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K-바이오를 이끄는 주역, 한인 생명 과학자들 ‘K-BioX’에서 모인다

by 이주연대학생기자 posted Apr 21, 2021 Views 1398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제3회 K-bioX 포스터.jpg

[이미지 제공=K-BioX,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가 받음] 


 미국, 한국을 포함한 국내외 생명과학자들이 415일 목요일 오전 10(한국, 서울 기준)에 온라인 화상회의 프로그램 ‘Zoom’을 통해 Global K-BioX 세미나에서 모였다.

 지난 2016년 스탠포드대학교 소속 연구원이 중심이 되어 시작한 Stanford K-BioX, 2020년 한국 11개 대학과 Global K-BioX 세미나를 공동 주최하면서 공식 한인과학자 협회로 등록되었다.


 현재, 공동 주최 대학 및 기관에는 서울대학교 기초과학연구원(IBS), 숙명여자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서강대학교, 순천향대학교, 중앙대학교,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이화여자대학교, 건국대학교, 고려대학교 등이 있으며 이들이 호스트로서 글로벌 세미나를 진행하게 된다.


 코로나19 상황이 지속됨에 따라 각종 학회가 취소되어 과학자들 간의 소통에 어려움을 겪었던 2020년에도 K-BioX10회의 세미나가 개최되었다. 이를 통해 대학, 연구원, 대학원, 포닥(Post-Doc), 교수, 정부, 회사 등에 속한 많은 국내외 생물학자들이 꾸준히 정보 교류를 할 수 있었다.

 올해는 지난 318‘Stem Cell and Organoid’를 주제로 제1회 세미나가 시작되었다. 1회 세미나의 큰 호응에 이어 제2회 세미나는 지난 41, ‘VIRUS/RNA’를 주제로 캐나다 Western Ontario 대학의 강칠용 교수와 서울대학교 기초과학연구원(IBS) 김빛내리 교수가 글로벌 연사로서 강연하였다. 해당 회차의 세미나는 약 580명 내외의 인원이 참여하는 등의 많은 관심을 받았다.


 지난 목요일에 열린 제3Global K-BioX 세미나는 존스홉킨스 의대(Johns Hopkins medicine)의 하택집 교수, 고려대학교의 심상희 교수가 글로벌 연사로서 참여하게 된다. 3회 세미나의 공동주최는 KAIST 의과학대학원의 김진국 교수, 아주대학교 의과대학의 우현구 교수가 맡았다.


 연사를 맡은 존스홉킨스 대학의 하택집 교수는 물리학을 기반으로 생명활동을 연구하는 세계적인 과학자로, 형광공명에너지전달(FRET) 현상을 적용하여 형광물질을 이용해 DNA, 단백질과 같은 생체 미세 분자들을 관찰할 수 있는 기법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그의 업적을 기반으로, 하 교수는, 2015년 미국 국립과학원(NAS)의 회원이 되는 영예를 얻었으며 이외에도 미국과학재단상, 미국물리학회 석학회원(fellow), 하워드 휴즈 의학 재단(HHMI)의 올해의 생명의학 과학자 등에 선정됐다. 하 교수는 3회 글로벌 세미나에서 <Light, CRISPR and DNA Repair>를 주제로 강연했다.


 이번 세미나의 또 다른 연사, 고려대학교 심상희 교수는 <Toward molecular-resolution optical microscopy>를 주제로 강연했다. 심 교수는 IBS에서 서울대, 울산과학기술원 등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민물장어의 형광단백질을 이용하여 세포 내 구조를 기존에 비해 8배 정도 오래 관찰할 수 있는 초고해상도 형광현미경법을 개발하여 지난 20201월에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 온라인 판에 게재했었다.

 Global K-BioX 3회 세미나도 지난 1, 2회 세미나와 마찬가지로 글로벌 세미나가 끝난 뒤, Zoom소회의실’ 기능을 통해 글로벌 멘토들과 소통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다. 이를 통해 해당 회차의 세미나에서 궁금했던 점, 해외 유학과 관련된 것, 실험실 생활에 관한 것 등을 나물(나에게 물어봐)멘토에게 직접 물어보고 경험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다.


