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이재명-김동연 → 윤석열-안철수, 막바지 판도 흔드는 단일화 변수

by 김희수대학생기자 posted Mar 04, 2022 Views 808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어느덧 다음 주로 다가온 제20대 대통령 선거지만 다양한 기관에서 발표된 여론조사 결과들은 여전히 박빙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처럼 누구도 예측하기 어려운 양상이 계속되는 가운데 지난 3월 2일과 3일,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와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가 각각 새로운물결 김동연 전 후보, 국민의당 안철수 전 후보와 단일화 선언을 하면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 이재명-김동연 단일화, 지지층 확장으로 이어질까?

더불어민주당, 새로운물결.PNG

[이미지 제공=상단부터 더불어민주당 홈페이지, 새로운물결 공식 카페]


 먼저 단일화 소식을 알려온 후보는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와 새로운물결 김동연 전 후보였다. 김 전 후보는 지난 3월 2일 서울 영등포구에 위치한 선거 캠프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이 후보와의 통합정부 구상에 대해 밝히며 대선 후보직 사퇴와 이 후보와의 단일화를 선언했다. 다음 날인 3일부터 김 전 후보는 이 후보와 동반 유세에 나서면서 적극적인 동반 행보를 이어나가고 있다.


김 전 후보는 이명박-박근혜-문재인으로 이어지는 세 번의 정부에서 모두 주요 보직을 맡은 특이한 경력의 소유자로, 새로운물결을 직접 창당하기 전까지 진보/보수 양측 진영에서 고른 러브콜을 받아왔다. 이처럼 진영 논리에 매몰되지 않는 인물로 여겨진다는 점은 김 전 후보의 강점 중 하나였는데, 승리를 위해 지지층 확장성 확보가 반드시 필요한 이 후보에게는 다양한 진영에 어필할 수 있는 김 전 후보의 합류가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두 후보 간의 단일화 과정에서 잡음이나 갈등이 거의 없었다는 점 역시 유권자들에게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지점이다. 다만 김 전 후보와 새로운물결에 대한 기존의 인지도나 지지율이 대단히 높지는 않았다는 점에서 단일화의 효과가 어느 정도로 유의미하게 나타날지는 미지수이다.


◎ 윤석열-안철수 단일화, '고생 끝에 낙이 온다'?

국민의힘, 국민의당.PNG

[이미지 제공=상단부터 국민의힘 홈페이지, 국민의당 홈페이지]


 이 후보와 김 전 후보의 단일화가 발표된 바로 다음날 아침,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와 국민의당 안철수 전 후보의 단일화 소식이 전해졌다. 일사천리로 진행된 이 후보와 김 전 후보의 단일화와는 달리 윤 후보와 안 전 후보의 단일화 과정은 순탄치 못했다. 후보 선정 방식/합당 방식 등에 대한 의견 차이가 좀처럼 좁혀지지 않았고 급기야 지난 2월 20일 안 전 후보가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단일화 결렬을 선언하는 등 두 후보의 단일화는 요원해 보였다. 그러나 3월 2일 열린 3차 방송토론 이후 두 후보가 직접 만나 새벽 내내 대화를 나누며 상황이 급변했고, 3일 오전 '정권교체'라는 대의를 위한 단일화를 선언했다.


안 전 후보는 이번 대선에 출마한 후보들뿐만 아니라 국내 모든 정치인을 통틀어도 손에 꼽을 정도의 인지도를 가진 정치인이다. 또한 양당 후보들을 둘러싼 네거티브 공방전이 격화된 이번 선거전 속에서도 상식적이고 흠결 없는 인물이라는 이미지를 확보하면서 다수의 여론조사에서 두 자릿수 지지율을 기록하기도 했었다. 이외에도 의료인으로 활동한 경력 등이 현 팬데믹 상황에서 어필할 수 있다는 점 등 다양한 강점을 가지고 있는 인물이기 때문에 윤 후보와 국민의힘에게는 천군만마와 같을 수 있다. 그러나 단일화 시기가 너무 늦은 것이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3월 9일 본 투표에 사용될 투표용지는 이미 인쇄가 완료된 상태이기 때문에, 안 전 후보의 투표 칸에도 투표할 수 있어서 무효표가 나올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 끝날 때까지 끝난 것이 아니다

 

