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청년자살예방 인식 개선 연합 캠페인 ‘서울 청년의 생명을 살려라’ 성료

by 이지원기자 posted Oct 22, 2022 Views 556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1893248699_20221014150800_8821211789.jpg
[이미지 제공=서울시자살예방센터,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서울시자살예방센터가 9월 29일(목), 10월 5일(수) 양일간 MOU를 맺은 명지전문대학교 학생생활상담센터, 건국대학교 학생생활상담센터와 재학생을 대상으로 청년자살예방 인식 개선을 위한 ‘서울 청년의 생명을 살려라!’ 캠페인을 진행했다.

통계청 사망 원인(서울시 2021년 기준)에 따르면, 2017년도보다 5년 새 20대 자살률은 25.5%, 30대 자살률은 12.1% 증가했다. 특히 20대의 자살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이에 서울시자살예방센터는 캠페인에 참여한 615명의 명지전문대학교와 건국대학교 학생들에게 청년자살 현황을 알리고, 마음 건강을 돌볼 수 있는 25개 자치구 내 정신건강복지센터를 안내했다. ‘자살은 예방 가능할까요?’, ‘자살을 생각하는 사람에게 자살을 직접 물어봐도 될까요?’란 질문과 메시지 카드 작성을 통해 자살 예방에 대한 청년들의 생각을 알아보고, 서로 연대할 수 있는 참여의 장을 마련했다.

학생들은 메시지 카드를 통해 “혼자 고민 말고 누군가에게 털어놔 보세요”라고 위로를 전하고, 청년들이 행복하게 살아가기 위해서는 주위 사람들의 따뜻한 관심, 애정과 같은 사회적 공감과 더불어 연대가 필요하다고 적었다.

또한 서울형 생명지킴이 양성 교육인 ‘Y-생명지기’ 교육을 홍보하고 810여 명의 학생이 수료함으로써 청년이 청년을 돕는 생명존중 문화 조성에 기여할 수 있었다.

