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도쿄올림픽의 금메달은 깨물어도 될까?

by 김하영대학생기자 posted Sep 23, 2021 Views 927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올림픽을 보면 금메달을 따는 선수들이 메달을 이로 깨무는 퍼포먼스를 펼친다. 하지만 도쿄올림픽이 열리기에 앞서 도쿄올림픽조직위원회는 금메달을 수여 받은 뒤 깨물지 말라고 당부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이 기사에서는 도시광산과 그의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려 한다.


IT과학부 4기 대학생기자 김하영 (9월 기사 사진).pn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김하영 대학생기자]


 도쿄올림픽의 메달은 모두 일본 전역의 전자제품을 수거해 채취한 금, , 동으로 제작되었다. 쓰레기 재활용도 아니고 폐전자제품으로 금을 만든다고? 그렇다. 이것이 바로 자원 순환의 일종인 도시광산이다.

 

 도시광산이란 도시 생활 속에서 사용하고 버린 폐전자제품에서 자원을 얻는 것으로 그중에서도 일본은 도시광산의 가장 대표적 선두주자이다. 어느 정도냐면 2007년 일본 물질재료연구소의 조사 기준 일본은 세계 최대 금 자원국, 남아프리카공화국의 금 매장량인 6,000t을 웃도는 6,800t의 금을 도시광산을 통해 축적하고 있다. 은 또한 세계 매장량의 23%에 달하는 6t을 보유하고 있다.

 

 우리나라와 일본은 자원을 많이 소비하면서도 자원 빈국인 대표적인 나라이다. 광석 대부분을 해외로부터 수입하는 등 자원 수급 구조 또한 우리나라와 유사하다. 하지만 일본은 지속적인 도시광산에 관한 연구와 투자로 자원 빈국이라는 이름에서 벗어나는 중이다. 이러한 움직임은 일본뿐만이 아닌 영국, 벨기에 등 수많은 나라에서 보인다. 도시광산이 그만큼 미래세대에 주목받고 있는 주제라는 것이다.

 

 과연 도시광산의 필요성이 무엇이길래 많은 나라가 관심을 가지는 것일까.

 도시광산의 필요성은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1. 높은 품위의 광물을 효율적으로 회수할 수 있다.

품위란 광석의 유용 성분 함유량으로 쉽게 말해 농도를 말한다. 대표적인 도시광산 기업, 유미코어는 2010년 도시광산 폐기물 1t에서 금 250g을 회수했다. 이는 금광에서 원석 1t당 금 5g을 회수한 것에 비해 더 효율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시광산에서 추출할 경우 일반 광산보다 같은 양의 금속이라 할지라도 에너지를 90% 이상 절감할 수 있다.

 

 2. 국내 원자재 가격 안정성에 기여할 수 있다.

도시광산이 주로 취급하는 희귀금속은 지리적으로 편재되어있거나 존재량 자체가 매우 적지만 첨단 소재에 필수적으로 첨가된다. 이 때문에 산업이 고도화될수록 높아지는 수요에 비해 공급은 원활하지 않다. 또한, 지리적으로 편재되어있기 때문에 소수의 국가가 독점할 수 있다. 하지만 도시광산을 이용하게 되면 높은 품위를 가진 희귀금속을 대량으로 추출할 수 있다. 이는 곧 희귀금속을 독점하는 나라들이 이점을 취하려는 조처를 내리는 일이거나, 원자재의 가격 폭등에도 별다른 타격을 받지 않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3. 자원 순환의 선 구조

