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예멘 후티 反軍, 아랍 에미리트 향해 미사일 공격

by 권강준대학생기자 posted Jan 27, 2022 Views 588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1월 24일 로이터 통신은 이란이 후원하고 있다고 알려진 예멘의 후티(الحوثيون Houthis) 반군(反軍)이 월요일 아랍에미리트의 두바이 상공을 향해 미사일 공격을 감행했지만, 미국이 구축한 패트리엇 요격기에 의해 좌절되었다고 보도했다. 국영 WAM 통신은 미사일 잔해가 아부다비에 떨어졌으나 큰 피해는 없었다고 보도했다. 


이번 미사일 공격은 일주일 전 3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아부다비 국립석유 회사 연료저장소와 아부다비의 공항을 향한 미사일과 드론 공격에 이은 것으로 후티 대변인 예히아 사레이(Yehia Sarei)는 텔레비전 성명에서 "후티 반군은 알 다프라(Al-Dhafra) 공군기지를 포함하여 아랍 에미리트의 여러 곳을 줄피카르(Zulfiqar) 탄도 미사일과 드론 공격의 목표지로 삼았고, 아랍 에미리트가 예멘에 대한 공격을 지속하는 한 아랍 에미리트는 계속 공격의 대상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아랍 에미리트는 불안정한 국가가 될 것"이라며 외국기업과 투자자들을 향해 아랍 에미리트를 떠나라고 말하기도 했다. 


실제 사우디 주도의 연합군은 21일 금요일 후티 반군이 운영하는 교도소를 습격하여 70여 명이 사망하고 수십 명이 부상을 당했다. 백악관은 美 국가안보보좌관 제이크 설리번(Jake Sullivan)이 월요일 사우디아라비아와 아랍 에미리트 대사들을 만나 최근 공격에 대해 '후티의 책임을 묻기 위한 공동의 노력'에 대해 논의했다고 밝혔다.


IMG_0013.JP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권강준 대학생기자]


그렇다면 예멘 내전의 시작은 어디일까? 예멘 내전은 2011년 처음 발생한 아랍의 봄 혁명으로 시작된다.


튀니지에서부터 시작한 아랍의 민주화 운동 '아랍의 봄'은 많은 왕정 및 독재 국가들을 휩쓸었는데, 알리 압둘라 살레(Ali Abdullah Saleh)가 1990년대부터 20년간 장기 집권한 독재국 예멘도 피해갈 수 없었다. 


IMG_0021.PN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권강준 대학생기자]


2011년 1월 18일 예멘에서 첫 시위가 발생하고 2012년 2월 21일 투표를 통해 살레 정권은 막을 내렸다. 그리고 권력은 알리 랍부 만수르 하디(Ali Rabbu Mansur Hadi)가 이어받았다. 후티 세력은 하디 대통령 재임 기간 많은 차별적인 대우를 받아왔다며, 2015년 2월 6일 수도 사나의 대통령궁을 점령한 뒤 하디의 중앙정부를 해체하고 새 정부 수립을 선포하였다. 후티 세력은 임시 헌법을 발표하고 의회를 해산한 뒤 551명으로 구성된 새 의회를 꾸렸다. 그리고 기존 하디 정권은 남예멘의 옛 수도인 아덴으로 이동했다. 남예멘은 1994년 남북전쟁 이후 남부 분리주의운동(Al Hirak al junabi)의 근거지이다.


남부 분리주의자들의 하디 망명정부 지지 아래 하디는 아덴을 임시 수도로 정했다.


IMG_0024.PN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권강준 대학생기자]


각각 파란색은 후티 점령지, 보라색은 알 카에다(Al-Qaeda) 점령지, 흰색은 하디의 예멘 정부 점령지 그리고 노란색은 남부 분리주의자들의 남부과도위원회의 점령지이다. 아덴은 과거 무역으로 뉴욕 다음으로 번성했던 항구도시, 사나는 수도이다. 


2015년 3월 사우디아라비아는 후디 세력의 점령지에 공격을 시작했다. 사우디는 시장, 병원, 학교 등 많은 사회 기반 시설들을 파괴했다.


