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이재명-김동연 → 윤석열-안철수, 막바지 판도 흔드는 단일화 변수

by 김희수대학생기자 posted Mar 04, 2022 Views 832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어느덧 다음 주로 다가온 제20대 대통령 선거지만 다양한 기관에서 발표된 여론조사 결과들은 여전히 박빙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처럼 누구도 예측하기 어려운 양상이 계속되는 가운데 지난 3월 2일과 3일,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와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가 각각 새로운물결 김동연 전 후보, 국민의당 안철수 전 후보와 단일화 선언을 하면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 이재명-김동연 단일화, 지지층 확장으로 이어질까?

더불어민주당, 새로운물결.PNG

[이미지 제공=상단부터 더불어민주당 홈페이지, 새로운물결 공식 카페]


 먼저 단일화 소식을 알려온 후보는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와 새로운물결 김동연 전 후보였다. 김 전 후보는 지난 3월 2일 서울 영등포구에 위치한 선거 캠프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이 후보와의 통합정부 구상에 대해 밝히며 대선 후보직 사퇴와 이 후보와의 단일화를 선언했다. 다음 날인 3일부터 김 전 후보는 이 후보와 동반 유세에 나서면서 적극적인 동반 행보를 이어나가고 있다.


김 전 후보는 이명박-박근혜-문재인으로 이어지는 세 번의 정부에서 모두 주요 보직을 맡은 특이한 경력의 소유자로, 새로운물결을 직접 창당하기 전까지 진보/보수 양측 진영에서 고른 러브콜을 받아왔다. 이처럼 진영 논리에 매몰되지 않는 인물로 여겨진다는 점은 김 전 후보의 강점 중 하나였는데, 승리를 위해 지지층 확장성 확보가 반드시 필요한 이 후보에게는 다양한 진영에 어필할 수 있는 김 전 후보의 합류가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두 후보 간의 단일화 과정에서 잡음이나 갈등이 거의 없었다는 점 역시 유권자들에게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지점이다. 다만 김 전 후보와 새로운물결에 대한 기존의 인지도나 지지율이 대단히 높지는 않았다는 점에서 단일화의 효과가 어느 정도로 유의미하게 나타날지는 미지수이다.


◎ 윤석열-안철수 단일화, '고생 끝에 낙이 온다'?

국민의힘, 국민의당.PNG

[이미지 제공=상단부터 국민의힘 홈페이지, 국민의당 홈페이지]


 이 후보와 김 전 후보의 단일화가 발표된 바로 다음날 아침,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와 국민의당 안철수 전 후보의 단일화 소식이 전해졌다. 일사천리로 진행된 이 후보와 김 전 후보의 단일화와는 달리 윤 후보와 안 전 후보의 단일화 과정은 순탄치 못했다. 후보 선정 방식/합당 방식 등에 대한 의견 차이가 좀처럼 좁혀지지 않았고 급기야 지난 2월 20일 안 전 후보가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단일화 결렬을 선언하는 등 두 후보의 단일화는 요원해 보였다. 그러나 3월 2일 열린 3차 방송토론 이후 두 후보가 직접 만나 새벽 내내 대화를 나누며 상황이 급변했고, 3일 오전 '정권교체'라는 대의를 위한 단일화를 선언했다.


안 전 후보는 이번 대선에 출마한 후보들뿐만 아니라 국내 모든 정치인을 통틀어도 손에 꼽을 정도의 인지도를 가진 정치인이다. 또한 양당 후보들을 둘러싼 네거티브 공방전이 격화된 이번 선거전 속에서도 상식적이고 흠결 없는 인물이라는 이미지를 확보하면서 다수의 여론조사에서 두 자릿수 지지율을 기록하기도 했었다. 이외에도 의료인으로 활동한 경력 등이 현 팬데믹 상황에서 어필할 수 있다는 점 등 다양한 강점을 가지고 있는 인물이기 때문에 윤 후보와 국민의힘에게는 천군만마와 같을 수 있다. 그러나 단일화 시기가 너무 늦은 것이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3월 9일 본 투표에 사용될 투표용지는 이미 인쇄가 완료된 상태이기 때문에, 안 전 후보의 투표 칸에도 투표할 수 있어서 무효표가 나올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 끝날 때까지 끝난 것이 아니다

 