도시광산은 현재 모든 나라가 나아가고 있는 녹색성장의 훌륭한 방법이다. 수많은 자원으로 구성된 제품을 소비한 뒤 버려지는 기존의 사회구조에서 도시광산은 재활용을 통한 자원 순환이라는 선순환구조를 끌어내고 있다. 또한, 자원이 폐기되거나 소각될 때 나오게 되는 상당량의 이산화탄소와 에너지를 절감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보통 환경을 지키자고 하면 쓰레기를 최대한 줄이자!’라는 주장이 가장 일반적이다. 이 쓰레기에는 일회용품을 비롯한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쓰고 있는 전자제품, 여러 자재 등이 포함된다. 쓰레기를 최대한 줄이자고 주장하는 것의 이유는 쓰레기가 땅에 묻혀도 잘 썩지 않고, 불에 태우더라도 유독성 가스가 배출될 가능성이 큰 탓이 크다. 하지만 현대사회에서 쓰레기란 필연적인 존재이다. 아무리 쓰레기를 줄이고 없애려 해도 어떻게든 나올 수밖에 없다. 그렇다면 쓰레기 배출량을 줄이는 것도 중요하지만 버려진 쓰레기들에 주목하는 것도 필요하지 않을까? 버려진 쓰레기를 다시 재자원화하는 도시광산은 이런 우리들의 물음에 대한 훌륭한 해결책이 될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4기 대학생기자 김하영]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666856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664450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084202
이웃끼리 돕는 착한 가게 '아름다운가게' 2021.05.17 구희재 10637
서대문구환경교육센터, 지역주민과 함께한 환경축제 GREEN DAY 성료 file 2022.10.07 이지원 10643
코로나19를 극복하는 템플스테이, 색다른 문화즐기기 file 2021.04.28 윤희주 10647
알라딘 ‘더 퍼스트 슬램덩크’ 개봉 기념 도서전 진행 file 2023.01.06 이지원 10649
2021 롤드컵, EDG가 담원기아를 제치고 우승 트로피를 들어 올리다 1 file 2021.11.08 최은혁 10651
서울문화재단 서울예술교육센터, 청소년과 예술가의 공동창작 프로젝트 ‘아츠포틴즈’ 참가자 모집 file 2022.07.08 이지원 10669
덕수궁 국립현대미술관서 열린 '장욱진 회고전'에 가다 file 2023.11.30 정서영 10678
"大韓民國 臨時政府 行政 首班" (대한민국 임시정부 행정수반) file 2021.06.24 노윤서 10685
언택트 시대, 감사편지로 마음을 나누다 file 2021.03.30 강대우 10700
세종서 택시 같은 버스 ‘셔클’ 운행 file 2021.04.20 김태림 10708
희귀의약품 '메카신(Mecasin)' 1 file 2022.03.07 김다혜 10715
종이책의 위기, 극복 방법은 없을까? 1 file 2021.10.28 박예슬 10740
여보, 아버님 댁에 친환경 콘덴싱 놓아드려야겠어요 file 2022.01.25 김하영 10762
대학생 실종사건으로 불거진 한강 금주에 대한 찬반 논란 file 2021.05.24 김초원 10765
서울시 교육청 '희망급식 바우처' 사업 추진 file 2021.06.02 김예인 10775
오징어 게임 마케팅 전략 이대로 통하나 file 2021.10.25 박서빈 10781
뮤지컬 ‘레베카’, 출연 배우 확진으로 오는 6일까지 공연 취소 1 file 2022.02.07 오다해 10782
제6회 초록우산 어린이재단 전국 감사편지 공모전 개최, 사전 접수 104만 명에 이르러... file 2021.04.01 김수연 10784
자가격리, 어떻게 하는 걸까? file 2021.11.26 정서진 10789
파인타르 사용으로 인한 부정투구, 이제는 안녕 file 2021.07.19 김민성 10793
MZ세대의 명품 소비, 하나의 문화로 자리잡을 수 있을까? file 2021.11.26 박예슬 10808
연이은 대형주의 폭락…갈 곳 잃은 동학개미들 file 2021.09.17 송경원 10810
청년을 위한 행사, '제1회 청년의 날' 기념식 file 2020.09.28 황지우 10812
코로나에 빼앗긴 벚꽃 구경, 온라인으로 즐기자 file 2021.04.06 권민주 10816
울산의 새로운 문화 공간, 울산시립미술관 2 file 2022.02.24 김지언 10831
당신이 기억하는 '당신의 몸'은? file 2021.04.21 정다빈 10843
엑시노스의 또 한 번의 도전 file 2021.07.26 이준호 10849
지상 최대 거물들의 밥그릇 전쟁 발발 file 2020.09.29 오진혁 10852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증가에 따른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의 힘 file 2021.07.20 남서영 10854
포스트잇은 왜 노란색일까? 1 file 2021.11.25 민지혜 10855
아이들이 부모를 선택하는 시대, '페인트' 1 file 2022.03.28 민유정 10863
전국 감사편지 공모전 참가로 인성 교육하다 file 2021.04.01 양지윤 10867
해외 신문 들여다 보기 file 2021.05.04 강윤아 10868
홍성 역사 축제 '이응로' file 2021.05.24 노윤서 10883
빈자리에 소중한 것들을 채워 담다 1인 출판사 '틈새의 시간' 1 file 2021.10.20 김유진 10923
세월호 '#기억은힘이세지' 온라인행진 이루어지다 file 2021.04.22 이은별 10959
그린플레이션의 등장…시작된 배경은 무엇인가 file 2021.10.07 임규리 10967
'코로나19' 고군분투 의료진들에게 전하는 감사의 메시지 1 file 2020.04.27 김언진 10976
초록우산어린이재단 2년 연속 전국 감사편지 공모전에 홍보대사 방송인 장성규 위촉 file 2021.03.30 장헌주 10981
원자만 한 두께의 2차원 반도체를 쌓아 초격자 구조 구현 성공... 양자컴퓨터 소자로 사용 가능 file 2021.07.26 한건호 10990
미국 주식 개미들, 이제는 테슬라 아닌 애플에 몰려 file 2021.08.30 전인애 10993
울산의 랜드마크, 태화강 국가정원 file 2021.10.25 김지언 10996
배우 윤여정, 아카데미 여우조연상 수상 file 2021.05.17 김이원 11007
기존 반도체 공정을 활용한 고집적 '뉴로모픽 반도체' 제작 성공 file 2021.08.25 한건호 11018
올바른 다이어트란 뭘까? 1 file 2022.01.26 권소연 11020
UN에 관심 있는 청소년들이여, 이리로 오라! 3 2020.09.25 전민영 11022
청년 예술가를 찾아서! file 2021.09.27 김동은대학생기자 11022
‘녹용을 먹으면 바보가 된다’는 속설은 어디서 왔을까? 1 file 2022.02.11 김다혜 1102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