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축구계의 갑신정변, 슈퍼리그 창설 계속되나?

by 이인황대학생기자 posted Aug 09, 2021 Views 1779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KakaoTalk_20210808_211112575.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이인황 대학생기자]


지난 21 4 프리미어리그 6 구단, 라리가 3 구단, 세리에 A 3 구단 12 구단이 참가를 확정하였다. 슈퍼리그에 참가한 12 구단은 유럽 클럽 협회에서 탈퇴하였으며 UEFA에서 직책을 맡은 모든 클럽 관계자들이 사임하면서 새로운 시대의 시작을 알렸다. 하지만 이는 리그 연맹들의 강렬한 반대와 로컬 팬들, 유럽축구연맹(UEFA) 국제축구연맹(FIFA), 축구 레전드들의 절대적 반대로 3 만에 무산된다.


1. 창설의 배경

축구는 안정적인 수익 보장이 불가능한 스포츠 산업이다. 유럽에서의 공정의 의미는 피라미드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여 누구든지 올라갈 있고 내려갈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는 지나친 경쟁으로 이어져 지나친 지출로 귀결된다. 시즌만 실수해서 UEFA 챔피언스리그에 진출하지 못한다면 구단은 막대한 투자에 대한 보상을 받을 없고 부채는 증대된다. 그렇기에 빅클럽들 입장에서 유러피언 슈퍼리그(ESL) 시스템은 굉장히 반가웠을 것이다. 왜냐하면 미국의 JP 모건 7 규모의 투자로 참가만 해도 3~4000 원의 수익과 중계권료는 챔스(챜피언스리그)의 2배가량의 돈을 얻을 있었기 때문이다. 심지어 슈퍼리그에서 전패를 해도 챔스에서 전승 우승을 것보다 많은 수익이 보장되었다. 이는 아스널의 감독이었던 아르센 벵거가 2009년에 슈퍼리그가 창설될 것이라고 예견한 것처럼 당연한 수순이었다.


2. ESL 영향

번째로 독점되었던 권력의 이동이 생긴다. 슈퍼리그가 창설되면 권력은 UEFA & FIFA에서 리그의 빅클럽들로 옮겨진다. 이는 돈이 이동한다는 것과 동일하다. 이미 유럽축구연맹과 국제축구연맹은 수익성 증대를 위해 경기 숫자를 늘려가고 있어 선수들과 구단의 부담감이 늘어나고 있지만 수익은 UEFA FIFA 가져가고 있는 시스템에서 ESL 창설은 온전히 수익을 구단들이 가져가게 한다.

번째로 시장의 세계화이다. 로컬 기반의 비즈니스 모델을 지닌 축구 구단은 연고주의를 추구해왔다. 하지만 도시 기반 비즈니스는 현재 시장에서는 한계가 있다. 이미 아시아 시장의 진출을 위해 축구 경기의 시간대를 옮기고 유럽 빅클럽들이 프리시즌을 아시아에서 하고 있다는 점에서 한계는 자명하다. 그러므로 만약 슈퍼리그가 창설된다면 이는 미국 NBA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여 비즈니스 중심형 콘셉트를 따라가기 때문에 미국 시장에 성공적인 진출이 가능하다.

 

하지만 슈퍼리그는 슈퍼리그 이외의 팀들의 가치 하락을 가져온다. 2015년도 잉글랜드 프리미어 리그의 레스터의 동화 우승 혹은 이탈리아 세리에의 아탈란타의 무서운 성장세 등은 사라진다. 모든 구단이 비슷한 조건에서 비슷한 규모의 지출이 공정하다고 보는 ESL에서 구단이 살아남을 있는 방법은 없다.

그리고 국가 자체에도 영향을 끼칠 있다. 이미 축구는 넓은 보편성을 지닌 최고의 스포츠이다. 이는 국가의 산업 구조에서 기반이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만약 ESL 시작된다면 소속 클럽들은 자연스럽게 ESL 집중하고 리그는 뒷전일 수밖에 없다. 이는 리그 경쟁의 약화로 이어져 수익구조의 쇠퇴 감소를 일으킨다. 그렇기에 로컬 팬들은 슈퍼리그를 반대할 수밖에 없고 이러한 사람들의 즉각적인 정치적 지지를 얻을 있고 수익 감소도 막기 위해서 영국 보리스 존슨 총리가 국가적 차원의 제재를 선언한 것은 예견된 수순이었다.


