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논란의 중심인 국적법, 도대체 뭐길래?

by 서호영대학생기자 posted May 24, 2021 Views 795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일부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국적법에 대한 논란이 일어나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국적법에 대해 찬반으로 갈리고 있는 상황. 그러한 상황에서도 찬성하는 사람이나 반대하는 사람이나 공통으로 조심해야 한다는 우려 섞인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도대체 국적법이 뭐길래 이토록 많은 사람들이 우려를 하는 것일까.


210522_이미지 자료.PN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서호영 대학생기자]


법무부는 지난 426, 국적법 일부개정법률안의 입법 예고를 밝혔다. 법무부에서는 국내 출생, 실제 거주지, 정체성 등 우리 국민과 사실상 동일하다고 볼 수 있는 영주자의 국내출생 자녀에 대한 간이 국적취득제도의 도입과 헌법재판소의 헌법불합치 결정에 따른 법령 정비로써 예외적 국적이탈허가제도입 등을 골자로 하는 국적법 개정안을 마련하여 입법을 예고한다고 말했다.


이 중 문제가 된 부분은 영주자격 소지자의 국내 출생 자녀에 대해 간이 국적취득제도를 신설한다는 부분이었다현재는 영주권자 자녀가 한국에서 태어났더라도 성년이 된 후에야 귀화 허가 절차를 밟을 수 있게 되어 있다. 귀화 허가는 필기시험과 면접, 범죄경력 및 신원조회, 법무부 심사, 국민선서 등 복잡한 절차를 거쳐야 한다. 반면 새 제도에서는 ‘6세 이하는 별도 요건 없이 한국 국적 취득이 가능하고 ‘7세 이상 미성년자도 국내에서 5년 이상 체류한 사실이 인정되면 바로 국적 취득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렇다고 모든 외국인에게 국적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법무부는 자료를 국적 제도의 중요성과 상징성을 고려하여 모든 영주자를 대상으로 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국적법에 해당하는 자로는 2~3대에 걸쳐 국내에서 출생하거나 우리와 역사적, 혈통적으로 유대 관계가 깊은 영주자를 우선 대상자로 선정하였다고 명시하며, 이미 프랑스, 독일, 영국 등 해외 다수의 국가들도 혈통과 출생에 의한 국적취득방식을 병행하고 있고, 최근 국내에서의 국민인식조사 및 연구용역 등에서도 제도 도입 필요성이 제기되었다며 법안의 정당성을 덧붙였다.


법무부는 이 법안을 통해 우리 사회와 유대가 깊은 영주자 자녀에게 조기에 국적을 취득할 기회를 부여함으로써 정체성 함양과 안정적 정착에 도움을 주고, 저출산 고령화 시대에 미래 인적자원을 확보하는 데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에 대해 여론은 한국인의 정체성을 심어줄 수 있는 충분한 교육 과정이 동반되어야 하며, 충분한 검증이 필요하다는 말과 복수국적을 유지한 채, 한국인이 누릴 수 있는 혜택을 받다가 성년이 된 후 해외로 빠져나가는 행위에 대한 걱정이 앞서고 있다.