 더불어 K-BioX는 온라인 플랫폼 슬랙(Slack)채널,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K-BioX공식 홈페이지 등을 통해 세미나 이외에도 꾸준히 소통의 장을 열고 있다. 글로벌 세미나는 매회 공식 홈페이지 혹은 사전등록 링크 통해 신청한 후 참여할 수 있다.

 주최 측은, K-BioX가 교육/멘토링/매칭 세 가지 방향을 가지고 진행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한국 의생명과학을 연구하는 과학자와 학생들이 함께 소통할 수 있는 글로벌 플랫폼이 되었으면 한다고 전하고 있다

 현재 K-BioX에서는 글로벌 세미나뿐만 아니라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하고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가 공동 주관하는 글로벌 멘토링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또한 이들은 성균관대학교와 삼성서울병원이 함께 진행하는 ‘AI/바이오인포매틱스 특별 심포지엄’, 고려대학교 오정리질리언스 연구원과 함께 하는 환경 관련 글로벌 심포지엄도 준비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글로벌 인턴쉽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해외 유수 대학과 한국 대학 간의 교류를 증진시키고 있으며 K-BioX 자체 인턴쉽 프로그램도 시행 중에 있다고 한다.

 K-BioX 대표운영위원이자 설립자인 스탠포드(Stanford)대학의 이시연 박사는, “의생명과학을 연구하는 많은 한인 과학자와 학생들이 K-BioX를 통해 함께 소통했으면 합니다. 좀 더 공식적이고 좋은 플랫폼이 될 수 있도록 하는 마음으로 추후 후원이나 지원을 해주실 수 있는 곳이 많아졌으면 하는 마음을 가지고 있습니다.”라는 부탁을 전했다, “두 가지를 전하고 싶습니다. 한 가지는 누구나 가진 limit(한계)를 인정하고 함께 소통하면서 서로 도울 수 있는 과학계 분위기가 지속되었으면 하고, 그 분위기가 공동연구의 결과로 이어지도록 다 같이 뜻을 함께했으면 한다. 다른 하나는, K-POP BTS가 전 세계에 소개하는 데 큰 역할을 한 것처럼 K-BioX도 한인 생명과학이 전 세계에 공헌을 할 수 있도록 큰 역할을 했으면 한다.”고 전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3기 대학생기자 이주연]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648890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646282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067037
삭막한 사회에서 보는 한 줄기 희망과 같은 드라마, '시그널' file 2017.03.23 강지수 16912
4차 산업혁명의 떠오르는 별 희토류의 문제 file 2021.02.05 김나영 16913
세계 문화유산의 도시 수원에서 평창 동계 올림픽 성화봉송이 이루어졌다 1 file 2018.01.22 박선영 16914
대왕카스테라의 시대는 갔다? 이젠 명량핫도그! 3 file 2017.04.25 정혜교 16915
세계의 문화를 품다 '2019 이태원 지구촌 축제' 3 file 2019.10.16 정다운 16915
'서호정자' 가 우리의 안녕을 묻습니다. 2016.04.04 김형석 16917
한국중등축구연맹회장배 겸 경상북도지사배 국제축구대회 성료. 유소년의 미래를 여는 기회 file 2019.10.10 이지훈 16918
"평창올림픽 개막 D-3"..평창 성화, 자연의 신비 간직한 삼척 밝혀 1 file 2018.02.06 디지털이슈팀 16919
청주 광복절 행사, 청소년 우리나라 바른 역사 알기 file 2017.08.17 허기범 16922
가을엔, 온 가족이 함께하는 2017 목포과학축전 개최로! file 2017.11.06 김영신 16923
