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중국인들 한국 부동산 매입 비율 62.5%...원인은?

by 20기성현수기자 posted Aug 26, 2021 Views 646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8월 17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이 '등기정보광장'에서 발표하는 '매매에 의한 소유권이전등기통계'에 따르면 올해 국내 부동산을 매입한 외국인 중 중국인들의 비율은 62.5%라고 밝혔다. 즉, 국내 부동산을 매입한 10명 중 6명은 중국인이라는 말이다. 이는 국내 부동산을 매입한 외국인들의 비율 중 압도적인 1위이다. 참고로 국내 부동산을 매입한 중국인들의 비율은 8년 연속 1위이다. 중국인들은 경기도 부천, 인천 부평 등 수도권 서남부의 부동산을 주로 매입한 것으로 드러났다. 국내 부동산을 매입한 외국인 순위 2위는 16.66%의 미국인, 3위는 5.06%의 캐나다인이었다. 그렇다면 왜 국내 부동산을 매입한 중국인들이 많을까? 오늘 그 이유에 대해 알아보자.


부동산 기사 그래프.pn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20기 성현수기자]


 첫 번째 이유로는 현재 정부의 '부동산 규제 정책' 때문으로 볼 수 있다. 이 정책으로 인해 한국인들의 대출이 자유롭지 않아 부동산 매입을 위한 자금 마련을 자유롭지 않다. 반면 중국인들을 포함한 외국인들은 상대적으로 부동산 자금 마련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외국인들은 자금이 많다 보니 대한민국 부동산의 매입이 상대적으로 한국인들보다 자유롭게 된 것이다.


 두 번째 이유로는 현재 부동산 정책이 외국인들의 매입에 대해 별다른 규제를 하고 있지 않기 때문으로 보인다. 현재 대한민국은 외국인들의 부동산 매입에 대해 규제를 하고 있지 않다. 즉 아무리 외국인일지라도 대한민국 부동산 매입을 할 때 자금만 있다면 쉽게 매입할 수 있다는 것이다. 반면 중국은 한국인이 중국 부동산 매입하는 것을 규제 중이다. 한국인이 어떻게 자금을 모았다고 할지라도 중국 부동산의 매입은 어렵다는 말이다. 이에 대해 태영호 의원은 지난 7월 27일 중국 등 외국인의 국내 부동산 취득에 상호주의를 적용하는 법안을 발의했다. 여기서 '상호주의'란 상대 국가가 우리 국민의 권리를 어느 정도 허용하느냐에 따라 우리나라도 상대 국민의 권리를 동일한 범위에서 허용하는 원리를 말한다. 예를 들어 현재 중국이 한국인의 중국 부동산 매입에 대해 규제하는 것처럼 우리나라도 중국인의 한국 부동산 매입을 규제하자는 내용이다.


