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실업의 종류와 대책 - COVID-19 펜데믹으로 인한 실업자 급증

by 20기권나연기자 posted Mar 10, 2022 Views 929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돌이켜보면, 한 도시와 국가와 탄생뿐만 아니라, 흥망성쇠를 좌우하는 중요한 지표에 속하는 것이 바로 도시와 국가의 변화양상과 경제활동이 가능한 인구 중 어느 정도 비율의 사람들이 경제활동에 참여하고 있는가라는 것이었다. 우선, 실업률의 사전적 의미는 ‘경제활동인구 중에서 실업자가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내고, 많은 사람이 오해하고 있는 것처럼 전체 인구 중에서 직업을 구하지 못한 사람으로 집계되는 것이 아니라, 경제활동 참여 의사가 분명히 있거나 현재 참여하고 있는 경제활동인구 중에서 아직 직업을 구하지 못한 사람만을 대상으로 통계를 만들게 되는 것이다. 


실업의 유발 원인 구분 

경제학에서 구분하는 실업의 유발 원인은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첫 번째, ‘자발적 실업’은 현재의 임금이나 근로 수준에서 일할 수 있지만, 더 나은 임금과 근로 여건 등을 찾기 위해 직장을 옮기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실업이고, ‘마찰적 실업’ 또는 ‘탐색적 실업’이라고도 한다. 이와 달리, ‘비자발적 실업’은 일을 하고자 하는 의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자리를 얻지 못하는 상태를 말하며, ‘경기적 실업’과 ‘구조적 실업’으로 분류할 수 있다. 

자발적 실업의 증가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할 수는 없지만, 경제활동이 가능하며 일할 의사가 있음에도 직장을 찾지 못하게 되는 비자발적 실업은 사회에서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구조적 실업>은 산업의 구조 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실업으로, 성장하고 발전하는 현대 자본주의에서는 반드시 발생할 수밖에 없는 실업의 형태인 반면에, <경기적 실업>은 경제 전체의 상황 악화로 인해 발생한 실업이라는 측면에서 현재 COVID-19 펜데믹 상황에서 정부 차원의 해결이 다른 실업형태와 비교해 시급하게 필요한 실업형태라고 여겨진다. 

기타 실업의 종류에는 ‘잠재적 실업(표면상으로는 실업이 아니지만 실제로는 노동자가 자신의 생산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해 낮은 소득수준과 불만족한 생활을 지속하는 반실업 형태)’과 ‘마찰적 실업(상업간 또는 지역 간의 노동력 이동과정에서 일시적 수급불균형으로 인해 생기는 실업), 그리고  ’실망실업(산업구조조정이나 경기침체 등으로 일자리가 줄어들어 구직활동을 벌여도 직장을 얻기가 거의 불가능하다는 점을 알고 아예 구직활동을 포기한 경우)‘ 등이 있다. 


COVID-19 펜데믹에 따른 실업자 급증과 그 대책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2021 고용 전망' 보고서에서 “COVID-19 사태로 전 세계에서 1억 1400만 명의 실업자가 발생했다”라고 발표했다. 여기서 직장을 잃은 실직자의 절대숫자도 문제이지만, 상당수의 ‘코로나 실직자’들이 일시적이 아니라 종사하던 일 자체를 잃었다는 상황이 더 큰 문제로 제시되고 있다. 특히, 코로나로 일자리 퇴출 직격탄을 맞은 사람들은 우선 재택근무가 어렵고, 기계 대체가 가능한 업무 종사자들이었고, 반대로 COVID-19 사태에서 일자리를 보전한 사람들은 주로 고소득자와 고학력자들이다.


2022-03-08 오후 5.59.11.pn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20기 권나연기자]


