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광주 학동 참사에 이은 화정아이파크의 붕괴... 건설사 HDC현대산업개발은?

by 21기김명현기자 posted Jan 24, 2022 Views 1355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화정아이파크1.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21기 김명현기자]


지난 1월 11일 오후 3시 46분경  HDC현대산업개발이 시공하는 광주광역시 서구 화정동 '광주화정아이파크'의 외벽이 붕괴했다. 이 사고로 지상 상층부 23~38층 16개의 층에서 창호, 미장, 소방설비 공사를 맡았던 작업자 6명이 실종되고 1명이 다쳐 인근 병원으로 호송되었으며, 안전조치를 위해 막아둔 3m 높이의 가림막이 넘어져 공사 현장 인근에 주차되어 있던 차량 20여 대가 매몰되었다. 이후 구조작업 중 실종되었던 실종자 1명이 1월 13일 11시경 발견되었지만 사망한 상태였다.


이에 광주 서구 화정아이파크 붕괴사고의 실종자 가족 모임은 피해자 가족들은 "무리한 구조작전으로 인한 또 다른 희생을 원치 않으며, 중앙정부가 개입하여 정부가 가진 능력을 총동원하고, 화정아이파크 붕괴 사고는 실종자 가족과 유가족만의 일이 아닌 주변 상인들과 입주자들의 재산상의 피해가 막대하기에 지역 정치계와 시민사회가 관심을 갖고 사태 해결을 위해 힘을 모아야 한다."라며 구조 장기화에 따른 가족 입장문을 발표했다.


이에 HDC현대산업개발은 사고 직후 대표이사가 사고 현장에 방문하고, 정몽규 HDC현대산업개발 회장이 사퇴하는 등 "시공사로서 책임을 지고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라고 하였지만, 광주 소방공무원들이 아파트 붕괴 사고의 책임이 있는 HDC현대산업개발이 구조 활동에 비협조적이라며 공개 질타하면서 당사자인 현대산업개발이 실종자 수색과 사고 수습보다 부실 공사 해명과 책임 회피 궁리만 하는 것은 아니냐며 비판했다.  


학동붕괴.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21기 김명현기자]


HDC현대산업개발은 지난해 6월 광주 학동4구역 재개발 현장에서 철거 중인 건물이 도로변으로 무너져 사고 현장 정류장을 지나던 시내버스를 덮쳐 9명의 사망자와 8명의 부상자가 발생한 광주 학동 붕괴 사고의 원청으로 불과 6개월 만에 인명사고를 냈다. 연이은 붕괴 사고로 HDC현대산업개발의 등록 관청인 서울시는 광주 동구청이 요청한 8개월의 영업정지 처분 공식 요청을 검토하여 청문 절차를 밟아 징계 수위에 고심하고 있다.


