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어린이 전용 소셜 미디어 플랫폼 '모미오' 한국 런칭 "유럽外 첫 진출 사례"

by 이지원기자 posted Aug 25, 2022 Views 891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모미오_보도자료_한국 런칭.jpg
[이미지 제공=모미오,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게이미피케이션 요소를 접목시킨 어린이 전용 소셜 미디어 플랫폼 '모미오(대표이사 리케 메겔방)' 우리나라 어린이 청소년들을 위해 한국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하 ) 신규 출시했다.

 

모미오는 덴마크에 기반을 테크 기업으로 지난 2013 동명의 모바일 소셜 미디어 플랫폼을 런칭하며 이슈를 모았다. 현재 유럽 11개국(영국·덴마크·스웨덴·노르웨이·핀란드·네델란드·벨기에·폴란드·독일·오스트리아·스위스)에서 250 명의 가입자가 모미오 서비스를 이용 중이다.

 

모미오는 오직 아이들을 위해 개발된 소셜 미디어 서비스다. 특히 아이들에게 안전하고 재미있는 커뮤니티 환경을 제공할 아니라 온라인 예절 교육도 함께 실시하며 차세대 인터랙티브 전략의 선두주자로 발돋움하고 있다.



 모미오_보도자료_한국 런칭 2.jpg

[이미지 제공=모미오,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모미오의 모든 콘텐츠는 맞춤형 인공지능(AI) 통해 실시간 검토가 이뤄지며 부적절한 콘텐츠 발견 자동 차단된다. 모미오의 AI 서비스는 '키즈 세이프 플러스 프로그램(kid SAFE Seal Program) 인증 AI 프로그램을 탑재한 것이 특징이다. 이는 미국 '아동개인정보보호법' 기준을 바탕으로 아동 친화적 모바일 앱에 부여되는 프로그램이다.

 

아울러 모미오는 건전하고 유익하며 재미있는 소셜 미디어 커뮤니티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각고의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일례로 커뮤니티 안전 전담팀이 항시 상주하여 AI 프로그램과 함께 실시간으로 플랫폼을 모니터링하고 있다.

 

모미오 리케 메겔방 대표는 "모미오의 한국 런칭은 특별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데 유럽 첫번째 진출국이자 아시아의 첫번째 진출국이기 때문"이라며 "어린이와 청소년의 인터넷 이용은 매년 증가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서비스는 어린이와 청소년을 위해 만들어지지 않은 것이 현실인데 이에 모미오의 목표는 아이들에게 안전하고 재미있는 첫번째 소셜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라고 강조했다.

 

모미오 한국지사 안전 담당 임승연 매니저는 "아이들에게 가장 안전한 소셜 미디어를 제공하는 것이 모미오의 최우선 과제이자 목표이며 이를 위해 최첨단 맞춤형 AI 프로그램과 전담팀을 통해 철저하게 관리하고 있다." "사용자가 18 이상이 되면 모미오 사용이 불가한데 뿐만 아니라 올바른 온라인 사용을 위해 자정부터 새벽 5시까지 모미오 서비스를 일시적으로 멈추는 '잠자는 시간' 운영 철칙도 지키고 있다." 말했다.

 

이어 매니저는 "또한 모미오 캐릭터 한명인 경찰관 '(Jack)' 통해 사용자들에게 온라인 채팅 예절 소셜 미디어 사용법을 교육하는 것이 포인트"라고 전했다.

 

