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한국장애예술인협회, ‘2022 장애예술인수첩’ 발간

by 이지원기자 posted Dec 09, 2022 Views 772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31017998_20221208153104_7590861227.jpg
[이미지 제공=한국장애예술인협회,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한국장애예술인협회는 550명 장애예술인의 경력이 수록된 ‘2022 장애예술인수첩’을 내놓았다. 별칭으로는 ‘A+수첩’이라는 명칭을 사용하며, A+는 able·access·ace Art를 의미한다.

2022년은 장애인예술의 획기적인 해이다. 윤석열 정부 120개 국정과제 가운데 57번째에 장애예술인에 대한 지원이 포함돼 장애예술인들이 큰 기대를 하는 가운데, 장애인예술정책의 기초 자료가 될 장애예술인수첩이 발간됐다.

우리나라 장애인체육은 1988년 서울장애인올림픽을 기점으로 급속히 발전했지만, 장애인예술은 이제 시작이다. 한국장애예술인협회는 2020년 세계 최초의 ‘장애예술인지원법’이 제정됐고 법률에 따라 기본계획을 세웠지만, 아직 제도화되지 않고 있어 장애예술인 지원정책을 위해 우리나라 대표 장애예술인들의 예술 경력을 담은 수첩을 만들게 됐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2022 장애예술인수첩의 주요 특징을 분석하면 △미술이 30%로 가장 많았고 △음악(27%) △대중예술(22%) △문학(21%)이 그 뒤를 이었다.

한국장애예술인협회에 따르면 남성이 67%로 압도적인 비율을 차지해 여성장애인의 예술 활동이 여전히 위축돼 있다는 것이 드러났다. 장애예술인의 장애 유형별 분포는 지체장애가 가장 많은 41%를 차지했고, 자폐성장애와 지적장애를 합하면 22%로 절대 적지 않은 수이다.

장애유형은 장르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지체장애는 전 장르에서 고른 우위를 보였고, 미술은 청각장애, 음악은 시각장애가 강세를 보였다. 그리고 지적·자폐성장애인은 문학과 대중예술에서는 매우 저조했으나 미술과 음악에서는 활동이 많은 것이 큰 특징이다.

장애예술인 데뷔 방식을 보면 장애인예술 분야에서 데뷔한 경우가 53.2%, 비장애인예술 분야에서 데뷔한 경우가 46.8%로 비장애인예술계에서도 경쟁력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비장애인예술계에서 데뷔한 장르는 문학이 60%로 가장 많았고, 음악이 32%로 가장 낮아서 음악 부문이 아직 장애예술인에 대한 벽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예술인 68%가 대학 이상의 학력을 갖고 있었는데, 예술고등학교와 대학 아카데미에서 예술을 공부한 것까지 포함해 예술 전공을 산출하면 장애예술인 46%가 예술 전공자이다.

2022 장애예술인수첩 분석을 통해 장애예술인의 창작 활동이 매우 전문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한국장애예술인협회는 장애예술인이 비장애예술인에 비해 전문성이 부족할 것이라는 판단은 잘못된 편견이었음이 드러났으며, 우리나라 장애예술인의 수월성이 매우 높다는 사실이 증명됐다고 설명했다.

한국장애예술인협회 방귀희 대표는 “예술인복지법에 따라 예술인증명제도가 시행되고 있듯이 장애예술인수첩은 장애예술인 증명제도의 기본 자료가 될 것”이라고 그 목적을 밝혔다.

장애예술인수첩 등록 조건은 예술 부문에서 수상 1회 이상 또는 작품 발표 5회 이상으로 경력 3년 이상의 예술인(장애인복지카드 소지)이다. 활동 장르는 △문학 △미술(사진·건축) △음악(국악) △무용 △연극 △영화 △연예 △만화(예술 활동 증명 세부 기준)이다.

