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점점 발전하는 '해킹'기술...우리가 필수적으로 알아야 할 것

by 21기박채은기자 posted Nov 29, 2021 Views 1166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최근 뉴스에서 해킹에 대해서 큰 화제가 되고 있다. 지난 2013년 미국에서의 큰 이슈가 되었던 한 기업의 해킹 사례로 예를 들 수 있다.


 해킹의 대표적인 사건으로 손꼽히는 한 가지 사건 중 미국에 위치해 있는 초대형 종합유통 업체인 타겟 코퍼레이션(Target Corporation)이라고 불리며 요즘은 전 세계적으로 영향력을 넓혀가고 있는 이 양판점에서의 무려 1억 명이 넘는 피해를 본 사건이 있다. 2013 11 27일부터 시작되어 12 15일까지의 최대 규모의 해킹을 당했다. 거대한 결과를 만들어낸 이 사건은 수많은 해커들이 1,797개 등 신용카드 및 4,000만 건의 체크카드 정보, 계좌번호, 전화번호와 같은 개인정보들을 해킹하여 훔쳐냈다고 한다. 양판점에서 사용하는 포스 시스템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악성 코드가 계산대에서 사용되는 카드 리더기에 침투하여 고객들이 신용카드를 긁을 때마다 카드의 해커들은 모든 정보를 훔쳐서 본사의 서버에 업로드 한 후 정보를 탈취했다. 일부의 많은 해킹 정보들은 러시아어로 이루어져 있다고 하는데 이 사건의 진범들은 아직까지도 잡히지 않았다는 것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이로 인해서 많은 피해를 본 것은 고객들 뿐만이 아니었다. 해킹 기술이 발달하여 이렇게 매출이 80조 원이며 직원이 30만 명을 보유하고 있는 대형기업까지 해킹할 수 있게 되자 타겟 기업의 총 기술 책임자인 CTO는 이미 사퇴하게 되었고, 그 후 이사회는 몇 개월 전 보안위험 상황에 대해 보고받은 것을 무시했다는 판결을 내려 결국 CEO까지 사임하게 되었다. 우리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려면 무엇을 할 수 있을까? 혹은 애초에 이 문제들이 생기지 않게 하려면 어떻게 보완해야 할까?


 우선, 해킹을 당했는지 의심할 수 있는 몇 가지 경우가 있다. 먼저 자신의 핸드폰에 자신이 다운하지 않은 어플이 깔려 있거나 인터넷 쇼핑에서의 구매하지 않은 목록이 결제되어 있거나 등 이러한 경우들이 있다. 이 밖에도 수많은 징후들이 있다. 쓰지 않은 데이터의 사용량의 기록이 급증할 수도 있고 그로 인해 현저히 핸드폰의 열 발생량도 늘어난다. 이러한 경우, 백그라운드에서 사용하는 악성 프로그램이 핸드폰의 성능을 크게 저하시켜 해킹을 당했을 수도 있을 가능성이 높게 나타난다. 이 모든 경우들은 핸드폰뿐만 아닌, 모든 전자기기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해킹된 우리의 기기를 해킹한 범인을 어떻게 잡아낼 수 있는 방법이 없지만은 않다. 하지만 여기서 우리가 고려해볼 만한 점은 기기를 해킹한 범인은 꼭 전문적인 해킹범이 아닐 수도 있다는 변수를 알아야 한다. 때로는 어떠한 조직에서의 자신의 파트너 혹은 부모님께서 우리의 기기에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위치 추적기나 메시지, 통화를 몰래 추적하는 어플들을 미리 설치해 두셨을 수도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알 수 없는 페이지나 최근 통화에 기록된 의심이 가는 정보들, 그리고 미디어 어플의 계정을 통해서는 대개 해킹범을 찾아낼 수는 없지만 그 사람과의 연관성을 알아낼 수 있다. 만약 기기를 해킹한 진범을 찾아내고 싶다면, 해킹 보안 전문가에게 도움을 청하거나 자신이 당한 사건의 조사를 위해서 전문적인 해킹 전문 집행 기관이나 법원에 넘겨야 한다.

 

 이러한 문제들이 생기지 않기 위해서 우리는 할 수 있는 일들을 통해 우리는 철저히 보완할 필요가 있다. 그 중 대표적인 활동으로는 안드로이드나 IOS에서 스파이웨어를 서칭하여 구분할 수 있다. 먼저 안드로이드에서 특정 파일이나 특이한 폴더의 이름의 존재로 구분해 볼 수 있다. 너무 보편적인 이름이지만 'monitor', 'spy' 같은 단어들로 이루어져 있다. 그럼 우리는 이것이 해킹범의 파일 이름이었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아이폰의 경우, 보통 아래의 사진 자료와 같이 맨 위에 주황색 점이나 음성 메모라고 표시가 있지만 해킹된 기기의 경우에는 이러한 표시가 시도 때도 없이 나타난다고 한다. 하지만 이런 것들을 확인하기 어렵다면 더 쉬운 방법들이 있다.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21기 박채은기자]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21기 박채은기자]


 안드로이드의 대표적인 해킹 방지 어플로는 노티파이어(App Notifier)가 있다. 자신뿐만 아닌 누군가가 자신의 핸드폰에 프로그램을 깔았을 시, 바로 이메일로 알림 메시지가 온다. 또한 원하지 않았던 활동을 수행하려고 하거나 안전하지 않은 링크를 열 때도 즉시 메시지가 온다. 아이폰의 경우, 많은 어플이 존재하지만, 그중 내정보지키미(safemyinfo)' 폰 가디언(Phone Guardian)'이 있다. 둘의 공통점은 VPN 보안으로 개인정보와 데이터 보안을 보장받을 수 있다. 비공개적인 인터넷 접속과 해커의 접근을 최대한으로 방지한다는 장점이 있다.