 현재 부동산 규제 정책 및 우리나라의 외국인에 대한 매입 규제가 없는 탓에 외국인들은 대한민국 부동산을 매입하기 쉬운 반면 한국인들이 대한민국 부동산 매입하기는 어려운 상황이 된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경제부=20기 성현수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99186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66845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80037
우크라이나 사태와 반도체 기업 file 2022.02.28 이준호 5851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6·10민주항쟁 35주년 기념 ‘2022 민주주의 창작공모전’ 개최 file 2022.06.08 이지원 5854
[기자수첩] 챗GPT에 높아지는 관심...직접 써보니 2 file 2023.05.06 이성재 5854
강동구청소년상담복지센터, 이태원 사고 관련 ‘재난 심리지원 특별상담실’ 운영 file 2022.11.16 이지원 5896
친환경포장기술시험연구원, 제품 포장재질 및 과대포장 검사 전문기관으로 지정 file 2022.08.22 이지원 5920
예멘 후티 反軍, 아랍 에미리트 향해 미사일 공격 1 file 2022.01.27 권강준 5928
러시아 그리고 우크라이나, 우리에게 주는 영향은? file 2022.02.24 강민지 5944
한국거래소, 러시아 ETF 거래 정지 발표 file 2022.03.07 윤초원 5978
민주당, 참패.... 文 대통령의 고민 file 2021.04.12 김민석 6011
중국 대출우대금리 0.05%인하…이유는? file 2021.12.22 윤초원 6013
국민연금, 대표소송 통해 적극적인 주주권 행사 나서나 file 2022.02.22 류민성 6019
소년 범죄 양형 세졌다...법원, 학교폭력 일삼은 여중생 3명에 징역형 file 2023.10.01 이서진 6024
올바른 게임 문화 이해를 위한 '2022 보호자 게임리터러시 교육' 온라인 실시 file 2022.09.02 이지원 6028
[기자수첩] "공사장에서 부려먹고 학대"...탄현동 헤드록 살인사건의 전말 file 2023.09.16 김진원 6031
환경실천연합회, 대기 환경 개선 위한 ‘대기를 살리는 청년들’ 서포터즈 모집 file 2022.06.13 이지원 6052
청소년 미디어 과의존 해소 위한 '2022 서울시인터넷중독예방상담센터 연합세미나’ 개최 file 2022.06.13 이지원 6069
국립중앙청소년수련원, 청소년 위한 민주시민 교육 ‘좋은시민이란 무엇일까?’ 프로그램 운영 file 2022.08.09 이지원 6096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 ‘SOS생명의전화’ 운영 11년 차 맞아 누적 상담 빅데이터 분석 결과 공개 file 2022.08.12 이지원 6110
'동유럽'의 전쟁과 '동아시아'의 전쟁 file 2022.02.28 김준기 6111
청년 인재들을 위한 사회 변화 실험터 ‘SUNNY’, 사회 문제 분석 보고서 발표 file 2022.05.23 이지원 6147
법무부, '로톡'-'변협' 갈등 중재에 나서나… file 2021.08.26 오정우 6158
서대문 청소년기관, 2022년 청소년 2800명 대상 종합실태조사 발표 file 2022.12.23 이지원 6257
[기자수첩] 미국인 존 시치씨가 서울 한복판서 러닝머신을 타는 이유 file 2023.07.26 김진원 6274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열흘 만에 휴전 합의 맺어 file 2021.05.24 고은성 6275
20대 대선에 출사표를 던진 군소후보들 file 2021.10.29 노영승 6289
농정원, 코로나19 전후 명절 선물 트렌드 변화 분석 결과 발표 file 2022.08.31 이지원 6296
더불어민주당의 위기… 난관 잘 헤쳐나가야 file 2021.05.10 김민석 6312
바이든 대통령과 첫 한미 정성회담 통화 file 2021.03.02 고은성 6320
코로나19 이후 일본과 한국의 관계 file 2021.11.25 이원희 6356
국적법, 누구를 위한 법인가? 95% 중국인 적용 대상 file 2021.06.02 이승열 6375
[기자수첩] 매년 바뀌는 대입 입시제도...입시 준비생들은 한숨 file 2023.09.30 이주하 6395
문재인 대통령, 국가인권위원회 설립 20주년 기념식 축사 "정부정책 비판도 해야" file 2021.11.26 이지은 6412
송파구청소년상담복지센터, 자해 행동 청소년과 부모를 위한 마음돌봄 안내서 제작·배포 file 2022.12.29 이지원 6412
경찰, 경희대 국제캠 총학생회 '업무상 배임 혐의' 내사 착수 file 2023.05.16 디지털이슈팀 6444
한국중앙자원봉사센터, 수해 복구 대응 자원봉사 활동 지원 추진 file 2022.08.19 이지원 6447
있지 류진, 튀르키예·시리아 성금 전달...“일상 복귀에 힘 되기를” file 2023.02.15 디지털이슈팀 6454
중국인들 한국 부동산 매입 비율 62.5%...원인은? file 2021.08.26 성현수 6463
[기자수첩] 플라스틱 해양 오염, 해답은 무엇일까 file 2023.05.11 이래경 6493
눈물 흘리며 대회장 떠난 초등생들...부산시교육청 드론대회 '수상자 내정' 의혹 file 2023.11.07 김가빈 6497
강원도 스키 강사 초등생 성폭행 사건 발생 file 2022.02.07 오경언 6543
한국중앙자원봉사센터, 산불 진화 현장 속 '숨은 영웅' 자원봉사자 활약 소개 file 2022.06.07 이지원 6569
[기자수첩] 미국에서는 실패했지만...한국에서 성공한 영화 '엘리멘탈' 2023.08.09 정세윤 6571
文 대통령, 3 ·1 기념식에서 ‘투트랙 기조, 한·일 관계 회복해야...’ file 2021.03.04 이승열 6658
트럼프 대통령, 중국을 향한 거침없는 비난 file 2020.06.09 김서원 6661
탕후루, 마라탕 유행에...청소년 건강은 적신호 file 2023.10.05 고민서 6663
코로나19 접종 시작 극복하기 위한 첫걸음 file 2021.03.02 오경언 6713
4.7 재보궐선거 승리한 야당... '혼돈의 정국' file 2021.04.26 오지원 6713
소수의 권력층에 의해 행해지는 전쟁, 그 참상에 대하여 file 2022.04.01 강도현 671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