이와 더불어, COVID-19 사태의 장기화로 숙박과 음식, 도소매업, 관광업 등 대면 서비스가 불가피한 분야는 워낙 타격이 큰 데다 산업구조 전환기와 맞물려 코로나가 지나간 이후에도 정상을 회복하긴 어려울 것이라는 의견이 팽배하다. 그리고 대학을 졸업하고 사회에 첫발을 디딜 연령대인 20대는 물론 국가 경제의 버팀목인 30대와 40대의 고용이 무너지면서 이들의 생활 기반 붕괴와 소비 토대 잠식, 경제 활력 저하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런 장기적 고용불안과 실업률 증가를 억제하기 위한 대책을 세우기 위한  정부의 발걸음도 빨라지고 있다. 그중에서도 주목을 받고 있는 방법은 현재의 엄중한 고용상황을 고려해 고용유지 및 직접 일자리 제공, 고용시장 밖 계층에 대한 보호 강화, 특히 “민간부문 일자리 촉진”에 최우선순위를 두고 총력 대응을 하고 있다. 이러한 위기 상황에서 청년들에게 취업 사다리를 놓고 실업자를 구제하기 위해 재정 일자리를 만드는 것은 필수적일 수 있지만, 이는 일시적인 처방이며 근본적 처방은 되기 어려울 것이다. 결국 제대로 된 일자리는 민간 기업이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 많은 전문가와 정부의 입장이다. 또한, 민간기업의 경제활동 활성화를 촉진하기 위해, 많은 전문가는 기업들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정부의 규제 개선 노력이 미흡하다고 입을 모은다. 기업 활동을 옥죄는 각종 입법을 한시적으로 미루거나 꼭 필요한 것이 아니라면 유보할 필요도 있다는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경제부=20기 권나연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12332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79243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92418
윤석열 대통령 당선에 대한 각국의 반응은? file 2022.03.21 이유진 9586
북한의 도발과 수그러들지 않는 긴장감 2 file 2017.08.17 김나림 9584
문재인정부의 4강 외교 복원! file 2017.05.13 양수빈 9583
지역구 득표율로 바라본 제21대 총선 결과 file 2020.04.27 위동건 9581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분석 - 정당별 총평편 file 2018.07.23 정민승 9578
최악의 폭염, 얼마 남지 않은 골든타임 1 file 2019.01.29 김사랑 9569
코로나가 환경을 살리다?_떠오르는 환경이슈 1 2020.04.14 남지영 9567
희망을 주는 무료 급식소와 취약계층의 피해... file 2020.02.12 정다현 9561
의학적 홀로코스트, 코로나19 위기에 빠진 한국을 구해줄 K 방역 1 file 2021.01.18 김나희 9560
젊은 층이 관심을 두는 투자, 비트코인은 건강한 투자인가? file 2021.03.30 조민서 9545
코로나19의 분야별 피해 현황과 그 해결책은? file 2020.03.02 전지영 9545
대륙이 손을 폈다, 하지만 이제 시작일 뿐 file 2017.03.26 김지한 9533
저출산 문제, 이대로 괜찮을까...? file 2019.03.26 강민성 9529
교육부, 대학 개강 시기 "4주 이내 조정 권고" file 2020.02.12 박가은 9527
코로나 사태로 인한 총선 판도의 변화 2020.04.13 김경민 9526
치명률 30% 메르스 우리가 예방할 수 있을까? 1 file 2018.09.28 박효민 9524
해양 쓰레기 증가, 바다도 아프다 2020.09.28 이수미 9522
새로운 경제 정책, 대한민국을 바꿀 것인가 1 file 2017.07.25 홍은서 9516
고1 당원 배지, 고3 금배지 다는 시대가 다가온다 file 2022.01.24 강준서 9515
김종천 청와대 의전비서관 음주운전 적발 file 2018.11.29 김도영 9511
'한강 사건 타살 가능성 낮다'라는 전문가에게까지 근거 없는 억측 file 2021.06.03 박지훈 9507
미래 배달사업의 선두자; 드론 file 2018.12.24 손오재 9506
우주의 탄생, 작은 점이 폭발하다 1 file 2019.01.31 김가영 9504
촛불과 함께한 모든 날이 좋았다. file 2017.03.20 김윤영 9500
'최대 산유국, 이상적인 무상복지국가, 미인 강국'의 몰락 2021.03.29 김민성 9499
국민청원이 병들어간다 2 2018.08.27 지선우 9499
재건축 규제 완화 공약...강남 집값 상승 전환 file 2022.03.28 송경원 9491
운치 있는 해안가 산책로, 쓰레기 투기 빗발친다 file 2020.03.02 이승연 9484
탄핵 이후, 해결해야 할 과제! file 2017.05.13 양수빈 9483
미국에서 일어난 시위와 폭동, 'Black Lives Matter' 1 2020.06.16 허예진 9481
대한민국의 탄핵 사태,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2 file 2017.03.23 박수민 9478
정의연은 과연 누구를 위한 단체인가? file 2020.06.23 이예빈 9474
“다시 시작하는 대한민국” 2 file 2017.05.13 한지선 9472
대한민국 교육정책, 장미대선으로 뒤바뀌다. 1 file 2017.06.24 윤은서 9470
코로나19 영원히 사라지지 않는다? file 2020.08.25 이하은 9468
모두 마스크를 쓰세요, 코로나바이러스 5 file 2020.02.20 이도현 9461
인도 발전의 주역, 바지파이 전 인도 총리 별세 file 2018.08.27 서은재 9461
소년법 개정되나? file 2020.06.19 이지우 9458
시진핑, 장기집권의 길을 열다: 중국 공산당 100년 역사상 3번째 '역사결의' file 2021.11.22 황호영 9455
미얀마의 외침에 반응하고 소통하다 file 2021.03.18 김민주 9450
다시 시작된 코로나19 file 2020.08.26 손혜빈 9444
대한민국 국민과 언론이 타협하여 찾은 진실, 미래에도 함께하길... file 2017.03.25 김재원 9444
북미회담의 결과는 어떻게 될까 1 file 2018.06.05 양희원 9435
아파트 근처에 있는 코로나 선별진료소 과연 괜찮을까? file 2020.03.05 김묘정 9433
또 다른 재난, 미세먼지 file 2018.11.30 서민석 9433
'아베 시즌 2', '외교 문외한'... 그래도 지지율 74% '자수성가 총리' file 2020.09.23 신하균 9426
기록적인 폭염속에..정부 누진제 개편안 발표 2018.09.03 신유빈 9425
5.18 망언 3인방과 추락하는 자유한국당 file 2019.03.04 정민우 941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