광주 학동 붕괴 사고로 HDC현대산업개발은 최대 8개월의 영업정지 처분을 받을 수 있다. 전문가들은 화정아이파크 붕괴 사고와 같은 시공사에 명백한 시공 및 관리 부실 책임이 명확한 상황에서 학동 붕괴 사고 보다 징계 수위가 셀 것이라 말하고 있다. 이에 대해 국토부와 서울시는 반복되는 안전사고에 대한 경고 차원에서라도 앞선 사고에 대한 강도 높은 처벌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국내 10대 건설사 중 하나인 현대산업개발을 대표하는 아이파크(IPARK)는 아파트 브랜드로서 높은 명성과 인지도를 지니고 있었다. 하지만 전국의 아이파크 브랜드 아파트 입주자와 입주 예정자들이 아파트 이름을 바꾼다거나 다른 시공사로 갈아타려는 움직임이 보이고 있으며, 어느 한 부동산 커뮤니티에서는 '아이파크는 부실 공사 이미지가 강해졌다'라며 개명을 요구하는 등 대형사고를 연이어 낸 건설사의 아파트 브랜드 이미지 추락으로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HDC현대산업개발의 연이은 사고로 많은 사람이 죽거나 다쳤으며, 아직 추운 날씨에 가족들의 품으로 돌아오진 실종자가 있다는 것이다. 또한 혹시 우리 아파트도 하는 생각으로 두려워할 아이파크 입주민과 입주 예정자들의 정신적인 피해 또한 막심하다는 점에서 HDC현대산업개발은 사과문에서의 단순한 '신뢰 회복'이 중점이 아닌 더 이상의 사고 재발 방지 약속과 광주화정아이파크 붕괴 사고 사태에 책임감을 갖고 발 벗고 나서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21기 김명현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97872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65506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78732
3월, 어느 봄날의 노래 file 2017.03.25 박승연 10078
떠오르는 세월호 떠올라야 할 진실 file 2017.03.25 김지원 9867
인류문화유산 보호를 위한 전 세계적 노력 file 2017.03.25 노태인 10434
나라 싸움에 등터지는 학생들 file 2017.03.25 김윤혁 12810
대한민국 국민과 언론이 타협하여 찾은 진실, 미래에도 함께하길... file 2017.03.25 김재원 9251
유럽 최초의 평화의 소녀상! 세계의 소녀상의 위치는? 2017.03.25 강지오 13975
'런던 테러' 배후에 선 IS file 2017.03.24 류혜돈 10507
미국과 중국의 총알 없는 전쟁 file 2017.03.24 김미성 10880
중국인 관광객, 있다 없으니까 4 file 2017.03.24 이동욱 10639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이후의 행보 1 file 2017.03.24 윤희수 10680
세월호 인양, 현재 상황과 의혹들 1 file 2017.03.24 민병찬 11620
대한민국의 하늘은 무슨색으로 물드나, file 2017.03.24 장채린 10814
평택 평화의 소녀상, 힘과 마음을 합치면 하늘을 이긴다. 3 file 2017.03.24 장수임 11005
승리의 촛불, 광장을 메우다 20차 촛불집회 4 file 2017.03.23 박소윤 18598
이화여대 총장 선출, 학생들의 정당한 권리를 위해 2 file 2017.03.23 박하연 10809
잊혀지지 않을 참사, 세월호 참사 3주년을 앞두고 되짚어 보는 팽목항의 비극 3 file 2017.03.23 박아영 11807
대학교 군기문화 해결방안은 없는 것인가? 6 file 2017.03.23 박민서 15276
중국발 미세먼지에 앓는 韓,日 file 2017.03.23 김경미 10160
대한민국의 탄핵 사태,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2 file 2017.03.23 박수민 9295
꺼지지 않는 촛불들이 가져온 승리 file 2017.03.22 김예찬 10537
사드, 그리고 각국의 시각 3 file 2017.03.22 김규리 12160
날로 심해지는 중국 내 반(反) 사드운동. 새 정부가 해결할 수 있을까? file 2017.03.22 장진향 10096
문재인의 번호와 참여정치 2 file 2017.03.22 최우혁 10115
'장미대선'을 앞둔 안철수의 교육정책, 학생의 시선에서 바라보다 file 2017.03.22 홍정민 17896
국민을 위한 공약제안 '대선공약 더불어 온라인 국민제안' file 2017.03.22 박천진 10738
정치인의 길 file 2017.03.22 윤영민 9890
제로금리에 가까웠던 美 기준금리 7년 만에 인상, 우리나라에 미치는 엉향은? file 2017.03.22 이승희 10238
대학원 조교들의 현실 2 file 2017.03.22 최동준 13387
좌파가 정말 몰락하고 있을까? - 대중영합주의에 대한 유럽의 반발 file 2017.03.21 신연수 10936
다시 한번, 국민의 힘을 증명하다. file 2017.03.21 정영우 11115
피의자 신분 박 전 대통령의 첫 검찰 수사 1 file 2017.03.21 최지오 11056
세월호 인양작업... 또 다시 지연 2017.03.21 황서영 9779
헌법기관 vs 헌법기관... 아직 끝나지 않은 싸움 file 2017.03.21 박찬웅 12053
탄핵, 그 후 경제는? file 2017.03.21 장혜림 10167
美 4월 환율조작국 발표…환율조작국으로 지정되면 file 2017.03.21 정단비 16276
뜨겁게 불타올랐던 133일의 끝, 마침내 봄이 오다 1 file 2017.03.21 4기류지현기자 63479
야자 폐지, 석식 중단, 꿈의 대학, 과연 꿈의 교육 실현 가능할까? 2 file 2017.03.20 윤익현 13591
“사람이 다스리지 말고 법이 다스리게 하라” 1 file 2017.03.20 이윤영 10901
촛불과 함께한 모든 날이 좋았다. file 2017.03.20 김윤영 9329
사교육 이대로 가도 문제없는가..! file 2017.03.20 이현 9785
청소년들, 사드(THAAD)를 어떻게 생각할까? 1 file 2017.03.20 4기이예인기자 11109
참여의 결과. 기쁘지만 부끄러운 우리의 역사. file 2017.03.19 김유진 10427
탄핵 후 우리에게 남겨진 과제들 file 2017.03.19 박윤지 11685
손학규 대선 출마 선언 “국민주권의 시대, 우리가 열어가야 할 미래” file 2017.03.19 황예슬 11805
미국 국무장관 "일본은 가장 중요한 동맹…한국은 중요 파트너" file 2017.03.19 정승민 11565
사드 보복, 경제적 손해량은 어느정도일까 file 2017.03.19 이수현 10775
혁신학교, 시스템을 체계화 해야... file 2017.03.19 김영민 11441
국민의 힘은 과거나 현재나 모두 같다. 1 file 2017.03.19 신해인 1197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