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2022 부산도시재생박람회 연기 및 축소 개최

by 이지원기자 posted Nov 04, 2022 Views 511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1028147215_20221102143602_1578071949.jpg
[이미지 제공=부산광역시도시재생지원센터,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부산광역시도시재생지원센터(원장 황영우)는 11월 4일~5일 양일간 부산시민공원 다솜마당 일원에서 개최 예정이었던 ‘2022년 부산도시재생박람회’를 연기 및 축소해 11월 9일~10일 양일간 진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결정으로 개막식과 모든 무대 공연 및 버스킹 프로그램을 취소하고 16개 구(군) 및 마을공동체·유관기관의 홍보부스, 세미나 및 청년포럼, 시민강좌, 전시 프로그램으로 운영된다.

올해로 여섯 번째를 맞는 이번 부산도시재생박람회는 부산시가 주최하고, 부산광역시도시재생지원센터가 주관하며 부산시와 16개 구·군을 비롯해 도시재생 마을공동체, 유관기관 등이 함께 부산도시재생사업의 성과를 공유하기 위해 매년 열리고 있다.

주요 행사로는 △16개 구(군) 및 마을공동체, 유관기관의 홍보부스, 메이커 전시부스 △도시재생 세미나 및 청년포럼 △도시재생라운지 토크 및 열린 시민강좌 △내외부 전시 프로그램 운영 등 기존 프로그램에서 축소해 경건한 분위기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행사 첫째 날에는 로컬 콘텐츠를 활용한 부산형 도시재생의 방향을 모색하는 ‘도시재생세미나’, 지역 문화 경제·회복을 위한 도시재생 역할과 비전을 다룬 ‘부산도시재생 라운지 토크’, 도시재생 필요성에 대한 시민 공감대를 형성하는 ‘부산도시재생 열린 시민강좌’가 마련됐다. 둘째 날에는 내일의 청년을 위한 부산도시재생의 역할을 다룬 ‘부산도시재생 청년포럼’이 진행된다.
 
또한 양일간 상시 운영되는 전시 행사는 △부산 내 지역의 과거·현재 모습이 담긴 ‘도시재생 Past&Post’ △포토그래퍼의 눈으로 보는 ‘부산을 휘젓다’ 등의 전시를 통해 도시재생의 다양한 모습을 선보일 계획이다.

부산광역시도시재생지원센터 황영우 원장은 “이번 이태원 사고에 깊은 애도의 뜻을 표하고 부상자들의 빠른 쾌유를 기원한다”며 “부산도시재생박람회가 연기 및 축소 결정을 내린 점 시민 여러분의 이해와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이지원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87515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56107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69448
청소년 흡연, "죽음의 지름길" 2014.07.26 장원형 22755
청소년들이여 흡연의 불씨를 꺼라 2014.07.26 양나나 22233
미디어의 중심에 선 청소년, 위태로운 언어문화 2014.07.27 김지수 20401
위험에 빠진 청소년, 흡연으로부터 멀어질 방법은? 2014.07.27 김대연 23001
언어는 칼보다 강하다 2014.07.27 박사랑 19858
청소년 언어문화, 이대로 괜찮은가? 2014.07.27 장은영 29760
심각한 간접흡연의 피해들 2014.07.27 정진우 18764
[오피니언] 모든 병의 근원! 흡연!!! 2014.07.27 전민호 20234
청소년 언어문제 , 욕설문제 해결이 우선 file 2014.07.27 이동우 52899
청소년의 흡연과 실질적인 방안 2014.07.28 김서정 21940
내가한흡연은 나만의 것이 아니다. 2014.07.29 박지원 22702
계속해서 늘어나는 청소년 흡연 문제 2014.07.30 이수연 20981
청소년들의 흡연 file 2014.07.30 1645 19707
청소년들의 흡연 2014.07.30 변다은 21331
사랑하는 가족들을 위해, 오늘 하루 만큼은 금연하세요 2014.07.31 장정윤 22377
청소년 흡연,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 2014.07.31 구혜진 21807
무심코 던진 돌에 개구리 맞아 죽는다 2014.07.31 1677 33014
청소년 흡연, 치명적인 독 file 2014.07.31 이가영 33751
청소년 흡연- 김성겸 file 2014.07.31 김성겸 21056
언어파괴로 얼룩진 청소년들의 언어문화 2014.07.31 박민경 22689
대안 문화에서 미숙한 문화로 2014.07.31 조민지 26900
보이지 않는 살상무기 말 2014.07.31 최정주 23777
청소년 흡연문제 1 2014.07.31 정다인 21597
청소년들의 금연,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2014.07.31 이종현 20261
담배연기에 찌든 청소년들 2014.08.01 송은지 22240
47만 명의 청소년이 흡연자, 흡연 저연령화 막아야…. file 2014.08.16 김소정 22159
9시등교, 개선이 필요하다. 2014.09.04 이세영 25420
[인터뷰] 경기도 9시 등교에 대한 학생들의 다른 의견 file 2014.09.06 천종윤 21577
밑 빠진 독에 9시 등교 붓기 file 2014.09.06 박정언 27337
9시등교 누구를 위한 9시등교인가? 2014.09.06 박인영 20535
9시등교, 11시 하교 나아진 것은 없다. 2014.09.07 장은영 23017
9시 등교, 과연 이대로 괜찮을까? 2014.09.09 김도희 20549
9시 등교에 대한 여러 의견 2014.09.10 박어진 19046
‘9시 등교’, 치열한 찬반 논쟁 이어져… 학생들의 의견은? file 2014.09.10 김소정 21165
9시 등교, 적합한 시스템인가 2014.09.11 양세정 20862
9시 등교, 이대로 진행해야 하는가 2014.09.11 배소현 21496
[9시 등교] 상존하는 양면적 모순은 누구의 책임인가 1 2014.09.14 박현진 19964
9시 등교, 이대로 계속 시행되어야 하나? 1 2014.09.14 홍다혜 19651
9시등교 누구를 위한 것인지....... 2014.09.15 신정원 18892
9시등교에 대한 여러 찬반의견 2014.09.15 김수연 21681
9시 등교 ··· 이대로 괜찮을까? file 2014.09.15 이지현 22044
9시 등교 과연... 학생들의 생각은? 1 2014.09.15 박성아 21316
[:: 경기도의 9시 등교, 시행해본 결과는 ...?? ::] 2014.09.16 장세곤 20454
9시 등교제, 지켜보자 2014.09.18 정진우 20817
9시등교, 우리 학교 이야기. 2014.09.19 황유진 23419
이상화 현실의 모순 9시등교, 최대 수혜자는 학생 2014.09.20 신정은 22213
9시 등교제,9시 '하원'제로.. 2014.09.20 최아연 26237
9시 등교, 주사위는 던져졌다. file 2014.09.21 최한솔 1936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