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시진핑, 장기집권의 길을 열다: 중국 공산당 100년 역사상 3번째 '역사결의'

by 20기황호영기자 posted Nov 22, 2021 Views 919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중국 공산당에서 제3 역사결의가 채택되며 시진핑 국가주석의 권력 장악이 더욱 강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Screen Shot 2021-11-17 at 5.11.19 PM.pn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20 황호영기자]

 

2021 11 1119기 공산당 중앙위원회 6차 전체회의에서 중국 공산당이 100년 역사상 3번째 역사결의를 채택하며 시진핑 국가주석의 3연임 장기 집권 토대를 마련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역사결의를 채택한 후 장기 집권을 했던 마오쩌둥 전 국가주석을 따라 시진핑이 또한 장기 집권을 하게 될지 주목되는 바이다.

 

1945 4 20마오쩌둥이 국가주석이었던 중국 공산당은 중앙위원회 제6 7차 전체회의에서 역사상 첫 번째 역사결의를 채택하였다중국 역사상 첫 번째 역사결의는 마오쩌둥에게 공산당의 핵심 지위를 부여했으며 마오쩌둥 사상 체계를 부각시키며 마오쩌둥이 장기집권을 하는 데에 기여를 했다는 평가가 있다실제로 이 결의가 채택되고 마오쩌둥 전 국가주석은 1976년 사망 전까지 중국 공산당의 최고지도자 자리를 맡았다

 

2차 역사결의는 1981 6 27일 공산당 중앙위원회 제11 6중 전회에서 채택되었다이 결의의 채택을 통해 당시 중국 공산당의 실질적 최고지도자였던 덩샤오핑은 마오쩌둥과 같이 권력 장악을 공고화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2018년 중국 공산당은 이미 시진핑 국가주석의 임기 제한을 없애기 위해 헌법을 개정했으며이로써 시진핑은 사실상 사망 전까지 공산당의 최고지도자 자리를 차지할 수 있게 되었다나아가 시진핑 주석은 자신만의 정치 이론을 중국 헌법에 기록했다자신만의 결의안을 발탁함으로써 시진핑은 마오쩌둥과 시진핑 두 전임자와 같은 수준의 지위를 확보한 것이다.

 

