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눈에 넣는 일회용 인공눈물, 독을 넣고 있지는 않은가

by 김정희대학생기자 posted Jul 26, 2021 Views 1352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전자 기기 사용과 렌즈 착용 등 현대인들은 최근 안구건조증을 많이 가지고 있다. 안구건조증으로 인해 일회용 인공눈물을 사용할 때, 인공눈물을 뜯고 바로 넣고 있지는 않은가? 인공눈물을 뜯고 바로 넣으면 안 되는 이유에 대해 제대로 알고 올바르게 사용해야 한다.


KakaoTalk_20210725_025012211.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김정희 대학생기자]

일회용 인공눈물 속에는 미세플라스틱이 존재한다. 일회용 인공눈물 설명서에는 눈에 점안하기 전 1~2방울은 버려달라는 설명이 적혀 있다. 하지만, 이 사용사항 주의사항을 제대로 보고 올바르게 사용하는 사람이 과연 얼마나 있을까?

일회용 인공눈물을 뜯고 나서 1~2방울을 버리라는 안내는 식약처에서 약품 허가를 내릴 때 필수 기재사항이다. 실제로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발행한 일회용 점안제 안전관리 가이드라인을 살펴보면, ‘일회용 인공눈물을 자른 곳에 요철이 생길 수 있어 용기 파편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 전에 살짝 눌러 1~2방울을 사용하지 않고 버린다라는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유튜브 채널 소탐대실 팀이 전문가와 함께 이에 대해 확인한 결과, 인공눈물에서 미세플라스틱이 발견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미세플라스틱이 인공눈물 용기 성분인지 확인한 결과, 그 잔해가 인공눈물 용기 구성 성분인 LDPE일 것이라고 추측되었다.

그렇다면 눈에 들어간 미세플라스틱은 다 어디로 간 것일까? 눈물구멍보다 작아 눈으로 들어간 미세플라스틱 입자는 눈물길을 통해 코와 폐로 들어갈 수 있다. 또한, 이 미세플라스틱은 미토콘드리아와 같은 세포 내 소기관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미토콘드리아가 미세플라스틱을 처리했을 때, 기능에 이상이 생기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인공눈물 속 미세플라스틱이 미치는 영향을 우리가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앞으로 일회용 인공눈물을 사용할 때는 설명서처럼 처음 한두 방울을 버리고 사용하는 것이 어떨까?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2기 대학생기자 김정희]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663391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660783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080741
'의료기술, 생명윤리의식' 둘의 관계, 의료계열직업 희망학생들이 고려해야할까? file 2017.05.25 진시은 17123
더 강해진 알파고, 성장 비결은? 1 file 2017.05.25 이효건 15345
환경과의 만남, 제14회 서울환경영화제 file 2017.05.25 민정연 18457
공공의 적, 미세먼지 1 file 2017.05.25 고아연 13778
뇌의 눈, 육감 file 2017.05.25 최서은 16254
어깨동무가 필요한 장애와 비장애-함께 사는 세상- file 2017.05.25 김주영 12639
대한민국에서 여자로 태어난 '82년생 김지영'의 고통 2 file 2017.05.25 이세림 18749
1위를 추격하는 두산베어스 2 file 2017.05.25 최진혜 13235
5.18 광주민주화운동, 그 역사적 공간을 걷다. 1 file 2017.05.25 이예인 15750
제14회 평택 환경축제 성황리에 개막! file 2017.05.25 김정은 13685
장미의 달 5월, 풍암호수 장미공원에서 file 2017.05.25 박하연 14562
달리는 것만으로 전세계 아동을 살릴 수 있습니다 - 2017 세이브더칠드런 국제어린이마라톤 1 file 2017.05.25 서수민 18337
봄으로 물든 한국 file 2017.05.25 김수민 12005
더 강해진 알파고, 제1국에서 커제를 이기다. file 2017.05.25 양지원 14946
과천시, 미세먼지 대응 시민실천 수칙 선포식 열어 file 2017.05.25 공혜은 16728
우리나라가 선호하는 여행지, 오사카 1 file 2017.05.25 이가원 15335
'국민 프로듀서'의 권리, 어디까지인가? 1 file 2017.05.25 방가경 14948
천재교육, 그 이념과 목표의 깊이에 대해 알아보다. file 2017.05.25 김해온 16502
애니메이션의 흥행공식 2 2017.05.25 김보경 15039
프로듀스 101 시즌2 연습생들의 정신건강 이대로 괜찮은가... 1 file 2017.05.25 이아영 14732
나를 사랑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 ‘자존감 수업’ 2 2017.05.25 오희연 15498
<‘나의 꿈을 향한 기지개’, 2017 구미시 청소년 어울림마당> file 2017.05.25 강세윤 16771
WE SHOULD ALL BE FEMINIST file 2017.05.25 강지수 12698
인공강우는 무엇일까? file 2017.05.25 김가영 13587
'공포를 넘어선 놀라움' 영화 Get out 1 file 2017.05.25 김가연 14282
임산부 배려석을 지키는 곰돌이를 보셨나요? 1 file 2017.05.25 강지현 13657
부평구 청소년운영위원회 기프트, 위안부 캠페인 실시 file 2017.05.25 박소윤 13361
봄을 여는 강연 file 2017.05.25 정예림 12217
서울 환경 영화제, 기후변화를 위해 당신은 무엇을 하고 있는가? file 2017.05.25 이정인 12758
경기도. 청소년 버스요금을 줄입니다! 2 file 2017.05.25 이은혜 14394
'제5회 부산 청소년 열린 축제' 개최 1 file 2017.05.25 김예원 13552
셧다운제, 폐지 혹은 규제 완화 될까 file 2017.05.24 최민주 15024
'할 수 있다'가 전부야? file 2017.05.24 하은지 13212
한국디지털미디어고등학교 주관, 제2회 전국 청소년모의해킹대회 개최 file 2017.05.24 이정수 18347
흡연 경고 그림 도입으로 감소했던 흡연율 다시 증가, 담배케이스 때문? file 2017.05.24 최예헌 15773
'수학'에 무너지는 학생들...원인은? 1 file 2017.05.24 정유림 15602
부산 청소년 연극제, 세상에 연기로 외치다 1 file 2017.05.24 김혜진 21073
독립기념관에서 민족의 얼을 찾다 file 2017.05.24 조수민 13717
겨우 끝나가는 메가볼시티 사태, 피해는 누가 보상해주나 file 2017.05.24 양우석 14916
담뱃갑 혐오 그림, 과연 효과있나 2 file 2017.05.24 김수연 13388
다함께 반올림, 아산시 건강가정지원센터 2017 ‘청소년 나침반 봉사단’ file 2017.05.24 이수지 12454
다름과 틀림, 그 사이 어딘가 file 2017.05.24 김규리 13378
'AI' 어디까지 왔나 2017.05.24 임승연 15415
파이썬 개발자들의 모임의 장, 파이콘 2017 컨퍼런스 file 2017.05.24 임수진 20996
녹둔도를 아시나요? file 2017.05.24 유한나 14937
청년 수당, 본격 시행되다 file 2017.05.24 송다원 12953
여러분에게도 드립니다 file 2017.05.24 윤연섭 13106
위험한 신데렐라 file 2017.05.24 한다희 1271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