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정월대보름, 다들 부럼 깨셨나요?

by 3기김규리기자 posted Feb 23, 2016 Views 1642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20160222_175036-1.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3기 김규리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2월 22일 정월대보름을 맞이하여 열린 '2016 중구 정월 대보름 맞이 행사' 는 울산 중구 문화의 전당 앞 공터에서 중구문화원의 주관에 의해 열렸다. 행사시작 시각은 13시 였으며 21시까지이어졌다. 민속놀이 체험, 소원지 쓰기 , 부럼 깨기등 다채로운 행사가 준비되어 있었다. 13시 부터 진행된 팔씨름, 윷놀이, 풍물놀이 대항전은 1등, 2등, 3등에게 상금도 주어졌다. 팔씨름과 윷놀이는 1등 30만원 2등 20만원 3등 10만원, 풍물놀이대회 는 1등 50만원 2등 30만원 3등 20만원 그리고 참가상 5만원을 제공했다. 윷놀이, 팔씨름, 풍물놀이 대회는 2월 17일 까지 주민센터로 신청한 사람만 참여 할 수 있었다.?먹거리 부스에는 부추전, 떡볶이, 막걸리,전통차,고구마, 가래떡 구워먹기, 달고나 만들기 등을 판매하고 있었고, 땅콩과 호두는 무료로 배부하였다.


20160222_184552-1.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 3기 김규리 기자, ⓒ대한민국청소년 기자단]


  달집태우기가 시작되는 순간 옆에 공터에서 불꽃도 터뜨려 이 색적인 분위기도 자아냈다. 이어서 강강술래가 진행되었다. 오색 천 사이로 중구민들이 들어가 달집을 도는 식이다. 달집 앞 본 무대에서는 강강술래 노래가 나왔다.그리고 사물놀이 팀이 강강술래를 이끌었기 때문에 사물놀이 장단에 더 흥겹게 행사가 진행되었다. 달이 제일 크게 뜨는 날인 정월대보름에 아쉽게도 달을 볼 수 없었다. 구름이 많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시민들은 타오르는 달집을 보며 소망을 빌며 아쉬움을 달랬다.


