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GOS 게이트 톺아보기

by 이준호대학생기자 posted Mar 28, 2022 Views 1827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최근 들어 삼성전자 스마트폰에 탑재된 GOS(Game Optimizing Service)가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이는 삼성전자 갤럭시 시리즈 스마트폰에 기본적으로 탑재되는 프로그램으로, 게임과 같은 고사양 작업을 할 때, 기기의 과열을 막기 위해 AP의 클럭이나 화면의 해상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원래 GOS는 상당히 오래전부터 존재했었으나, 그 정도가 심하지 않았고, 이를 비공식적으로 비활성화하는 방법이 사용자들 사이에서 알려져 있어 크게 문제가 되지는 않았다. 그러나 이번에 출시한 갤럭시 S22 시리즈와 함께 선보인 소프트웨어 One UI 4.0부터 성능 제한의 정도가 매우 심해졌을뿐더러 이를 비활성화하는 방법 또한 막히게 되었다. 특히 게임뿐만이 아니라 벤치마크(성능 측정) 앱을 제외한 거의 모든 앱이 GOS 리스트에 올라가면서 성능점수 조작이라는 주장까지 나오게 되었으며, 결국에는 긱벤치(Geekbench)라는 상당히 공신력 있는 벤치마크 앱에서 갤럭시 시리즈 스마트폰 다수가 퇴출되었다.


이에 대해서 여러 가지 추론이 나오고 있다. 우선 갤럭시 스마트폰은 지역에 따라 다른 AP가 탑재되는데, 우리나라의 경우 스냅드래곤 8Gen1, 유럽을 비롯한 일부 지역에는 엑시노스 2200이라는 칩이 탑재된다. 이들은 모두 삼성 파운드리의 4nm 공정에서 생산된다. 여기서 삼성전자 파운드리 기술이 문제라는 추측이 나오고 있다. 이 때문에 퀄컴이나 엔비디아 같은 기존 삼성 파운드리 고객들이 이탈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또 다른 추측으로는 이번 S22 시리즈의 방열판 면적이 동일한 AP를 탑재한 타사 제품과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좁기 때문에 벌어진 일이라는 주장도 있다. 삼성 모바일 사업부는 노태문 사장이 취임한 이후부터 원가절감의 정도가 심해졌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번에 불거진 GOS 문제는 이런 원가 절감이 극에 달해 성능적으로 문제가 발생하였고, 이를 소프트웨어적인 방법으로 무마하려다 일이 커진 것이라는 분석이 있다.


원인이야 어떻게 되었든, 이번 문제는 삼성전자 내부 정보 유출 사건과 더불어 앞으로의 삼성 스마트폰 사업과 파운드리 사업에 악영향을 줄 것이 분명하다. 노태문 사장의 뒤를 이어 새로 부임할 삼전 MX 부문 사장은 이를 타개할 방법에 대해 고심해야 할 것이다.


