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한국의 사계절이 사라지고 있다

by 20기임나연기자 posted Nov 22, 2021 Views 1237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KakaoTalk_20211116_152631026.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20기 임나연기자]


사계절이 뚜렷하다는 특징을 가졌던 한국은 점차 그 특징을 잃어가고 있다.


가을장마가 시작되기 전까지 내렸던 잦은 소나기는 "사실 소나기가 아니고, 스콜이 아닐까"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짧고, 세차게 내렸다. 가을에 내렸던 비도 마찬가지로 세차게 내리다가 몇 분 지나지 않아 멈추고, 반복되는 현상을 보였다. 이런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바로 '기후 변화' 때문이다. 한국의 기후가 온대 기후에서 아열대 기후로 바뀌고 있다는 말까지 등장한다. 봄과 가을이 짧아지는 현상을 보더라도 기후 변화가 심각하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기후 변화로 인해 한국의 사계절에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기후 변화는 왜 발생할까? 이는 심각한 '지구 온난화'가 원인이 된 것이다. 지구 온난화는 한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서 꾸준히 문제가 되는 부분이다. 토지와 해안이 사막화되고, 빙하가 녹아 빙하 위에서 살던 생물들은 죽음을 맞고, 해수면이 높아져 살 곳을 잃는 사람도 많아지고 있다. 지구 온난화로 인한 피해는 이뿐만이 아니지만, 이러한 사실마저도 간과하고 살아가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통계자료.jp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20기 임나연 기자]


다양한 생태계에 영향을 미쳐온 지구 온난화는 현재 이 같은 기후 변화를 일으킬 정도로 심각해졌다. 심각한 지구 온난화의 주범은 바로 온실가스 배출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온실가스 배출량 중 가스별 비중은 이산화탄소가 91.4%로 가장 높고, 분야별 비중은 에너지가 86.9%로 가장 높았다.


인간은 직접 지구 온난화를 초래하고, 그로 인해 다시 지구 온난화를 가증시키는 악순환을 낳았다. 이제는 에어컨을 켜는 것, 자동차를 타는 것과 같이 우리가 생각하는 '일상적 행동'을 일상적 행동이라 말할 수 없을지 모른다. 지구 온난화와 기후 변화로 인한 피해는 남의 이야기가 아니라 우리에게 닥친 현실이고, 우리가 초래한 결과이다. '기후 위기' 상황에서 우리는 심각성을 깨달아야 한다.


기후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모두의 노력이 필요하다. 흔히 알고 있는 환경 보호, 전기 절약, 에너지 절약 행동 모두가 탄소 배출을 줄이는 방법이다. 심지어 요즘 화제인 '비건'도 탄소 배출을 줄이는 한 방법이다. 이 외에도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한 방법은 아주 다양하고, 포털 사이트에 탄소 배출에 관한 것만 검색해도 쉽게 찾을 수 있다.