 이처럼 우리가 모르는 사이에 해킹의 기술을 끝도 없이 광범위로 발전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앞서나가는 해킹 기술에 피해자가 되기 전에 먼저 방지해야 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21기 박채은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658195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655716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075970
렌즈, 올바른 사용법과 부작용 3 file 2020.09.09 김현수 16336
코로나19로 인한 온라인 생중계 아이돌 팬미팅 1 file 2020.09.14 최다인 12675
코로나로 멈춰버린 지금, 집에서 문화생활을 다시 찾다 2020.09.16 이준표 12829
하늘을 날고 싶어도 못나는 꿈의 비행기가 있다? 3 file 2020.09.16 이혁재 12977
무기한 연기? 달라진 우리의 문화생활 2 file 2020.09.17 최진서 13313
치과 공포증, 존재하는 질환일까? 3 file 2020.09.17 김수경 15382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코로나 블루, 우울함에 대처하는 과학적 방법 2 file 2020.09.18 김다연 15035
'신흥 강자'로 불리던 게임들이 유독 한국에서 부진한 이유는? 1 file 2020.09.21 김상혁 88976
방탄소년단이 서울을 전 세계에 알리다 1 file 2020.09.21 유지원 11486
동남아 여행, 이 애플리케이션 꼭 다운 받아야해! file 2020.09.21 정진희 12105
뮤지컬 ‘캣츠’의 코로나19 대처 방법, 그에 대한 반응은? 1 file 2020.09.22 이서영 13410
코로나 신조어 어디까지 알고 있나요? file 2020.09.23 조수민 14434
집에서 아이와 재미있게 할 수 있는 과학 실험? pH 컬러링! 1 2020.09.24 김태은 17320
UN에 관심 있는 청소년들이여, 이리로 오라! 3 2020.09.25 전민영 10978
영화 겟 아웃의 나오는 인종차별에 대해 알아보자 1 2020.09.25 김경현 16903
무인 판매기의 증가, 소외되는 소수들 file 2020.09.25 송다은 11700
전 세계 넷플릭스 독점 공개! '보건교사 안은영' file 2020.09.25 전채윤 15429
'황소' 황희찬이 라이프치히에 왔다? 1 file 2020.09.25 김시윤 11009
시대의 아이콘 블랙핑크, 10월 2일 첫 정규 앨범으로 컴백 예정 file 2020.09.25 김서영 11866
현대와 미래를 한 아름 담은 공간, 현대 모터스튜디오 고양 file 2020.09.25 이건 12409
제1회 '청년의 날', BTS가 연설로 서막을 열다 1 file 2020.09.25 조예은 13241
청년을 위한 행사, '제1회 청년의 날' 기념식 file 2020.09.28 황지우 10784
코로나19 시대의 새로운 등장, 로봇 카페 2 2020.09.28 김해승 11830
크로아티아 수심 114m 호수의 믿을 수 없는 변신, 축구장이 되다 file 2020.09.28 권혁빈 14312
방탄소년단, UN에서 또 한 번 세계에 위로의 메시지를 던지다 1 file 2020.09.28 김우정 21934
세계적 기업, 펩시콜라 성장시킨 도널드 켄들의 별세 file 2020.09.28 김상현 12590
치킨값=목숨값? 스웨덴은 법만 지키면 운전하다가도 떡이 생긴다 4 2020.09.29 문청현 15569
지상 최대 거물들의 밥그릇 전쟁 발발 file 2020.09.29 오진혁 10824
새로운 정상과 청소년 활동 주의에 대해서 file 2020.09.29 김태환 11876
빠져나가는 월트디즈니 작품들, 디즈니플러스 독점에 대한 예고일까? file 2020.09.29 박민아 13132
"해외여행 가는 척", 이게 요즘 인기라고? 2 file 2020.09.29 조윤주 11204
몸뿐 아니라 마음까지 병드는 '코로나 블루' file 2020.10.05 이채림 12508
코로나 따라 상승기류 타는 'OTT 서비스' file 2020.10.05 차준우 13617
우리는 어제 사람을 죽였다 4 file 2020.10.05 정미강 22921
온라인 수업 장기화, 학생들의 생각은? 1 file 2020.10.05 조윤아 12070
정유미X남주혁 <보건교사 안은영> 1 file 2020.10.05 김민영 11838
'비밀의 숲 2' 약방의 감초, 존재감 빛나는 조연들 2 file 2020.10.05 김나현 15720
생활 변화의 주범, 코로나 file 2020.10.05 김준희 13386
음식물 쓰레기, 일본에선 그냥 버릴 수 있다고? 1 file 2020.10.05 김시은 22599
추석에는 왜 송편을 먹을까? 4 file 2020.10.05 김성희 13881
코로나19를 예측했다? 재조명받는 영화 <컨테이젼> 1 file 2020.10.06 이소은 14799
쓰레기처럼 버려지는 애완동물들 4 file 2020.10.08 김성진 13148
OpenAI, Microsoft와 독점 라이선스 계약 체결... 배경과 미래는? file 2020.10.08 최준서 25563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아이오로라, 교통카드기능 스마트 학생기자증 도입 위한 업무협약 체결 file 2020.10.12 디지털이슈팀 17866
FC 바르셀로나의 부활, 그 주역은 메시 아닌 17살 유망주, 안수 파티 file 2020.10.12 김민재 18365
일반인이 알지 못했던 CPR 지식 1 file 2020.10.12 권태웅 17139
여의도는 얼마나 큰가요? 2020.10.13 박지훈 18649
돌풍의 에버튼! 파죽의 7연승 file 2020.10.14 최준우 1331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