  한편에는 혹시모를 사고를 대비하여 소방차와 구급차가 대기하고 있었고, 경찰들은 혼잡해진 교통을 정리 하였다. 달집태우기 행사가 끝난 뒤 시상식, 행운권 추첨, 폐회식을 하며 2016 중구 정월 대보름 맞이 행사의 막을 내렸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3기 김규리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3기전재영기자 2016.02.23 22:52
    작년에는 대보름 맞이 행사에도 가고 오곡밥도 지어먹었는데, 요번 정월대보름에는 아쉽게도 시간이 되질않아서 하지 못했어요. 대보름 맞이 행사 재미있고 유익한 시간이 되었을 거 같은데,, 다음에는 꼭 시간을 내서 참여하고 싶네요. 좋은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3기김가현기자 2016.02.23 23:09
    정월 대보름이 그저 오곡밥 먹고 부럼 깨는 날이라고만 생각하고 강강술래 달집 태우기는 그저 책에서만 접해볼 수 있었던것이라고 생각했었는데 이렇게 좋은 체험이 있다니 다음 정월대보름에는 한번 체험해 보는것도 나쁘지 않을것 같아요!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 ?
    6기김나림기자 2016.02.24 10:32
    정월대보름은 설날 같이 큰 명절이라고 생각하지 않아 아무 일도 아니라는듯이 넘어가고는 했는데 앞으로는 정월대보름 등 고유문화를 챙겨야겠네요...
  • ?
    3기김민지기자(국제) 2016.02.24 21:59
    전 동생이랑 땅콩 깨먹었어요 ㅋㅋ 근데 시간이 지날수록 정월대보름 같이 공휴일 아닌 민족적 기념일들이 잊혀져 간다는 느낌이 들어요.. 기사가 정월대보름에 대한 사람들의 기억을 상기시켜준 것 같아요!
  • ?
    6기강예린기자 2016.02.25 08:53
    저도 부럼깨먹었어요^^ 옛날엔 정월대보름이라고 집에서도 많이 전통놀이도 하곤했는데.. 요즘 그런 풍속이 점점 사라지는 것 같아 아쉽네요^^ 좋은 기사 잘 봤습니다!!
  • ?
    4기 조은아 기자 2016.02.25 10:52
    달집태우기 사진이 정말 아름다워요! 사고를 대비하고 있었다니 다행이네요. 저도 꼭 체험해보고 싶어요.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3기김윤정기자 2016.02.25 18:46
    우리나라 전통음식을 맛볼 수 있고 우리나라 전통놀이 체험도 할 수 있다니 ! 정말 여러모로 유익한 행사같아요!
  • ?
    3기이상훈기자 2016.02.25 23:17
    정월대보름도 한가위나 설 못지 않게 중요한 날인 것 같네요. 오래오래 그 문화와 전통이 유지되길 바랍니다. 기사 잘 읽고 갑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694707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692354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11982
왜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날엔 구름이 많을까? 3 file 2017.03.24 김가영 16614
왜 우리에겐 페미니스트 선생님이 필요할까. 3 2017.09.20 박수지 15336
왜 이렇게 덥지? 지구가 Burn하고 있다 1 file 2016.07.25 김지민 14276
왜곡된 생리 찾아 삼만 리, “나 생리한다!” 2020.03.02 최은아 16360
외계인과의 소통, '컨택트'의 물리학적 해석 6 file 2017.02.26 유승민 18761
외교부와 함께하는 국제법 타운홀 미팅 제2탄, 부산으로 오이소! file 2018.05.29 김태연 15930
외국인 문화 교류 연합 동아리, 'FRIENDS'는 코로나 속 어떻게 대응하나 file 2021.05.27 임유림 12707
외국인 연수자들에게 뜻 깊은 시간을 선사하자 KOICA 학생도우미 봉사단 file 2016.05.22 최윤철 16092
외로운 이들에게 바치는 영화, '거울 속 외딴 성' file 2023.04.19 유영진 8122
왼손잡이, 오른손잡이 과연 누가 결정할까? 1 2021.01.15 이채영 16504
왼손잡이는 천재라는데 진실일까? file 2017.03.25 김선웅 17182
요우커 사라진 제주도..하지만 전체 관광객은 늘어 2 file 2017.04.25 박지호 13299
요즘 대세 지코, '지코관' 운영을 통해 대세 굳히기 성공 file 2017.09.01 정상아 15518
요즘 대세는 4차 산업혁명! file 2017.05.13 한윤성 14138
요즘 부모들의 핫플레이스, 베이비페어 1 file 2017.02.23 양현진 14335
요즘 유행은 '이색 데이트' file 2021.05.24 김은지 11582
요즘 이슈가 되고 있는 1인 미디어! 다양한 분야의 1인 미디어에 대해 알아보자! 2 file 2017.08.22 정혜원 14421
요즘 팬덤 문화의 핫이슈 '포카'를 들어보셨나요? 1 file 2022.01.27 정하윤 13551
요즘 핫한 그의 이름은 '해리안' file 2018.06.18 6기정예진기자 17370
요즘은 '소논문'이 대세?! 1 file 2016.05.22 천예영 17339
요진건설, 설 명절 맞아 한국보육원에 ‘사랑의 선물’ 전달 file 2023.01.25 디지털이슈팀 7496
욕, 무슨 뜻인지 알고 있니? file 2014.07.27 김유빈 30712
용인, 제1회 청소년어울림마당 '동아리 페스티벌' file 2018.05.24 정수현 15141
용인시 여성 안전 위해 안심 택배 서비스 실시 16 file 2017.02.05 오수정 17502
용인시, 용인 주요 관광지 할인 프로모션 시행 1 file 2017.11.01 오수정 13850
용인시, 학생승마 지원으로 여가문화를 선도하다 file 2020.08.31 조예은 13621
우려하던 일이 실제로..‘비상걸린 콘서트장’ file 2020.11.27 이서영 13408
우리 고장을 사랑하는 방법, 배곧 초∙중∙고 마을 연계 교육! file 2018.06.05 양세영 16449
우리 그리고 세상을 위한 대회, 너희도 내년에 참가해봐! 2017.12.01 이유정 14028
우리 다함께 편지보내고 간식먹어요! file 2021.04.01 우규현 12525
우리 동네 도서관에서 만나는 인문학 file 2018.04.02 강예린 13699
우리 동네를 지키는 '영등포 본동 자율방범 현장체험' file 2017.09.04 이지연 14624
우리 동네에 공용 냉장고가 있다고? 중국 내 무인화 기기 사용 4 file 2020.05.02 김수임 16353
우리 동네에서 만나는 작은 '청소년 의회' file 2017.03.21 이가영 13843
우리 모두가 경축해야 하는 국경일, 광복절 1 file 2018.08.20 유하늘 13302
우리 모두가 알아야 하는 12월 3일, '세계 장애인의 날' file 2021.12.13 이서정 15306
우리 몸을 지배하는 뇌를 건강하게! - 뇌건강체험박물관 견학- file 2017.08.31 윤정원 14878
우리 반에 다문화 학생이 10명이라면? '2021 다문화학생 밀집지역 학교 발전 방안 토론회' file 2021.02.08 김성희 14620
우리 생활 속 숨어있는 수학 원리 file 2020.03.30 장서윤 23427
우리 서해 바다, 지켜주셔서 감사합니다. file 2017.03.26 송인준 12642
우리 속의 경제! 돈을 쓰고 돈을 모은다, 립스틱 효과와 카페라테 효과 1 file 2017.02.24 김지원 23610
우리 속의 경제! 무한하거나 유한하고 따로 사거나 같이 산다, 자유재와 경제재/대체재와 보완재 1 file 2017.03.20 김지원 14676
우리 아들은 파란색, 우리 딸은 분홍색 2 file 2017.08.31 류영인 15673
우리 아이 교육비 고민, 올해는 해결했어요! 1 file 2017.03.22 문지원 15249
우리 아이들의 미래, 이젠 노란 신호등이 지킨다. file 2017.09.01 안소희 20788
우리 역사가 깃든 장소, 오죽헌 2019.09.09 김혜진 17679
우리 주변의 예술, '마켓마' 1 file 2018.07.18 김진영 17577
우리 지역사회 문제, 우리가 직접 해결해요! 2017.10.31 김효림 3369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