사우디아라비아가 개입한 이유는 하디 정권으로의 복귀다. 하디 정권은 수니 정권이고 과거 살레 정권과 후디 세력은 시아 이슬람의 자이드파 계열이다. 그리고 시아파의 맹주는 이란인데, 이란이 후디 세력을 후원하고 있다. 중동의 갈등은 표면적으로 수니와 시아의 갈등으로 드러나는데, 미국이 지원하는 GCC(Gulf Cooperation Council 걸프협력기구) 국가들과 이스라엘 대(對) 이란과 이라크 그리고 GCC와 이스라엘과 적대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시아파 계열 반군으로 축이 형성된다. GCC동맹 에서도 사우디아라비아와 아랍 에미리트의 동맹관계는 끈끈하다. 


이미 이란의 세력 하에 들어간 이라크에 이어 예멘까지 이란의 영향력 하에 들어간다면 사우디는 북쪽, 동쪽, 남쪽 모두 이란의 영향력으로 둘러싸이게 된다. 


IMG_0023.PN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권강준 대학생기자]


그러면 후디와 살레는 같은 자이드 파인데 연합이 형성되는가? 맞다. 그러나 약한 동맹이다. 1990년대 자이디즘 회복 운동 당시 알 후디가 공격적인 구호 "미국과 이스라엘에게 죽음을, 유대인에게 저주를, 이슬람에 승리를"로 지지자들을 분열시켰다. 그러자 살레 전(前) 대통령이 체포 영장을 발부하고 결국 2004년 알 후디는 체포되어 총살당했다. 그의 사후(死後) 그를 따르던 후티 세력들은 잘 훈련된 민병대로 변모하였고, 큰 인기를 끌었다.


그래서 약한 동맹이다. 후에 이들은 살레의 힘이 필요하게 되는데, 후디 세력들은 정권을 장악한 후 국정운영에 대한 의구심, 정권 탈취의 비정당성 타개 그리고 사우디의 내정간섭 문제 해결을 위해 살레와 일시적인 동맹관계가 형성되었다. 


이후 사우디는 살레를 압박하여 동맹을 포기하도록 했으나 사우디의 압박은 실패하고 살레 또한 사우디를 후티보다 더 큰 위협으로 생각하게 하는 계기로 전환되었다. 하지만 살레를 정치에서 배제한 그들의 동맹도 2016년 말(末)부터 약화되고 만다. 결정적으로 살레가 UAE와 메시지를 공유한 것이 발각되어 2017년 말 동맹이 깨지고, 12월 2일 살레는 분열을 선언한다. 그리고 이틀 후 4일 살레는 살해당한다. 


IMG_0025.PN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권강준 대학생기자]


하디와 남부 분리주의자로 돌아오자. 그들은 동맹을 맺었지만 원하는 목표가 다르다. 남부 분리주의자들은 분리를 원하지만 하디 정부는 재통일된 정부 수립을 원하고 있다. 그러나 그들의 뒤를 보는 사우디와 아랍에미리트의 입김이 강하다. 현재 공동의 적인 이란의 지원을 받는 후티 세력을 위해 하디 정부와 남부 분리주의자들의 남부과도위원회는 사우디아라비아의 중재 아래 연립정부 협상을 하고 있다.


그렇다면 아랍에미리트는 단순히 종파 간의 갈등을 이유로 개입했을까? 학계에서는 아랍에미리트가 원하는 것은 분쟁 상황을 틈타 해양 무역로 장악과 그 길목의 항구 점유를 목표로 하고 있다는 시각이 강하다. 2018년 아랍 에미리트의 소코트라섬 군(軍) 배치와 두바이 기반의 종합 무역회사 DP World의 밥 엘 만답(Bab El-Mandab) 해협이 있는 남부 에덴의 해상 무역로 장악이 그 근거라고 볼 수 있다.