시진핑 국가주석의 두 번째 5년 임기는 내년으로 마무리된다그러나 이번 공산당의 역사결의 채택으로 시진핑 주석의 3연임기를 통해 총 임기 15년으로 늘리는 것은 기정사실화 되었다더 이상 얼마나 재임을 하게 될지는 주목하여 지켜봐야 될 상황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20 황호영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94448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62441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75650
문재인 대통령 임기 중 마지막 유엔 연설 file 2021.09.27 최서윤 6969
격해지는 윤석열 전 검찰총장과 유승민 전 의원의 표절 공방 file 2021.09.27 송운학 9777
2주 남은 국민의힘 2차 컷오프 경선, 최후의 4인은 누구 file 2021.09.27 윤성현 10118
'제33차 혁신성장 전략점검회의' 개최 file 2021.09.27 이지은 7307
끝나지 않은 전쟁, 미국은 왜 아프가니스탄을 떠났나 file 2021.09.27 강도현 10023
홍콩 국가보안법 발의 이후 변화, 이대로 괜찮은가 file 2021.09.28 이원희 7414
헝다그룹, 유동성 위기 극복 기대난 file 2021.09.29 윤초원 7442
역전을 노린다! 국민의힘 '추격자들'의 6인 6색 토론 전략 2021.09.30 김희수 11375
2022년 대선, 국민의힘에선 누가 대선주자가 될까? file 2021.09.30 이승열 7287
끝나지 않는 가슴 아픈 종파 싸움, 시리아 내전 file 2021.09.30 류채연 7037
코로나19에 의한 경제적 양극화 현상.. 그 이면에는 거대기업들과 무책임한 정부가 있다? file 2021.10.05 이성훈 7680
더불어민주당 2022년 대선 후보, 이재명 후보로 지명 file 2021.10.12 이승열 10303
경기도지사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20대 대통령 후보로 확정 file 2021.10.15 고대현 6890
IMF, 세계경제전망 발표… 한국 경제는 선방하는 중 file 2021.10.18 엄태우 9124
한국, 백신 부족 해소돼 ‘위드 코로나’ 준비 2 file 2021.10.25 안태연 8445
'오커스'가 도대체 뭐길래.. 프랑스 왜 뿔났나 file 2021.10.28 조지환 5515
20대 대선에 출사표를 던진 군소후보들 file 2021.10.29 노영승 6242
국가를 이끄는 힘! 정치구조와 정부 비교, “한국과 중국의 정치구조” file 2021.10.29 권나연 11246
국민의힘 경선 투표율 50% 이상 달성, 역대 최고치로 전망 file 2021.11.04 이승열 6840
윤석열, 전두환 전 대통령 옹호에 이은 '개 사과' 논란에 이 지사 "한국판 홀로코스트 법 제정해야" file 2021.11.04 이도형 7385
국민의힘 대선 후보로 윤석열 전 검찰 총장 file 2021.11.08 송운학 8377
이란, 핵 합의 복귀 밝혀, 이란과 미국 간 악연의 시발점은 어디인가? file 2021.11.08 권강준 9788
공급망 병목현상에 이어 전력난, 요소수 부족까지… 국내기업 “긴장” file 2021.11.10 윤초원 8494
심상정·안철수, 다시 한번 서게 된 '선택의 기로' file 2021.11.16 김희수 13465
이재명 與 후보, 위성정당 방지법 추진할 것 1 file 2021.11.17 고대현 13572
시진핑, 장기집권의 길을 열다: 중국 공산당 100년 역사상 3번째 '역사결의' file 2021.11.22 황호영 9190
코로나19 이후 일본과 한국의 관계 file 2021.11.25 이원희 6303
접종률 75% 넘는 일본, 백신 기피로부터 전환 성공하나? file 2021.11.25 안태연 6756
문재인 대통령, 국가인권위원회 설립 20주년 기념식 축사 "정부정책 비판도 해야" file 2021.11.26 이지은 6371
故 노태우 전 대통령과 전두환 전 대통령에 대한 사회적 인식 왜 다른가? file 2021.12.07 오유환 7494
윤 후보, 홍대거리를 순찰하며 현 경찰제도에 대해 논의 file 2021.12.08 이승열 10952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 이대로 경기는 나아질까 file 2021.12.20 박서빈 8058
중국 대출우대금리 0.05%인하…이유는? file 2021.12.22 윤초원 5938
방역패스, 이대로 괜찮을까? file 2021.12.22 김가은 7919
[공동취재] 기획기사 ① 신길 2구역 “재개발만으로는 설명 불가능하다” file 2021.12.24 오정우 8880
러시아까지 영국에 이어 코로나 누적 확진자 1천 만명 넘었다...위드 코로나는 역시나 다시 중지 file 2021.12.24 정지운 10237
지속되는 헝다그룹의 부진.. 위기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 file 2021.12.24 이성훈 7020
우후죽순 터지는 인사 실패와 망언들, 급락하는 윤석열의 지지율 file 2021.12.27 윤성현 7820
[공동취재] 기획기사 ② 비정규노동자들의 쉼터 ‘꿀잠’, 재개발 속 부딪히는 이해관계 file 2021.12.27 함지원 7046
[공동취재] 기획기사 ③ 꿀잠, 그래서 뭐 하는 곳인데? file 2021.12.27 이유림 7008
계속되는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부동산 가격 떨어지나 2021.12.28 유지훈 6764
방역패스, 백신 미접종자 차별? 1 file 2022.01.06 피현진 5672
정부, 2022 신년 특별사면 단행… 박근혜 전 대통령 포함 3,094명 대상 file 2022.01.07 이지은 28132
현 러시아 연방 대통령 블라디미르 푸틴에 대해 알아보자 file 2022.01.11 오유환 6983
우리나라 가계부채 명목 GDP 대비 106.5%…가계경제 비상등 켜지나 file 2022.01.18 윤초원 10217
尹, 여성가족부 폐지 공약 발표, 여가부는 어떻게 지금에 이르렀나 file 2022.01.20 고대현 44736
청소년의 방역패스, 필수인가 선택인가 1 file 2022.01.21 최재원 1413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