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모두가 차별받지 않는 세상을 위한 한 걸음, 성별 인칭대명사(Gender Pronouns)

by 20기홍소민기자 posted Oct 05, 2021 Views 1726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SNS나 웹 서핑을 하다 페이지에 `she/her/hers`와 같은 내용이 적혀있는 것을 발견한 적이 있는가? 바로 영어권 문화에서 주로 사용하는 성별 인칭대명사(Gender Pronouns)’이다.

많은 사람이 학창 시절 영어 시간에 배운 삼인칭을 나타내는 대명사는 세 개였을 것이다. 여성이면 She, 남성이면 He, 사물이나 동물이면 It. 하지만 요즈음 영어권 문화에서는 자신이 태어난 생물학적인 성별에 따라 무조건 여성과 남성으로 나누어 부르기보다는, 사회적 성별에 따라 호칭을 불러 달라는 운동이 진행되고 있다.


소민1.jp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20기 홍소민기자]


한국의 경우에는 여성이든 남성이든 라는 호칭을 사용하기 때문에 생소한 개념일 수 있다. 최근 한국에서 여성은 그녀라고 칭하고 남성은 라고 지칭하는 것은 본래 한국에서 사용된 것이 아닌 외국에서 들어온 번역체의 영향이다. 하지만 영어권 문화에서는 성별에 따라 남성과 여성을 지칭하는 인칭대명사가 분명하게 분리되어 있으므로, 타고난 신체적인 성별과 다른 성별로 살아가는 사람들은 불편함을 느낄 수 있는 것이다. 신체적 특징만으로 자신을 남성, 여성이라고 판단하지 말고 해당하는 성별 인칭대명사를 써주기를 부탁하는 것이 바로 성별 인칭대명사이다. 실제로 자신의 성 정체성을 규정하고 싶지 않아 하거나, 규정할 수 없다고 믿는 사람들은 중성 인칭대명사 ‘They/Their/Theirs`를 사용하기도 한다.