또한 국적법 개정안 입법을 반대하는 국민청원 게시물에는 한국 국적을 부여받을 외국인들의 부동산 매입과 선거 관여 등의 내용에 18만을 넘는 국민들이 동의를 하고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2기 대학생기자 서호영]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91582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60014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73348
설리 '로리타' 논란…SNS의 시대, 표현의 자유는 어디까지? 5 file 2017.02.20 김도영 19094
9시 등교에 대한 여러 의견 2014.09.10 박어진 19076
가좌역 유치가 절실한 저희 목소리를 들어주세요 2 file 2016.03.24 정향민 19075
영하 8도... 2016년 마지막 수요 시위 15 file 2017.01.11 유나영 19067
9시 등교, 모두 공감할 수 있는 정책으로 2014.09.22 서유미 19063
공공기관 사칭하는 ‘한국청소년영상협회’ 등장..네티즌 주의 필요 file 2017.12.04 디지털이슈팀 19044
트럼프 반이민 행정명령 지지율 55%...트럼프 "가장 인기있는 행정명령" 9 file 2017.02.10 정예빈 19024
정의당, 앞으로의 미래는? 2021.02.23 김성규 19023
최저임금, 어떻게 생각하나요? 2 file 2018.06.08 노시현 19015
HTTPS 규제, 미디어의 자유를 빼앗아 가는 것은 아닌가 2 file 2019.03.18 배연비 19011
국정교과서;무엇이 문제인가? 9 file 2017.01.23 정주연 19011
미국의 인종차별 항의 시위, 우리의 인권의식은? 2 file 2020.06.08 유지은 19009
지역 아동센터 지원, 이대로 괜찮을까? 9 file 2016.02.22 이하린 18997
원자폭탄, 그 시작은 아인슈타인? 1 file 2020.09.21 서수민 18962
선화예고를 불안에 떨게 한 의문의 남자의 '성폭행 예고장'......결국 3일 오후 체포되다. 6 file 2017.02.06 박환희 18951
9시 등교, 과연 학생들을 위한 정책인가? 2014.09.22 심현아 18931
청와대 이번에도 압수수색 불허... 그 이유는? 4 file 2017.02.04 구성모 18927
9시등교 누구를 위한 것인지....... 2014.09.15 신정원 18925
"언니야 이제 집에가자" 7만명의 시민들이 만든 일본군 위안부 영화 '귀향' 눈물 시사회 23 file 2016.02.17 고유민 18915
9시 등교,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2014.09.21 김현진 18914
9시등교, 실제 시행해보니......, 2014.09.24 구혜진 18886
삼성 갤럭시 노트 7 발화 원인의 진실 수면 위로 떠오르다!! 2 file 2017.01.23 양민석 18853
교과교실제, 누구를 위한 교과교실인가 4 file 2016.05.25 김관영 18826
필수 한국사, 과연 옳은 결정일까? 11 file 2016.02.20 정민규 18823
9시등교 새로운 시작 2014.09.24 김희란 18809
심각한 간접흡연의 피해들 2014.07.27 정진우 18805
아침밥 있는 등굣길 2014.09.24 최희선 18779
화재 발생의 원인, 외장재 및 건물 구조가 영향 크게 미쳐 file 2018.03.01 정예현 18774
고려대, 대학생들의 대자보가 시작되다 6 file 2016.02.27 황지연 18765
도를 넘는 북한의 도발, 국민들은 안전한가? 2 file 2017.09.19 윤익현 18761
'수요 시위'를 아시나요? 3 file 2017.03.08 4기최윤경기자 18761
9시 등교제, 이것이 진정 우리가 원했던 모습일까 2014.09.21 김나영 18755
9시 등교, 앞으로 나아갈 길이 멀다. 2014.09.23 3001 18738
박근혜 대통령 '세월호7시간' 동안의 행적 25 file 2017.01.11 주건 18713
9시등교 학생들에게 과연 좋을까? 2014.09.21 이세현 18706
청소년들의 음주 문제 '심각' 5 file 2016.03.19 한지수 18679
실생활의 많은 부분 기여한 21세기의 기술, '나노기술' 1 2019.02.07 송지윤 18663
일그러져 가는 성의식 file 2016.07.23 유지혜 18661
20대 국회의 변화! 1 file 2016.04.17 구성모 18639
생존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 후원시설 “나눔의 집” 탐방 1 file 2016.03.24 서소연 18632
일본의 수출 규제 시행 1년, 양국의 계속되는 대립 관계 3 file 2020.07.09 유지은 18631
특검의 히든카드 '국회청문회위증죄', 이젠 진실을 밝힐 때가 왔다 19 file 2017.01.15 김다인 18631
9시등교,가시박힌 시선으로만 봐야하는 것인가.. 1 2014.09.24 안유진 18631
안전을 위한 스크린도어가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 12 file 2016.02.22 장은지 18579
혼용무도(昏庸無道)인 대한민국, 필리버스터는 왜 등장했는가? 2 file 2016.03.01 최지환 18575
승리의 촛불, 광장을 메우다 20차 촛불집회 4 file 2017.03.23 박소윤 18559
'포켓몬 고', '속초는 스톱' 12 file 2017.01.25 이주형 18533
저희는 대한민국 학생, 아니 대한민국 시민입니다. 8 file 2017.01.24 안옥주 1853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