3. ESL 미숙함

ESL 사실 이렇게 일찍 출범될 거라 예견하진 않았다. 모든 전문가들은 슈퍼리그는 언젠가 시도될 거라 하였지만 올해는 아니었다. 시간을 앞당긴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한 구단들의 수익 감소 부채 증가이다. 구단들은 팬데믹에 따른 수익 감소를 이겨낼 있는 방안이라 말하며 팬들을 설득하려 했지만, 국가적 차원의 재제와 팬들의 반발로 영국 리그의 구단들이 빠지는 것을 시작으로 결국 3개의 구단만 남게 되어 슈퍼리그는 실패로 수렴하였다. 제도의 개선점이 많았고 5 리그의 모든 대표 클럽들을 설득한 것도 아니었으며 팬들을 설득할 근거 또한 부족하였다


4. ESL 남은 불씨

하지만 모두가 슈퍼리그와 비슷한 프로젝트는 언젠가 다시 시도될 거라는 것을 알고 있다. 자본주의 세계에 살고 있는 현대에서 미국 NBA 같이 강등이 없어 수익이 보장되며 돈이 몰리는 시스템을 포기할 리가 없다. 이는 유럽 사법 재판소가 7 31일에 슈퍼리그 창설 멤버들에 대한 징계를 철회할 것을 명령하면서 박차를 가했다. 아직 슈퍼리그에 속해있던 바르셀로나, 레알 마드리드, 유벤투스 팀은 공식 성명을 통해 슈퍼리그 창설 프로젝트를 이어가겠다고 발표했다.


과연 남아있는 3팀의 성명처럼 슈퍼리그라는 최대의 혁명을 이룰 있을까? 혹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질까


앞으로의 ESL 귀추가 주목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3 대학생기자 이인황]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668546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666161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085911
자극적인 콘텐츠 속 블루오션, '무자극 컨텐츠 연구소' file 2017.08.01 김재윤 43312
매일 밤 넘치는 감성, 우리는 왜 그러는 것일까? 2 file 2016.04.06 백현호 35184
'제노포비아' 그 문제점은? file 2017.07.25 김다정 32067
이제는 우리도 당원입니다! 더불어민주당 청소년 예비당원 입당원식 개최 5 file 2020.11.25 김찬영 25401
유전자 조작이 낳은 계급사회 1 file 2020.02.17 조윤혜 24886
'까치봉사단' 학생들과 함께 순찰하다 2017.08.04 허석민 24857
제7회 전국상업경진대회 시상식, 부산 대표단 참석 file 2017.10.10 신지윤 24333
샤오미, 3월 27일 신제품 라인업 다수 발표 1 2020.04.01 김정환 24328
청소년이 그려내는 통일의 미래가 펼쳐진다 2017.08.22 윤예진 24266
서울 꽃구경 핫플레이스는 어디일까? 5 file 2016.04.07 이다혜 24095
[사설]시민(時敏) file 2017.07.09 이하영 23976
캣조르바 탐정추리학교에 당신을 초대합니다! 3 file 2019.02.08 심화영 22713
스마트폰이 신체의 일부가 된 사람들 6 file 2020.04.13 차예원 22404
방탄소년단, UN에서 또 한 번 세계에 위로의 메시지를 던지다 1 file 2020.09.28 김우정 22002
청소년들이 의원이 되어 참여하는 '아산시 청소년의회' file 2019.04.26 신여진 21868
재심, 모두가 꼭 보았으면 하는 영화 1 file 2017.02.22 박소이 21780
Dingo 세상의 온도, 한국의 겨울에 핫 팩이 되다 8 file 2017.03.08 김혜원 21405
"'우리'에서 제외된 우리들" 용기와 시: 유동성 시대의 난민과 예술 1 file 2019.01.04 장민주 21258
일명 '픽미 세대'의 살아남기 경쟁 속 희망 '청년창업 지원정책' 11 file 2017.02.21 이현주 20867
함께 만든 100년 함께 만드는 미래 file 2019.03.13 이서진 20743
'2020 법무부 웹툰공모전' file 2020.05.11 이채원 20562
쓸 만한 인간 '배우 박정민' 1 file 2018.02.27 강서빈 20476
2030년의 경제 주역들, Youth Change Makers file 2017.09.18 김예원 20420
청소년을 위한 텐, 그리고 텐 경제학 file 2018.07.25 박민정 19927
나와 가장 생각이 맞는 대통령 후보는 누구일까? '누드 대통령' 서비스를 통해 알아보자 2017.04.25 홍종현 19920
All is well! 동탄국제고 11기 준비 오픈 채팅방을 소개합니다 file 2020.12.29 문청현 19735
[클래식 음악 소개] 쇤베르크 file 2017.10.10 김기현 19486
3·1절 및 임시정부 100주년 기념사업이 있다? file 2019.05.31 엄태강 19376
눈과 발을 이끄는 정월대보름행사 열리다! 3 file 2017.02.12 강진경 19302
정의란 무엇인가? 꿈에 다가가기 위한 캠프, 대검찰청 주관 이준 저스티스 캠프가 개최되다! file 2017.08.27 김은민 1900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Next
/ 2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