KakaoTalk_20220225_232441934.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이준호 대학생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4기 대학생기자 이준호]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98281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65957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79145
설리 '로리타' 논란…SNS의 시대, 표현의 자유는 어디까지? 5 file 2017.02.20 김도영 19154
9시 등교, 모두 공감할 수 있는 정책으로 2014.09.22 서유미 19145
정의당, 앞으로의 미래는? 2021.02.23 김성규 19136
영하 8도... 2016년 마지막 수요 시위 15 file 2017.01.11 유나영 19125
가좌역 유치가 절실한 저희 목소리를 들어주세요 2 file 2016.03.24 정향민 19121
9시 등교에 대한 여러 의견 2014.09.10 박어진 19116
공공기관 사칭하는 ‘한국청소년영상협회’ 등장..네티즌 주의 필요 file 2017.12.04 디지털이슈팀 19113
최저임금, 어떻게 생각하나요? 2 file 2018.06.08 노시현 19104
트럼프 반이민 행정명령 지지율 55%...트럼프 "가장 인기있는 행정명령" 9 file 2017.02.10 정예빈 19099
HTTPS 규제, 미디어의 자유를 빼앗아 가는 것은 아닌가 2 file 2019.03.18 배연비 19098
원자폭탄, 그 시작은 아인슈타인? 1 file 2020.09.21 서수민 19089
지역 아동센터 지원, 이대로 괜찮을까? 9 file 2016.02.22 이하린 19077
미국의 인종차별 항의 시위, 우리의 인권의식은? 2 file 2020.06.08 유지은 19066
국정교과서;무엇이 문제인가? 9 file 2017.01.23 정주연 19055
청와대 이번에도 압수수색 불허... 그 이유는? 4 file 2017.02.04 구성모 19010
선화예고를 불안에 떨게 한 의문의 남자의 '성폭행 예고장'......결국 3일 오후 체포되다. 6 file 2017.02.06 박환희 19000
9시 등교, 과연 학생들을 위한 정책인가? 2014.09.22 심현아 18980
"언니야 이제 집에가자" 7만명의 시민들이 만든 일본군 위안부 영화 '귀향' 눈물 시사회 23 file 2016.02.17 고유민 18978
9시 등교,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2014.09.21 김현진 18971
9시등교 누구를 위한 것인지....... 2014.09.15 신정원 18963
9시등교, 실제 시행해보니......, 2014.09.24 구혜진 18944
삼성 갤럭시 노트 7 발화 원인의 진실 수면 위로 떠오르다!! 2 file 2017.01.23 양민석 18918
교과교실제, 누구를 위한 교과교실인가 4 file 2016.05.25 김관영 18881
필수 한국사, 과연 옳은 결정일까? 11 file 2016.02.20 정민규 18875
화재 발생의 원인, 외장재 및 건물 구조가 영향 크게 미쳐 file 2018.03.01 정예현 18872
심각한 간접흡연의 피해들 2014.07.27 정진우 18869
9시등교 새로운 시작 2014.09.24 김희란 18863
아침밥 있는 등굣길 2014.09.24 최희선 18845
도를 넘는 북한의 도발, 국민들은 안전한가? 2 file 2017.09.19 윤익현 18829
'수요 시위'를 아시나요? 3 file 2017.03.08 4기최윤경기자 18829
고려대, 대학생들의 대자보가 시작되다 6 file 2016.02.27 황지연 18822
9시 등교제, 이것이 진정 우리가 원했던 모습일까 2014.09.21 김나영 18804
9시 등교, 앞으로 나아갈 길이 멀다. 2014.09.23 3001 18792
박근혜 대통령 '세월호7시간' 동안의 행적 25 file 2017.01.11 주건 18774
9시등교 학생들에게 과연 좋을까? 2014.09.21 이세현 18768
실생활의 많은 부분 기여한 21세기의 기술, '나노기술' 1 2019.02.07 송지윤 18764
일본의 수출 규제 시행 1년, 양국의 계속되는 대립 관계 3 file 2020.07.09 유지은 18754
일그러져 가는 성의식 file 2016.07.23 유지혜 18751
청소년들의 음주 문제 '심각' 5 file 2016.03.19 한지수 18739
생존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 후원시설 “나눔의 집” 탐방 1 file 2016.03.24 서소연 18695
20대 국회의 변화! 1 file 2016.04.17 구성모 18690
9시등교,가시박힌 시선으로만 봐야하는 것인가.. 1 2014.09.24 안유진 18683
특검의 히든카드 '국회청문회위증죄', 이젠 진실을 밝힐 때가 왔다 19 file 2017.01.15 김다인 18672
혼용무도(昏庸無道)인 대한민국, 필리버스터는 왜 등장했는가? 2 file 2016.03.01 최지환 18639
'포켓몬 고', '속초는 스톱' 12 file 2017.01.25 이주형 18631
안전을 위한 스크린도어가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 12 file 2016.02.22 장은지 18611
저희는 대한민국 학생, 아니 대한민국 시민입니다. 8 file 2017.01.24 안옥주 18605
승리의 촛불, 광장을 메우다 20차 촛불집회 4 file 2017.03.23 박소윤 1860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