 이 후보와 윤 후보 모두 단일화를 통해 대선 승리를 향한 행보를 이어 나가고 있지만, 후보 단일화가 반드시 승리를 보장하는 '필승 카드'는 아니다. 2012년 제18대 대통령 선거에서 문재인 (당시 민주통합당) 후보가 안철수 (당시 무소속) 후보와의 단일화를 해냈음에도 박근혜 (당시 새누리당) 후보에게 패배한 것이 대표적인 예이다. 또한 2002년 제16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선거를 불과 하루 앞두고 정몽준 (당시 국민통합21) 후보가 노무현 (당시 새천년민주당) 후보와의 단일화를 철회하는 해프닝이 있었던 것처럼, 선거 당일까지는 그 무엇도 확신할 수 없다. 이제 운명의 날이 점점 다가오고 있다. 두 단일화 중 대선 승리를 이끌 '신의 한 수'는 어떤 것이 될지 유권자들의 시선이 쏠리고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4기 대학생기자 김희수]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08360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74865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88036
코로나19, 2차 대유행 시작 2020.08.28 김민지 8503
코로나19, 그에 따른 환경오염? file 2020.04.06 김호연 10803
코로나19, 동물도 피해 갈 수 없는 재앙 file 2020.09.28 최은영 8107
코로나19, 전 세계는 휴교 중 1 file 2020.05.18 임상현 10523
코로나19, 중국은 회복 중? file 2021.08.27 강민지 6896
코로나19, 지금 우리의 사회는? file 2020.09.01 길현희 8163
코로나19: 인간에게는 장애물, 환경에는 백신 file 2020.05.06 이유정 8206
코로나19가 IT 업계에 미친 영향 1 2020.04.13 이혁재 9074
코로나19가 당뇨발생 위험률 높인다 2022.05.16 신은주 10121
코로나19가 불러온 고통 1 file 2020.03.16 최서윤 7922
코로나19가 항공업계에 미친 영향 file 2020.04.08 이혁재 13595
코로나19로 더욱 깊어진 게임 중독의 늪 file 2020.05.28 오윤성 10986
코로나19로 변한 학교생활 file 2020.09.03 정예린 8409
코로나19로 인한 국민의 소비율 감소. 실업자 증가 1 file 2020.03.23 정다현 9163
코로나19로 인해 바뀐 삶 3 file 2020.05.18 김혜원 12896
코로나19로 힘든 시기에 한강, 과연 안전할까? file 2020.08.24 고종현 7924
코로나19에 따른 빈곤 문제는? 2 file 2020.08.13 전지영 9604
코로나19에 의한 경제적 양극화 현상.. 그 이면에는 거대기업들과 무책임한 정부가 있다? file 2021.10.05 이성훈 7824
코로나19의 분야별 피해 현황과 그 해결책은? file 2020.03.02 전지영 9490
코로나19의 재확산, 방역 당국과 교육 당국의 지침은? file 2020.08.25 홍승우 8015
코로나19의 재확산세, 방역모범국도 흔들린다 2 file 2020.08.21 김상현 10046
코로나19의 한복판에 선 디즈니월드의 재개장 file 2020.09.21 염보라 11341
코로나19의 후유증 '브레인 포그' 3 file 2020.09.10 오현지 13162
코로나가 우리 사회에 미친 영향은? file 2020.07.22 김다인 16283
코로나가 환경을 살리다?_떠오르는 환경이슈 1 2020.04.14 남지영 9501
코로나로 무너진 세계 file 2020.05.13 이채영 9313
코로나로 위험한 시국, 대통령을 비판한 미래통합당 file 2020.08.25 박미정 10379
코로나로 인한 여행 file 2020.06.08 양소은 8326
코로나를 통한 사재기와 우리의 태도 file 2020.03.30 이수연 8082
코로나바이러스 자세히 알아보자 4 file 2020.02.24 이수연 12565
코로나의 피해.. 어느 정도? file 2020.02.28 민아영 8930
코리아 스태그플레이션 2021 file 2021.08.09 전인애 11724
코스피 변동성 증가, 투자에 신중을 기해야... file 2021.02.08 정지후 7397
코시엘니 사태로 바라본 정당하지 않은 선수들의 태업 file 2019.07.15 이준영 14871
코에 빨대가 꽂혀있는 거북이가 발견된 그 이후, 지금 file 2019.06.07 박서연 17822
코피노, 이대로도 괜찮을까? 2018.10.24 석주은 11410
콘서트 티켓 한 장이면 "100만원" 벌기는 식은 죽 먹기? 8 file 2016.03.13 이소연 22128
쿠웨이트 총리 첫 방한 file 2016.05.15 이아로 18045
퀴어 퍼레이드 그 스무 번째 도약, 평등을 향한 도전! 서울 도심 물들인 무지개 file 2019.06.07 정운희 14542
클라우드 기술, IT 업계가 주목하는 이유는? file 2019.11.27 이선우 13824
클릭 금지! '택배 주소지 재확인' 11 file 2017.01.22 최영인 20897
키즈 유튜브, 이대로 괜찮은가? file 2019.09.02 선혜인 14584
타오르는 촛불, 펄럭이는 태극기 그리고 헌법재판소 1 file 2017.02.11 이동우 15026
타타대우 상용차 등 다수의 기업들, 기업의 사회적 책임 실천 1 file 2017.11.21 양원진 13265
탄소배출권, 공장은 돈을 내고 숨을 쉰다? 4 file 2019.04.11 김도현 17712
탄핵 이후, 해결해야 할 과제! file 2017.05.13 양수빈 9400
탄핵 판결을 내린 헌법재판관 8명을 고소한 우종창, 그는 누구인가? 1 2017.04.02 김민정 11760
탄핵 후 우리에게 남겨진 과제들 file 2017.03.19 박윤지 1193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