앞으로도 서울시자살예방센터는 명지전문대학교 학생생활상담센터, 건국대학교 학생생활상담센터와의 협업을 통해 더 많은 학생이 청년자살예방에 관심을 갖고, Y-생명지킴이로 거듭날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이지원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94619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62572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75808
삼산고 학생들이 힘을 합친 '위안부 소녀상 건립' 캠페인 1 2017.10.24 주하영 11106
삼성 갤럭시 노트 7 발화 원인의 진실 수면 위로 떠오르다!! 2 file 2017.01.23 양민석 18883
삼성 휘청: 삼성 이재용 부회장 결국 포승줄에 묶이다 file 2017.02.21 송경아 16298
삼성,애플에 이어 LG까지...? 3 2017.01.22 안유진 17782
삼성그룹 회장 이건희, 78세의 나이로 별세 1 2020.11.02 조은우 8307
삼성물산 "우수품종 토종식물, 래미안 단지에 활용 계획" file 2023.02.02 디지털이슈팀 4388
삼성은 반도체 패권을 가져갈 수 있을까? file 2021.05.26 이준호 6751
삼성전자 이 부회장의 2년 6개월 실형 선고... 또 다른 리스크인 보험업법 개정 결과는? file 2021.01.19 김가은 7721
삼성전자, 갤럭시 노트7 소손 원인 발표 ··· "죄송하며 감사하다." 3 file 2017.01.23 이정수 64060
상암동 장례식장 건립, 주민들 반대 운동 확산 1 2018.05.03 도예준 11686
상업적 대리모 그리고 인간 존엄성 1 file 2020.05.06 임효주 12261
상인들의 시장문화도 바꾸어버린 김영란법 2 2016.09.26 류보형 14112
새 정부의 5.18 4 file 2017.05.30 이주현 10298
새로운 경제 정책, 대한민국을 바꿀 것인가 1 file 2017.07.25 홍은서 9318
새로운 코로나 변종 바이러스 발견, 이 팬데믹의 끝은 어디인가? file 2020.09.02 방지현 7435
새로운 형태의 자산 가치 상승, 현대 사회가 가지는 또 하나의 숙제 file 2021.05.26 한형준 7083
새롭게 바뀐 한국의 대통령, 중국과 한국과의 관계도 바뀌나? 2 file 2017.05.19 강지오 10172
샘 오취리, ‘preach' 성희롱 댓글 뒤늦게 논란 file 2020.08.31 유시온 7900
생계형 난민의 폭풍... 그리고 유럽의 반난민 정책 1 file 2018.09.05 조제원 10951
생리대, 과연 안전한가? 5 2017.09.04 박채리 11625
생리대를 둘러싼 진실게임 2 2017.10.10 제규진 11654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 ‘SOS생명의전화’ 운영 11년 차 맞아 누적 상담 빅데이터 분석 결과 공개 file 2022.08.12 이지원 6063
생존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 후원시설 “나눔의 집” 탐방 1 file 2016.03.24 서소연 18660
생활 방역 시대, 청소년이 가져야 할 마음가짐 file 2020.05.04 서하연 8362
생활 속에 파고든 알코올 중독, 더 이상 방치해선 안 된다 2018.04.18 정하현 9981
생활쓰레기문제, 한국인의 저력을 보여 주자. 2 2017.07.17 박수지 12272
서대문 청소년기관, 2022년 청소년 2800명 대상 종합실태조사 발표 file 2022.12.23 이지원 6210
서울 M 중학교 교사, 그동안 학생들 상대로 상습적인 성추행 일삼아·· 5 file 2018.03.15 허기범 11013
서울 광화문 미국 대사관 앞 대규모 "사드 배치 반대" 집회 1 file 2017.09.12 김승만 10532
서울 시내버스 음식물 반입금지조례 "과도한 규제 vs 합당한 대응" 1 file 2018.03.26 정준교 14580
서울 종로구 구민들 "출퇴근, 등하교 시간 02번 버스 증차 촉구" file 2023.07.26 박서율 4300
서울대 본관 점거 153일째, 물대포로 농성 해산...해산되기까지 과정 file 2017.03.15 최문봉 11576
서울대 치대, 전원등록포기? 4 2016.03.08 임은석 20124
서울대, 잇단 성추문에 몸살 24 file 2017.01.12 이승욱 19645
서울시립강북인터넷중독예방상담센터, 10주년 기념 ‘온라인 캠페인 및 청소년 욕구도 조사’ 실시 file 2022.12.23 이지원 4981
서울시자살예방센터, 2022년 ‘서울 청년의 생명을 살려라! 100인 토론회’ 개최 file 2022.08.16 이지원 5660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청년자살예방 인식 개선 연합 캠페인 ‘서울 청년의 생명을 살려라’ 성료 file 2022.10.22 이지원 5561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 9월 29일 ‘2022년 정신건강 정책 심포지엄’ 온라인 생중계 file 2022.09.16 이지원 4694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 정신건강의 날 기념 및 제32대 정신건강지킴이 위촉 file 2022.09.19 이지원 5683
서울여중, 활기 찬 봄의 향연 속 백일장/사생대회 실시 1 file 2015.05.21 변유진 28934
서울연구원, '여건 변화에 대응하는 국토계획법 및 서울 도시계획' 주제로 세미나 개최 file 2022.12.14 이지원 5381
서지현 검사의 폭로, "검찰 내에서 성추행을 당했다" 2 file 2018.02.02 이승민 10276
선거 7번 출마, 허경영…. 서울시장 선거 3위 기록 file 2021.04.12 김민석 8028
선거 연령 하향의 효과와 우려 7 file 2017.05.31 김지민 26580
선거구 획정안, 국회는 어디로 사라졌나? 13 file 2016.02.07 진형준 20033
선거마다 발병하는 고질병들, 언제까지 유효할 것인가 3 file 2017.04.25 정혜정 11371
선거에 관련한 법률, 어디까지 알고 있을까 2 file 2016.04.24 김나연 15740
선거연령 하향 이후, 청소년들의 정치적 태도 변화는? file 2020.04.28 이승연 844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