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2022년 서울시자살예방센터 4차 정기 심포지엄 개최

by 이지원기자 posted Aug 19, 2022 Views 512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1893248699_20220819134043_2098236855.jpg
[이미지 제공=서울시자살예방센터,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서울시자살예방센터는 8월 31일 오후 2시 ‘2022년 서울시자살예방센터 4차 정기 심포지엄(이하 심포지엄)’을 유튜브를 통한 온라인 생중계 방식으로 개최한다.

2022년 서울시자살예방센터 4차 정기 심포지엄은 ‘근거기반 자살예방, 서울형 심리부검 결과 발표와 자살예방사업의 설계’를 주제로 국외 심리부검 사례를 소개하는 것뿐만 아니라 서울형 심리부검의 개발 과정과 분석 결과를 공유하고, 이를 토대로 근거기반의 서울시 맞춤형 자살예방 정책을 논의하고자 한다.

서울시자살예방센터와 2020년 서강대학교 산학협력단이 협력해 서울형 심리부검 ‘고.마.움(고인과의 기억, 마음에 움트다)’을 개발했다. 서울형 심리부검은 방대한 자료보다 핵심적인 내용을 잘 분석할 수 있도록 압축적인 심리부검 내용으로 구성됐고, 고인의 자살과 관련된 과거에 국한된 내용을 유족의 향후 삶의 방향과 전망을 함께 다룰 수 있도록 미래 지향적인 내용을 포함한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자살과 유족의 위험 요인과 더불어 지지 체계, 사회적 안전망 등 보호 요인을 파악하는 질문과 내용으로 구성해 유족의 치유와 회복을 함께 도모할 수 있도록 했다. 심리부검 면담 종료 후 ‘애도상담’과 서울시자살예방센터에서 운영하는 ‘자작나무’ 서비스 안내를 통해 통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서울형 심리부검 ‘고.마.움’은 2021년 8월부터 2022년 7월까지 1년 동안 97사례의 자살 사망자에 대한 심리부검 면담을 진행했으며, 그 결과를 이번 심포지엄에서 발표하며 서울 지역에 발생하는 자살의 원인을 구체적으로 탐색하고 이해와 분석을 통해 근거기반의 자살예방 정책을 수립하는데 중요한 수단으로 역할을 할 것이라 기대한다.

또한 서울형 심리부검은 근거기반의 자살예방정책을 수립하는데 중요한 수단이 될 전망이다.

이번 심포지엄은 총 2부로 나눠 진행되며, 1부로는 기조강연과 주제발표로 △자살예방과 심리부검(Clinical and Forensic Psychologist; Author, The Psychological Autopsy, Antoon A. Leenaars) △서울형 심리부검의 개발 과정(한국보건복지인재원 이기연 교수) △서울형 심리부검 분석 결과(영남대학교 심리학과 서종한 교수) △심리부검 분석에 따른 자살예방정책 방향(서울시자살예방센터 김현수 센터장) 순서로 진행된다.