학계에서는 주변 강대국들의 이익을 위한 대리전이 되어버린 예멘의 내전은 쉽게 끝나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5기 대학생기자 권강준]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91207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59670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73005
누구를 위한 건강보험인가 1 file 2017.08.20 김주연 13603
누구를 위한 법인가? 2 file 2018.05.24 심윤지 10137
누구에 의한, 누구를 위한 9시 등교인가 2014.09.30 권경민 24967
누구의 외교부인가? 4 file 2017.02.25 구성모 14441
누군가의 대변이 치료제가 될 수 있다? 2020.06.18 박혜린 7496
누림센터,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콘텐츠 제작 및 보급 file 2022.12.30 이지원 5164
누이 좋고 매부 좋은 '공유 경제' 1 file 2016.03.24 김태경 16347
누진세 완화 정책 발표, 전기료 부담 줄일 수 있을까? 2018.08.20 김원준 9658
눈 감을 수 없는 아이들, 눈 감아서 안되는 우리들 2 file 2016.03.25 이봄 14780
눈물 흘리며 대회장 떠난 초등생들...부산시교육청 드론대회 '수상자 내정' 의혹 file 2023.11.07 김가빈 6362
뉴욕 연은 총재 빅 스텝 가능성 시사…본격적 긴축 시작되나 file 2022.03.28 윤초원 5748
뉴욕타임스 전직기자 앤드류 새먼이 전하는 "한국이 매력적인 이유" 2019.05.31 공지현 9868
뉴질랜드 모스크 사원 테러, 어떻게 된 것인가? file 2019.03.29 배연비 11666
뉴질랜드 속 코로나19 2020.04.28 박혜린 7562
늘어나는 다문화 가정, 한국인 인식은 제자리걸음 2017.12.22 김민지 27179
늘어나는 아동학대... 4년 새 2배 늘어 7 file 2016.03.13 남경민 23724
늘어나는 평화의 소녀상에 관하여 5 file 2017.05.16 정수빈 11433
늘어난 14만여 명의 유권자들, 총선거에 어떤 영향 미칠까 file 2020.03.13 이리수 8151
늙어가는 대한민국, 위기? 기회! 5 file 2016.04.02 김지현 15979
닌텐도 스위치의 가격 폭등 file 2020.05.27 백진이 9292
다가오는 대선과 떠오르는 수개표 3 file 2017.05.03 박윤지 10114
다가오는 추석, 코로나19 재확산 우려 file 2020.09.25 김민지 8679
다가올 민중총궐기, 혼란의 정치권 file 2017.02.24 진우성 13219
다뉴브강 유람선 침몰 사고 file 2019.06.07 최예주 10108
다문화 가정의 증가, 혼혈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나 2019.05.02 박경주 12691
다수를 위한 소수의 희생? 4 2017.03.14 추연종 20523
다스는 누구 겁니까? 3 file 2018.02.20 연창훈 10850
다시 도마 오른 소년법, 이번에는 바뀔까? file 2020.04.06 한규원 11415
다시 돌아보는 일본불매운동, 과연 성과는 어느 정도일까? 4 file 2020.10.16 정예람 14749
다시 모습을 드러내기까지 '1073'... 엇갈린 입장 1 file 2017.03.31 4기박소연기자 13703
다시 보는 선거 공약... 20대 국회 과연? 1 file 2016.04.24 이예린 20122
다시 불거진 문단 내 성폭력, 문단계도 '미투' file 2018.02.28 신주희 11684
다시 시작된 코로나19 file 2020.08.26 손혜빈 9047
다시 일어난 미국 흑인 총격 사건, 제2의 조지 플로이드 되나 2020.08.31 추한영 8559
다시 재현 된 우리 민족의 역사, 전주 3·13 만세운동 file 2015.03.25 김진아 30921
다시 찾아오는 광복절, 다시 알아보는 그 의미 5 file 2017.08.10 홍동진 11196
다시 한번, 국민의 힘을 증명하다. file 2017.03.21 정영우 11064
다시금 되새겨 봐야하는 소녀상의 의미 file 2017.03.26 박서연 10281
다음, 카카오톡에 이어 이제는 네이버까지... file 2019.06.26 이채린 10982
다이지에서 울산 고래 전시간까지...돌고래의 끝없는 고통 3 file 2017.02.28 박설빈 14279
다함께 외쳐요, “사지 말고 입양하세요!” 11 file 2016.02.24 박예진 17188
단식 투쟁으로 얻은 작지만 큰 희망. 2018.01.15 서호연 11868
달걀 가격 4000원대로 하락...농가들은 울상 file 2017.10.11 김주연 11431
달라진 미국 비자 발급... 내 개인정보는? file 2019.08.16 유예원 14514
달콤한 휴식처? '졸음쉼터'의 이면 2 file 2017.01.31 김성미 17792
닭 쫓던 개 신세 된 한국, 외교 실리 전혀 못 찾아 4 file 2016.02.28 이민구 14441
닭의 목을 비틀어도 새벽은 왔다. 3 file 2017.03.11 김지민 12319
담배 회사의 사회 공헌 활동, 우리는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2 file 2020.07.27 김민결 1109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