하지만 사람들은 왜 굳이 성별 인칭대명사를 사용하는 것일까? 이는 성 소수자들이 겪는 차별과 고통에 맞서고, 그들을 존중하기 위해서이다. 말하자면 모두가 평등한 세상을 만들기 위한 단계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왜 굳이 헷갈리고 귀찮게 새로운 인칭대명사를 사용해야 하냐고 불평할 수 있지만, 성 소수자들이 겪는 불편함과 소외감보다는 감수할 가치가 있는 불편함이라는 것이 사람들의 의견이다. 다르다는 이유로 차별과 폭력의 대상이 되는 성 소수자들을 지지하고 존중한다는 의미의 성별 인칭대명사. 그런 대명사부터라도, 성 소수자들 또한 같은 사람이고 존중받을 가치가 있다는 것을 사람들에게 알릴 수 있기를 바란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20기 홍소민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13863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11282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32909
코로나 악조건 속 흥행 중인 영화 소울, 어떤 영화길래? 2021.01.27 유채연 15284
코로나 신조어 어디까지 알고 있나요? file 2020.09.23 조수민 14800
코로나 시대로 열린 새로운 시장 경제 file 2021.10.28 한지윤 8948
코로나 시대로 급증하는 일회용품 사용률…해결책은 제로 웨이스트 운동? 2 file 2021.08.23 정지운 25830
코로나 시대, 새로운 야구 관람 문화 file 2021.05.24 송유빈 12067
코로나 시대 소외당하는 청각장애인 1 file 2021.06.09 김지윤 20742
코로나 따라 상승기류 타는 'OTT 서비스' file 2020.10.05 차준우 14058
코로나 걱정없는 '사이버 박물관'으로 초대합니다 2 file 2020.07.01 진효원 13958
코로나 19로 인한 해수욕장 긴급 폐장 file 2020.08.26 김민영 11671
코레일이 운행하는 부산 동해선(동해 남부선) 토큰용 승차권의 슬픈 사연. 2 file 2017.02.24 김선태 17232
코딱지보다도 작은 복권 당첨 확율 2 file 2017.04.19 이종은 14562
코딩에 관심 많은 친구들이라면 'NYPC 토크 콘서트 : 코딩하는 대로' 주목! 2017.08.10 임채민 16766
컬러풀 대구 페스티벌, 그 뜨거운 현장! 1 file 2016.05.08 서지민 21983
커피향이 솔솔 '2017 강릉커피축제' 1 file 2017.10.26 김동근 14567
커피 한잔으로 좋은일 하기, 공정무역카페 file 2018.12.21 정유현 16415
캣조르바 탐정추리학교에 당신을 초대합니다! 3 file 2019.02.08 심화영 22982
캐나다 작가들과 함께하는 영어 글쓰기 워크숍, "이제 나도 영어로 글을 쓸 수 있어요." file 2016.07.25 김은비 18321
캄프 누에서 열린 골 잔치 4 file 2017.01.15 최민규 15513
캄보디아의 아픈 기억, 킬링필드(Killing Fields) file 2020.02.14 윤하은 14410
카페, 전시, 음악을 즐길 수 있는 곳, 노원 더숲 1 file 2017.07.22 신현민 19998
카페 프랜차이즈 가격 인상, 약 10년 만에 오른 커피 가격 1 2022.02.17 조민채 10336
카카오프렌즈 뮤지엄에 가다 9 file 2017.01.15 임수연 20889
카카오게임즈에 이어 빅히트 엔터테인먼트까지, 공모주 청약 돌풍 file 2020.10.26 이채은 12208
카이스트가 해냈다! 이제 집에서 신경치료 하자! file 2018.11.16 백광렬 16475
카메라로 세상을 보는 우리는 꿈의학교 '카메라른 든 아이들' 입니다. 6 file 2017.02.15 이승연 13555
카레의 숨겨진 효능 1 file 2021.12.21 김다혜 9660
카네이션도 법에 걸린다고요? 3 file 2017.05.15 강예원 13706
침묵의 암살자 2 file 2017.04.16 정가원 13787
친환경적인 브랜드, 프라이탁 1 file 2020.06.15 설수안 22971
친환경 실천하면 포인트 쌓인다...탄소중립포인트 제도 file 2023.05.06 이주하 7079
친환경 사기꾼 '그린워싱'에 우리는 어떻게 대처해야 하나? file 2017.05.25 이경림 16920
친환경 기업임에도 정상에 선 '앱솔루트 보드카' 이야기 file 2021.01.25 권태웅 14936
친숙하지만 낯선 존재, '물' 1 file 2018.03.26 강지희 15910
친구, 연인, 가족끼리 <리멤버> 촬영지로 놀러가자! 1 file 2017.03.24 김민서 13166
치킨뿐만아니라 돼지고기랑 소고기도 못 먹는다고?? 1 file 2017.02.23 정예림 13359
치킨값=목숨값? 스웨덴은 법만 지키면 운전하다가도 떡이 생긴다 4 2020.09.29 문청현 16171
치킨값 인상… 소비자 얼굴에도 인상! 1 2017.03.18 장예나 13961
치우는 만큼 즐거워지는 계곡 피서 file 2017.08.23 손지웅 15094
치열했던 무안고와 천안신당고의 접전… '2019 대한핸드볼협회장배 전국 중·고등 선수권 대회' file 2019.03.25 배시현 23874
치약 시장에 부는 프리미엄 바람...그릿메이드 치약 직접 써보니 "부드럽네" file 2023.08.22 홍혜린 5313
치명적인 바이러스의 진화, 인류의 선택은? 2017.03.04 신온유 18669
치매, 치료의 길 열린다! file 2017.03.18 장현경 16098
치과 공포증, 존재하는 질환일까? 3 file 2020.09.17 김수경 15705
취임사에서 '통합' 강조한 바이든…샌델은 '능력주의 극복'을 말한다 1 file 2021.01.25 김도원 13212
취미, 이제는 즐거움과 집중력의 두마리 토끼를 잡다 4 file 2016.03.13 이지수 17491
충치 치료, 때울 필요 없다? 8 file 2017.02.20 김나현 18733
충청북도청소년종합진흥원, 2022 청소년활동 프로그램 아이디어 공모전 개최 file 2022.08.03 이지원 8266
충청북도선거관리위원회와 함께하는 <신한은행 2017-2018 여자프로농구> 1 file 2018.02.09 허기범 1491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