미래 산업, 네이버는 무엇을 준비하고 있나 file 2016.03.22 김준영 16927
난공불락의 요새, 오사카성 3 file 2019.02.15 김채람 16930
인천 연수구에서 첫 초·중생 영어 페스티벌 개최하다 file 2017.11.28 양륜관 16931
신나는 물놀이에 흠뻑 젖다 ‘정남진 장흥 물축제’ file 2019.08.26 조햇살 16931
방치하면 비로소 보이는 것들 1 file 2016.08.22 박지혜 16932
미국에서 가장 큰 쇼핑몰?! Mall of America ! 3 file 2018.01.23 강지희 16932
청년 실업 대란 속 일본과 한국의 프리터족 file 2018.08.08 이승철 16934
제20대 대통령 선거 file 2021.10.21 고은성 16935
인피니트 호야 주연의 '히야' 예매율 1위 차지!! 6 file 2016.03.09 문근혜 16936
사람들의 영원한 네버랜드, 테마파크 더 발전하다 5 2016.02.25 명은율 16937
초심잃은 기념일, 누구를 위한 것인가? 9 2017.02.21 김영은 16938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 세상에 '대한 독립 만세'를 외치다! 1 file 2017.03.01 이윤희 16939
4D 영화, 과연 좋은 영화 관람인가? file 2016.07.30 황지혜 16945
'도깨비'후속작 '내일 그대와' 그 뒤를 이을 수 있을 것인가. 14 file 2017.02.03 정원희 16946
포켓몬 고 한국 정식 출시, 증강 현실(AR)이란? 13 file 2017.02.03 정승훈 16950
대한민국 대표 검색사이트 네이버! 3년만에 새 단장하다! 6 file 2017.03.13 한윤성 16950
‘名家의 몰락’ 뉴캐슬, 화려했던 과거 file 2019.01.31 서한서 16953
[클래식 음악 소개] 베토벤 1 file 2017.09.13 김기현 16954
음악PD 정재일의 특별한 나라 사랑 file 2019.03.13 장혜원 16961
3.1운동 100주년, 나라사랑 걷기대회 file 2019.03.22 김기혁 16961
열심히 문화재 보존하는 공주시, 도시 개발은? 2 file 2017.04.02 정현호 16966
지난 22일 남산골 한옥마을에서 정월대보름 행사열려 14 file 2016.02.24 강예린 16970
여수 밤바다를 수놓은 '2019 여수 밤바다 불꽃축제' file 2019.11.25 조햇살 16973
수원 화성행궁 야간 개장 file 2019.09.16 신승우 16977
국회탐방, 어디까지 가봤니? 1 file 2016.08.24 조민성 16979
빙판 위의 호랑이, 팀 '아이스타이거즈' 1 file 2020.02.06 김민결 16979
'화성의 자랑' 송산 포도 축제장으로 file 2017.09.12 이지은 16985
녹슬지 않는 철? 1 file 2017.03.21 손시연 16990
꾸준히 흥행하는 2인극 뮤지컬, 그 매력이 무엇일까? (feat. 쓰릴미, 키다리 아저씨) 2 file 2017.08.09 오희연 16992
요즘은 '소논문'이 대세?! 1 file 2016.05.22 천예영 16993
책으로만 본 국회의사당, 직접 만나보세요! 7 file 2017.02.08 김수오 16997
진정한 수학을 만나는 시간; 제 8회 대구수학페스티벌 참가 후기 file 2016.11.20 박수연 16999
부르카와 부르키니로 생각해보는 진짜 존중 1 file 2016.08.25 한서경 17001
기자가 되고 싶다면? '스포트라이트' 처럼! file 2016.03.21 김지현 17003
다가오는 봄, 다가오는 꽃샘추위! 10 file 2016.02.21 안세빈 17005
레슬링 김현우, 오심에도 값진 광복절 세리머니 1 file 2016.08.24 장은지 17006
[평창] 여자 아이스하키 일본 vs 스웨덴, 단일팀 코리아의 7, 8위전 상대는? 2 file 2018.02.20 이정찬 17007
요즘 핫한 그의 이름은 '해리안' file 2018.06.18 6기정예진기자 1701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