2부로는 제안토론이 진행되며 서울형 심리부검 결과에 따른 자살예방 정책 제안을 주제로 장진구 교수(명지병원 정신건강의학과)가 좌장으로 토론을 진행할 예정이다. 토론자로는 김동현 교수(한림대학교 보건과학대학원)와 홍진표 교수(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가 함께하며 앞으로의 자살예방을 위한 전략과 계획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서울시자살예방센터는 이번 심포지엄이 서울시민들에게 ‘심리부검’의 근거를 통해 자살예방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자살예방을 위한 전략을 모색하는 것뿐만 아니라 시민 모두가 자살예방에 대한 관심을 가지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자세한 내용은 서울시자살예방센터 블로그 또는 서울시자살예방센터 기획지원팀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이지원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99190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66854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80042
2월 탄핵 불가능에 촛불이 다시 타오르다! file 2017.02.17 조성모 14477
2월 14일, 밸런타인데이에 가려진 슬픈 역사 20 file 2016.02.14 김혜린 18434
2월 14일, 달콤함 뒤에 숨겨진 우리 역사 16 file 2017.02.14 안옥주 16488
2살 아들 살해한 20대 父...늘어가는 아동학대 1 file 2017.02.24 조유림 15195
2년만에 진행된 남북 고위급 회담 file 2018.01.12 정성욱 9916
2년 만에 한국 정상회담…성공적인가? file 2021.05.27 이승우 7031
27년 만에 깨어난 사람도 있다! 안락사는 허용되어야 할까? file 2019.05.27 배연비 24449
25일 코로나 확진자 현황 file 2021.05.27 박정은 8002
21대 총선에서의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첫 시도, 결과는? file 2020.05.07 장민서 8801
20만이 외친다! 박근혜는 하야하라 4 file 2016.11.06 박채원 16834
20대 대선에 출사표를 던진 군소후보들 file 2021.10.29 노영승 6289
20대 국회의원 선거, 새로운 정치바람이 불다 2 file 2016.04.16 황지연 16184
20대 국회의 변화! 1 file 2016.04.17 구성모 18707
2050년, 다시 찾아올 식량 위기 ➋ 2 file 2018.02.07 김진 10338
2050년, 다시 찾아올 식량 위기 ➊ 2 file 2018.02.07 김진 10831
2022년 차기 대선, 20대의 '보수화' file 2021.09.23 김준기 6765
2022년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청년자살예방토론회 개최 file 2022.08.25 이지원 5188
2022년 서울시자살예방센터 4차 정기 심포지엄 개최 file 2022.08.19 이지원 5126
2022년 대선, 국민의힘에선 누가 대선주자가 될까? file 2021.09.30 이승열 7333
2022 부산도시재생박람회 연기 및 축소 개최 file 2022.11.04 이지원 5237
2021년 최저임금 130원 인상된 8,720원 결정…역대 최저 인상률, 그 이유는? 1 file 2020.07.24 이민기 12151
2021년 '중국' 수입제품 세율 변화 file 2021.03.02 김범준 8314
2020년 팬데믹에 빠진 지구촌 7대 뉴스 file 2021.01.25 심승희 9001
2020년 의사 파업 그리고 현재 file 2021.03.03 이채령 7832
2018학년도 수능 연기, 땅이 준 기회의 7일. 2 file 2017.11.17 임하은 13505
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종료 3 file 2017.11.24 장서연 11721
2018년, 최저임금 인상 5 file 2017.07.21 최현정 12075
2018년 초,중,고 수학시간 계산기 사용 허용 file 2015.03.19 최재원 33101
2018년 지방선거 1 file 2018.06.18 조은지 11417
2018 평창 동계 올림픽, 국민들에게 희로애락을 안겨주다. 2 file 2018.03.06 최다영 10009
2017에서 2018, 변화하는 ICT 10대 이슈들 2 file 2018.01.10 허예림 13286
2017.03.10. 박근혜 정부는 죽었다 file 2017.03.12 최은희 11697
2017 대선의 숨은 모습을 찾다 file 2017.05.26 구성모 10275
2017 대선, 누가 대한민국을 이끌게 될까? 4 file 2017.02.06 김수연 21688
2017 대선, 그리고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 공약 2 file 2017.06.06 최현정 10851
2017 김학순 다시 태어나 외치다 file 2017.08.29 정가원 9501
2016년,고1 고2의 마지막 전국모의고사 D-1 1 file 2016.11.22 최서영 21563
2016년 제1기 중앙청소년참여위원회 위촉식 및 오리엔테이션 1 file 2016.03.24 김지민 18429
2016년 동북아시아를 뒤흔든 "THAAD(사드)" 12 file 2016.02.14 진형준 18325
2016년 ‘위안부 손배소’, 이용수 할머니 증언을 끝으로 4년 만에 드디어 막 내린다 2020.09.16 이채은 7936
2015년, 마침내 해방을 이루다 3 file 2015.02.24 황혜준 41142
2014 제10회 골목골목 festival (마을 축제) 열리다. file 2014.10.19 권지영 23484
20%대로 추락한 아베 지지율, 장기 집권에 "빨간불 " 2 file 2017.08.09 이진하 10631
2%부족한 9시등교 2014.09.24 이효경 20953
1인 미디어, 이대로 괜찮은가 7 2018.01.08 김태경 30331
1월 18일부터 시행되는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안, 어떻게 달라질까? file 2021.01.20 신재호 10037
1등 국가가 잃어버린 품격 1 file 2017.07.25 이우철 10114
1년째 계속되는 산불, 결국 뿌린 대로 거두는 일? 1 2020.10.29 김하영 870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