나 한 사람의 변화가 환경에 어떠한 나비효과를 줄지 모른다. 우리가 조금이라도 관심을 두고, 위와 같은 작은 노력부터 시작한다면 '탄소 중립'에 점점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다. 바쁜 하루지만 조금이라도 시간을 내서 기후 위기의 심각성과 해결 방법에 관심을 가져보는 것이 어떨까?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20기 임나연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661731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659140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079190
[MBN Y포럼] 대한민국 영웅들과 함께 꿈과 비전을 심다! 5 file 2017.02.11 고아연 16052
손나은닷컴, 추운 겨울날에 따뜻한 손길 전해... 9 file 2017.02.11 신지혁 14911
나눔의 가장 큰 의미는 희망입니다. 6 file 2017.02.10 정가영 15418
글로벌 리더로 거듭나다! - GLFY 2017 4 file 2017.02.09 이상윤 16627
올해 개봉예정인 영화 '군함도', 日 발끈했다? 13 file 2017.02.09 윤은빈 18496
기존의 수학은 잊어라! KYMA 대한청소년수학회 학술대회 개최 12 file 2017.02.09 최기영 18626
일본, 시민문화와 비례하는 길거리 12 file 2017.02.09 유나영 17756
2018 평창올림픽의 숨은 조력자를 찾아라! 5 file 2017.02.09 이지희 20036
책으로만 본 국회의사당, 직접 만나보세요! 7 file 2017.02.08 김수오 17086
[MBN Y 포럼] 2030 젊은 세대를 위한 글로벌 청년 포럼 4 file 2017.02.08 신예진 16165
[ MBN Y 포럼] 장충체육관에서 열리는 MBN Y 포럼 "불가능을 즐겨라"! 3 file 2017.02.08 박준우 13644
[MBN Y 포럼] Enjoy The Impossible! 4 file 2017.02.08 김지원 13822
페미니즘, 페미니스트. 그게 대체 뭔데? 4 file 2017.02.07 박수지 14541
<7년-그들이 없는 언론> 관객과의 대화…"일시적이지 않고 꾸준한 언론을 기대해야" 6 file 2017.02.07 백민하 14815
벚꽃이 필 때도, 배구하자 6 file 2017.02.06 방가경 14646
용인시 여성 안전 위해 안심 택배 서비스 실시 16 file 2017.02.05 오수정 17269
팬들의 기부행렬, 사회적 이슈로 화제모아 6 file 2017.02.05 최연우 17245
자연이 살아 숨 쉬는 섬, 오륙도 8 file 2017.02.04 정유진 16012
진로에 고민이 많은 10대를 위한 꿈수레 전공체험박람회 8 file 2017.02.04 이현지 20730
[일본 관서지방 여행기] pt 2 교토 (1) 8 file 2017.02.03 박소이 14253
7년이란 세월을 버텨온 당신께, 이제는 웃는 7년을 선물하고 싶습니다. 11 file 2017.02.03 임하은 15383
포켓몬 고 한국 정식 출시, 증강 현실(AR)이란? 13 file 2017.02.03 정승훈 17064
국제 사회에 한 발짝 더 가까워 지는 문, 모의유엔(MUN) 7 2017.02.03 박소희 24066
“기아 에코다이나믹스 원정대 7기” 해외캠프 실시 4 file 2017.02.03 이태양 21096
'도깨비'후속작 '내일 그대와' 그 뒤를 이을 수 있을 것인가. 14 file 2017.02.03 정원희 17025
세계, ‘혼자’의 편견을 부수다! 22 file 2017.02.03 강건화 16089
대한민국 청소년을 열정으로 불태우게 만들 책 8 file 2017.02.02 옥승영 16201
전세계를 덮친 최강 한파???그 원인은 지구온난화? 4 file 2017.02.02 장현경 16244
세계 최대의 인구와 광대한 국토를 가진 나라, 중국 10 file 2017.02.02 4기송주영기자 17595
강력 한파로 환자 급증해… 4 file 2017.02.01 이유정 13997
전쟁의 제물로 희생된 수많은 진실, 연극 <벙커 트릴로지> 8 file 2017.02.01 김단비 17774
건축학교 아키, 꿈을 짓는 건축캠프 개최 8 file 2017.02.01 오승민 16222
죽기 전에 가봐야 할 나라, 싱가포르 12 file 2017.01.31 고아연 15524
윷놀이, 제기차기, 팽이치기…. 우리도 한국인 8 file 2017.01.31 김세흔 18353
손 끝에서 자연을 창조해내는 예술가, 훈데르트 바서 6 file 2017.01.31 최다인 14649
[현장취재] 100주년을 향해 도약하자. "우리, 횃불되리라." 16 file 2017.01.30 김유진 14504
영화..그리고 청소년 [MOV동아리활동] 10 file 2017.01.30 김윤서 14389
대마도에서 '대한민국'을 엿보다. 7 file 2017.01.27 서상겸 18237
드론의 끝없는 변화 '수중 드론' 6 file 2017.01.27 임경은 19391
빅뱅콘서트가 국익에 도움이 된다고? 17 file 2017.01.26 형지민 16071
방학? 그게 뭐야? 먹는 거야? 25 file 2017.01.26 김수민 15747
영화, `모아나' 논란 10 file 2017.01.25 전인하 19928
노회찬 "1987년식 자동차를 고수할 것인가, 최신형 2017년식 자동차를 구입할 것인가." 6 file 2017.01.25 곽다영 14047
도심 속 눈, 아름답지만은 않았습니다. 9 file 2017.01.25 송인준 14439
화려한 막을 내린 도깨비 18 file 2017.01.25 옥승영 18972
연세대학교, YMUN 2017을 성공적으로 마치다 6 file 2017.01.25 최이윤 23179
'도깨비'가 남긴 것들 8 file 2017.01.25 주은채 14536
초롱초롱 제4기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 file 2017.01.25 김소희 1626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