한편, 모미오는 유럽연합(EU) 일반 개인정보 보호법(GDPR) 국내 개인정보 보호법을 모두 준수하고 있다. 부모 보호자들은 아동의 개인정보 제공 여부를 주체적으로 선택할 있다. 모미오는 구글플레이, 앱스토어, 앱갤러리 플랫폼에서 무료로 이용 가능하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이지원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648501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645911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066701
평내고, 하늘은 흐림 운동장은 밝음 file 2014.10.19 박채영 31479
평내동청소년자치위원, 복지 사각지대에 계신분들에게 사랑을 나눠요. 6 file 2017.01.24 황보민 19160
평등한 세상을 위한 도전, 퀴어퍼레이드와 함께 1 file 2019.06.11 원서윤 17729
평범한 일본 시민이 5년 동안 전기세를 내지 않고 생활한 비결은? 2 file 2017.08.24 이윤희 14479
평생 늙지도 죽지도 않는 법, 텔로미어 file 2021.06.02 백우빈 16252
평창 굿즈 열풍, 올림픽 성공적 개최의 신호탄일까? 2 file 2017.12.15 윤정민 15491
평창 동계 올림픽, 남북 외교의 발판 될까? file 2018.03.01 안성연 14423
평창 동계올림픽 상품들, 수호랑은 이제... 2018.03.06 정현택 15243
평창 동계올림픽, 그 시작과 성공 file 2018.03.08 이수인 16584
평창 동계올림픽, 그 화제의 현장 속으로 2 2018.02.28 안효진 14889
평창 동계올림픽, 성공적인 마무리 file 2018.03.03 김세빈 15572
평창 동계올림픽의 경제적 효과, 그 속사정은? 2 file 2018.02.27 윤성무 15132
평창 성화, 홍천을 밝히다 file 2018.01.31 박가은 16382
평창 올림픽 D-228, 평창호 탑승자가 되는길! 3 file 2017.06.29 김채현 14315
평창 올림픽의 꽃 자원봉사자 면접을 가보다! file 2017.03.19 김채현 14439
평창 패럴림픽 마스코트, '반다비' 2 file 2018.03.01 이가영 14968
평창 패럴림픽, 이렇게 즐기는 건 어때? file 2018.03.02 이소현 14534
평창과 사랑에 빠지다 2 file 2018.03.09 백예빈 16327
평창동계올림픽 G-1, K-드라마 페스타 in 평창 행사 개최 1 file 2017.02.20 고주연 15744
평창동계올림픽 기념 2천원권 지폐, 11월에 나온다 file 2017.08.29 디지털이슈팀 15642
평창동계올림픽 남북단일팀, 통일로 한 걸음 vs 섣부른 판단 2 file 2018.01.26 정유미 16547
평창동계올림픽, 기나긴 여정의 결실 file 2018.03.26 조유나 14647
평창동계올림픽의 성공적인 개최를 기원하며 2017 서울아리랑페스티벌 한마당 1 file 2017.11.06 단승연 15763
평창올림픽 기념 ‘동아시아의 호랑이 미술’展, 한·중·일이 한곳에 1 file 2018.02.09 김시은 18337
평창으로 맞이할 해외 관광객, 어디로 가야할까 1 file 2018.01.09 김정환 15639
평택시 청소년들, 국제교류 자원봉사로 외국인과 소통하다 5 file 2017.10.20 황연희 14904
평화의 길을 달리다 'PEACE ROAD'의 출발 file 2017.08.21 윤묘출 13068
평화의 소녀상의 거제 나들이 2 file 2018.01.29 최다영 16070
평화통일을 향한 한 발자국 1 file 2016.08.04 천예영 15395
폐건물이 청춘들의 아지트로 탈바꿈하다 ‘청춘 창고’ 3 file 2017.03.06 이소명 27866
폐쇄된 놀이공원, 활력을 되찾다! file 2016.03.21 박지혜 24180
포근한 햇살을 품은 마비정 벽화마을 4 file 2015.02.17 전지민 31213
포마켓, 포천 시민이 만들어가다 file 2019.08.26 김선우 14993
포스코모빌리티솔루션, 포코스쿨 우수학급 대상 ESG+진로 탐색 특강 진행 file 2022.11.14 이지원 7161
포스트 코로나 시대와 IT 기업의 재택근무 file 2020.11.26 류현우 12957
포스트잇은 왜 노란색일까? 1 file 2021.11.25 민지혜 10743
포장지, 없앨 수 있을까? 2018.04.10 김소연 15525
포켓몬 GO, 안전하게 GO! file 2017.05.22 최윤경 13853
포켓몬 GO, 흥행 유지에 성곡할 수 있을까? 2 file 2017.03.04 최유석 13794
포켓몬 고 한국 정식 출시, 증강 현실(AR)이란? 13 file 2017.02.03 정승훈 16947
포켓몬 고(Pok?mon GO)가 추락하는 이유 무엇인가 3 file 2017.02.24 임유리 22482
포켓몬 고, 성공 비결은 캐릭터? 13 file 2017.02.11 장서연 17151
포켓몬스터들의 제 2의 전성기 - 포켓몬go file 2016.07.26 김은형 18075
포포페스타서 열린 영등포사회복지관의 '아동 놀권리' 캠페인 file 2023.11.24 조혜영 6256
포항 지진에 수능 연기…재난·재해 인한 연기는 처음 (2보) 2 file 2017.11.15 디지털이슈팀 14979
포항시 포은도서관 ‘Fun! Fun! 만화축제!’ 성료 file 2016.04.25 이유수 19169
포항의 경제 중심지, 죽도시장으로 오이소! file 2016.05.23 권주홍 17363
포항테크노파크, 어려운 지역사회에 도움 한스푼 file 2020.08.31 최은영 1289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