 이 후보와 윤 후보 모두 단일화를 통해 대선 승리를 향한 행보를 이어 나가고 있지만, 후보 단일화가 반드시 승리를 보장하는 '필승 카드'는 아니다. 2012년 제18대 대통령 선거에서 문재인 (당시 민주통합당) 후보가 안철수 (당시 무소속) 후보와의 단일화를 해냈음에도 박근혜 (당시 새누리당) 후보에게 패배한 것이 대표적인 예이다. 또한 2002년 제16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선거를 불과 하루 앞두고 정몽준 (당시 국민통합21) 후보가 노무현 (당시 새천년민주당) 후보와의 단일화를 철회하는 해프닝이 있었던 것처럼, 선거 당일까지는 그 무엇도 확신할 수 없다. 이제 운명의 날이 점점 다가오고 있다. 두 단일화 중 대선 승리를 이끌 '신의 한 수'는 어떤 것이 될지 유권자들의 시선이 쏠리고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4기 대학생기자 김희수]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92213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60582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73880
文 대통령 "5.18의 마음이 민주주의가 되고, 코로나 극복 의지가 돼" file 2021.05.21 김현용 6705
도로 위 무법자, 전동 킥보드...이젠 안녕 1 file 2021.05.20 변주민 8697
코로나 백신, 그에 대한 국내외 상황은? file 2021.05.18 마혜원 8075
점진적인 경제활동 재개에 나선 프랑스 file 2021.05.10 김소미 7996
더불어민주당의 위기… 난관 잘 헤쳐나가야 file 2021.05.10 김민석 6255
대구·경북 신공항 특별법.. 균형 발전을 위해 제정 필요 file 2021.05.04 이승열 6898
강제로 뺏어 간 자연을 다시 되돌려주는 일, 환경과 기후 변화 협약 file 2021.05.03 박연수 9862
첫 mRNA 백신 등장, 아나필락시스의 원인은 PEG일까? file 2021.05.03 차은혜 9046
잘못된 애국심: 분노하는 중국의 젊은이들 file 2021.04.30 민찬욱 8652
KAI의 국산 수송기 개발 계획 어떤 수송기 만들려는 건가 file 2021.04.29 하상현 106791
여러 민주화 시위에서 사용되고 있는 손가락의 영향력과 힘 2021.04.29 김경현 7814
“러시아인들은 환경에 대한 경각심이라고는 눈곱만큼도 없다"... 그러나 현재 일본은? 1 file 2021.04.28 김태환 10200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 새로운 무역전쟁의 '예고편' file 2021.04.28 박수현 7524
아세안 정상 회의에서의 미얀마 군부 대표 참석을 반대하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시위대 file 2021.04.27 김민경 6668
코로나 시대, 청소년에 대한 정부의 관심은? file 2021.04.27 이민준 10563
4.7 보궐선거의 결과 그리고 그 이후의 행보 file 2021.04.26 백정훈 103695
4.7 재보궐선거 승리한 야당... '혼돈의 정국' file 2021.04.26 오지원 6669
사라져가는 프랑스의 엘리트주의 file 2021.04.26 김소미 9514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는 코로나 확진자 수에 정부의 대책, 특별 방역관리주간 file 2021.04.26 이효윤 7614
4.7 보궐선거가 보여준 민심 file 2021.04.20 서호영 7329
4.7 보궐선거 이후 범야권의 반응은? file 2021.04.19 최원용 7490
일본 방사능 오염수 방류 결정에 반일 불매 운동? file 2021.04.16 지주희 8107
국내 연구팀, 차세대 반도체 소재 형성 과정 밝혀내... file 2021.04.14 한건호 7316
한 달 넘게 이어지는 투쟁, 대우조선 매각 철회 촉구 농성 file 2021.04.13 김성수 6921
방글라데시 여객선 사고 26명 사망 2 file 2021.04.12 이정헌 6790
민주당, 참패.... 文 대통령의 고민 file 2021.04.12 김민석 5980
선거 7번 출마, 허경영…. 서울시장 선거 3위 기록 file 2021.04.12 김민석 8000
[4.7 서울시장 선거] '이분법정치의 패배'...네거티브는 먹히지 않았다 file 2021.04.09 김도원 9091
수에즈 운하 열렸지만 문제는 여전히 file 2021.04.02 김민주 7784
법무부, ‘벌금형 집행유예’ 활성화 추진.. 구체적으로 어떤 효과가 있을까 file 2021.04.02 이승열 9758
집주인의 거주권 VS 세입자의 계약갱신청구권 file 2021.03.30 조혜민 7479
美 애틀랜타 총격 사건... “내 사람들을 죽이지 마세요” 2 file 2021.03.30 임이레 7958
이집트 수에즈 운하 사고 1 file 2021.03.30 최연후 11137
젊은 층이 관심을 두는 투자, 비트코인은 건강한 투자인가? file 2021.03.30 조민서 9270
월스트리트에 걸린 태극기 - 쿠팡의 미국 IPO 상장 1 file 2021.03.29 양연우 8248
무너져버린 일국양제, 홍콩의 미래는? 2021.03.29 김광현 8126
초대형 선박 좌초로 마비된 수에즈 운하 file 2021.03.29 박수영 7537
美, 잇따라 아시아인을 겨냥한 범죄 발생… file 2021.03.29 이지연 8943
'최대 산유국, 이상적인 무상복지국가, 미인 강국'의 몰락 2021.03.29 김민성 9258
주식청약 방법과 문제점 file 2021.03.29 이강찬 8790
퇴직연금 수익률 디폴트 옵션으로 극복 가능할까, 디폴트 옵션 도입 법안 발의 file 2021.03.29 하수민 8824
아시아인 증오 범죄가 시발점이 된 아시아인 차별에 대한 목소리 file 2021.03.26 조민영 8615
학교폭력, 우리가 다시 생각해 봐야 하는 문제 file 2021.03.26 김초원 8242
세계 곳곳에서 코로나19 백신 부작용 속출 file 2021.03.25 심승희 9983
11년 만에 한미 2+2 회담 2021.03.25 고은성 8462
설탕세 도입 갑론을박 "달콤함에도 돈을 내야 하나","건강 증진을 생각하면.." file 2021.03.25 김현진 8424
학교폭력 줄이자는 목소리 커지는데...교육 현장에선 ‘개콘’ 우려먹기 file 2021.03.23 박지훈 10951
천안함 음모론, 그것은 억지 2 2021.03.22 하상현 1188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