해지는 어버이날 2 file 2016.05.09 3기전재영기자 15706
마음이 편안해지는 책, '용기를 잃지 말고 힘내요' 1 file 2019.02.26 김세린 16850
마장호수, 서울 근교에서 아름다운 경관을 만나다 file 2021.05.31 변수연 11619
마지막을 장식하다 2016.05.24 김지현 13419
마천청소년수련관에서 청소년 동아리 발대식 열려 1 file 2017.03.25 박지현 12702
마케팅의 기본, 분석법을 배우자!! file 2016.06.04 김성현 48959
마포구 청소년을 위한 학습멘토링 ‘아름다움’ 운영 file 2022.06.20 이지원 7670
막대 풍선 대신 플라스틱 응원 배트...야구장 속 일회용품 줄이기 file 2023.05.29 정해빈 6265
만개한 벚꽃과 함께 이 노래 한번 들어볼래? 1 2020.04.08 이다원 12619
만년 꼴찌 이글스, 단독 2위로 우뚝 올라서다! file 2018.05.25 김동현 13504
만우절 단 하루만 존재하는 나라, 우주피스 공화국 6 file 2017.04.05 이지우 14707
만원으로 책 10권을 산다고? 1 file 2017.03.31 김유나 13470
만해 한용운의 혼을 담다, 전국만해백일장 3 file 2017.03.03 오시연 14182
만해의 숭고한 정신, '2016 만해축전'에 가다 file 2016.09.19 김민서 13323
만화 속 세상이 현실이 되는 곳, '디즈니랜드' 2 file 2017.08.17 김주호 14057
만화방과 카페의 화려한 변신 1 file 2018.03.12 유재현 14660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 다다익선 file 2016.07.09 박성우 15139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이끈 E스포츠, League Of Legends MSI 그룹 스테이지 성황리에 종료 2 file 2017.05.19 정인영 13689
많은 연령대의 음악 장르가 되고 있는 '트로트' 1 file 2020.04.29 윤예솔 13232
많은 학자들이 함께 밝혀낸 원자의 구조 file 2020.08.26 김형인 13714
많은 혜택을 누리시오! file 2017.12.22 김주은 14117
말 많은 WBC, 이대로 괜찮은가? 2 file 2017.02.22 최민주 13709
말라리아 잡는 종이 원심분리기, 페이퍼퓨즈 4 file 2017.02.25 강단비 28994
말레이시아 경제 넌 얼마나 알고 있니? file 2018.04.13 조찬미 21384
말레이시아의 불, 코타키나발루로 떠나보자! file 2018.04.04 이초은 17462
말레이시아의 수도 쿠알라룸푸르 그곳은 2 file 2019.04.18 이지수 18887
말은 통하지 않아도, 우리는 함께 즐길 수 있어 행복해요! 1 file 2017.08.04 박채연 25052
맑고 높은 하늘 아래, 하늘공원 억새축제 2 file 2016.10.24 황지연 16652
맛과 멋이 있는 곳! 순천 푸드 아트 페스티벌 1 2017.06.06 이소명 17293
맛있는 것을 주지 않으면 장난을 칠 거야! 2017.10.24 박승미 13757
맛있으면 0칼로리?! 눈과 입이 호강하는 서울디저트페어! 2 file 2019.02.26 최승연 16372
맞물려 돌아가는 우리들... 청소년 자원봉사단 '톱니바퀴' file 2019.02.28 이수연 14243
매년 3월 22일은? 1 file 2017.03.21 박승미 12877
매년 4월22일은??!!? 1 file 2016.04.30 우지은 1377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