엮은이는 2022 한국장애예술인수첩발간위원회이며, 후원은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이다. 수첩은 비매품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이지원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657342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654796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075171
환절기 감기 보내고 벚꽃 구경하러 가자! file 2016.03.24 안세빈 18192
눈과 귀가 모두 호강하는 '반고흐 인사이드 : 빛과 음악의 축제' 1 file 2016.03.25 최민지 17349
작은 영화, 그러나 큰 여운 3 file 2016.03.25 김주은 16209
'글로리데이'청춘의 아픔을 그려낸 청춘영화 file 2016.03.25 홍경희 18586
디지털 파빌리온에서 만나는 미래 세상 file 2016.03.25 강기병 15727
얼마나 많은 일 생각나게 하는 벚꽃이런가 2 file 2016.03.25 박지우 16381
'주토피아'가 우리 사회에 던지는 메시지 7 file 2016.03.25 유한나 23530
베트남의 오토바이 문화 file 2016.03.25 박진영 21671
국악과 시의 만남, 달콤한 시럽(詩LOVE) 1 file 2016.03.25 하혜주 16081
현대인의 눈건강 적색신호 2 file 2016.03.25 김수미 16223
'부정부패 FIFA' 에서 '투명한 FIFA' 로 1 file 2016.03.25 이진호 18123
Volunteer for your community! 2 file 2016.03.25 천예영 15221
청소년이 할수 있는 재능기부 2 file 2016.03.26 이지은 18322
작지만 큰 나라 대만 - 명소5선 1 file 2016.03.26 이다연 17422
'프로듀스101'이 불편한 두 가지 이유 10 file 2016.03.27 조수민 18880
배려와 동행 함께하는 인천 국제 하프 마라톤 대회 file 2016.03.28 오시연 17611
경기도의 혁신학교, 안산광덕고등학교 3 file 2016.03.29 오지나 22354
경복궁에 관하여 1 2016.03.31 최서빈 16006
최종결정만을 앞두고 있는 '프로듀스101' 과연 데뷔의 영광은 누구에게? 2 file 2016.03.31 신재윤 17349
프로야구 두산, 다시 새로운 시작 1 file 2016.04.02 양지호 16320
창동 예술촌으로 놀러오세요~ file 2016.04.02 이서연 15783
400년이 지나도 변함없는 '그'의 도발 file 2016.04.02 명은율 15396
인천국제공항 자기부상열차 타 보셨나요?? file 2016.04.03 김강민 16848
제 17회 옥천 묘목축제 열리다. file 2016.04.03 곽도연 19246
'서호정자' 가 우리의 안녕을 묻습니다. 2016.04.04 김형석 16994
한의학에 대해 1 2016.04.05 신이진 15782
부산의 기자 꿈나무들, 부산일보에 모이다 file 2016.04.05 이민지 15782
일본 해외 체험 연수 - [제 1일 차] 오사카에 발을 딛다 1 file 2016.04.05 김준하 23915
매일 밤 넘치는 감성, 우리는 왜 그러는 것일까? 2 file 2016.04.06 백현호 35098
서울 꽃구경 핫플레이스는 어디일까? 5 file 2016.04.07 이다혜 23989
희망의 소리, 재능기부봉사로 전해요 2 file 2016.04.09 김선아 19862
효율적인 경제동아리 운영? 바로 연합동아리로! file 2016.04.09 김성현 18147
학술연구에 열기 속으로, KSCY(한국청소년학술대회) file 2016.04.09 김성현 17754
머리 자를 때 되셨나요? 2 file 2016.04.09 전채영 18309
작은 컴퓨터, 아두이노 1 file 2016.04.10 정연경 17622
'천국의 아이들'과 함께 만드는 천국의 소리 file 2016.04.11 심세연 17575
독도를 위한 반크의 움직임, 디지털 독도 외교대사 발대식 ! 1 file 2016.04.11 황지연 15032
끝없는 벚꽃의 향연! 2016 진해군항제 file 2016.04.11 최우석 17187
응답하라, 전통시장! file 2016.04.16 김나림 18475
공공 장소, 도서관에서의 행사. 성공적!! file 2016.04.17 3기장정연기자 14730
베트남 사람들이 한류에 열광한다구요? file 2016.04.17 김유민 19544
세계의 음식, 그이상의 문화 file 2016.04.17 이봉근 16782
자신의 연구계획을 마음껏 펼쳐라! 제 5회 KSCY 한국청소년학술대회 2 file 2016.04.17 최윤철 15537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What's your dream? 당신의 꿈은 무엇인가요? 3 2016.04.17 반서현 19045
인천 남동구 도림주공아파트, Earth Hour 운영 file 2016.04.22 박은진 18007
SNS, 관계 형성의 투명한 벽 1 file 2016.04.23 최원영 15012
스페인 발렌시아의 대표음식, 빠에야 file 2016.04.24 김세영 21313
의왕 삼일 독립만세 운동 1 file 2016.04.24 이지은 1654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