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K-바이오를 이끄는 주역, 한인 생명 과학자들 ‘K-BioX’에서 모인다

by 이주연대학생기자 posted Apr 21, 2021 Views 1406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제3회 K-bioX 포스터.jpg

[이미지 제공=K-BioX,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가 받음] 


 미국, 한국을 포함한 국내외 생명과학자들이 415일 목요일 오전 10(한국, 서울 기준)에 온라인 화상회의 프로그램 ‘Zoom’을 통해 Global K-BioX 세미나에서 모였다.

 지난 2016년 스탠포드대학교 소속 연구원이 중심이 되어 시작한 Stanford K-BioX, 2020년 한국 11개 대학과 Global K-BioX 세미나를 공동 주최하면서 공식 한인과학자 협회로 등록되었다.


 현재, 공동 주최 대학 및 기관에는 서울대학교 기초과학연구원(IBS), 숙명여자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서강대학교, 순천향대학교, 중앙대학교,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이화여자대학교, 건국대학교, 고려대학교 등이 있으며 이들이 호스트로서 글로벌 세미나를 진행하게 된다.


 코로나19 상황이 지속됨에 따라 각종 학회가 취소되어 과학자들 간의 소통에 어려움을 겪었던 2020년에도 K-BioX10회의 세미나가 개최되었다. 이를 통해 대학, 연구원, 대학원, 포닥(Post-Doc), 교수, 정부, 회사 등에 속한 많은 국내외 생물학자들이 꾸준히 정보 교류를 할 수 있었다.

 올해는 지난 318‘Stem Cell and Organoid’를 주제로 제1회 세미나가 시작되었다. 1회 세미나의 큰 호응에 이어 제2회 세미나는 지난 41, ‘VIRUS/RNA’를 주제로 캐나다 Western Ontario 대학의 강칠용 교수와 서울대학교 기초과학연구원(IBS) 김빛내리 교수가 글로벌 연사로서 강연하였다. 해당 회차의 세미나는 약 580명 내외의 인원이 참여하는 등의 많은 관심을 받았다.


 지난 목요일에 열린 제3Global K-BioX 세미나는 존스홉킨스 의대(Johns Hopkins medicine)의 하택집 교수, 고려대학교의 심상희 교수가 글로벌 연사로서 참여하게 된다. 3회 세미나의 공동주최는 KAIST 의과학대학원의 김진국 교수, 아주대학교 의과대학의 우현구 교수가 맡았다.


 연사를 맡은 존스홉킨스 대학의 하택집 교수는 물리학을 기반으로 생명활동을 연구하는 세계적인 과학자로, 형광공명에너지전달(FRET) 현상을 적용하여 형광물질을 이용해 DNA, 단백질과 같은 생체 미세 분자들을 관찰할 수 있는 기법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그의 업적을 기반으로, 하 교수는, 2015년 미국 국립과학원(NAS)의 회원이 되는 영예를 얻었으며 이외에도 미국과학재단상, 미국물리학회 석학회원(fellow), 하워드 휴즈 의학 재단(HHMI)의 올해의 생명의학 과학자 등에 선정됐다. 하 교수는 3회 글로벌 세미나에서 <Light, CRISPR and DNA Repair>를 주제로 강연했다.


 이번 세미나의 또 다른 연사, 고려대학교 심상희 교수는 <Toward molecular-resolution optical microscopy>를 주제로 강연했다. 심 교수는 IBS에서 서울대, 울산과학기술원 등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민물장어의 형광단백질을 이용하여 세포 내 구조를 기존에 비해 8배 정도 오래 관찰할 수 있는 초고해상도 형광현미경법을 개발하여 지난 20201월에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 온라인 판에 게재했었다.

 Global K-BioX 3회 세미나도 지난 1, 2회 세미나와 마찬가지로 글로벌 세미나가 끝난 뒤, Zoom소회의실’ 기능을 통해 글로벌 멘토들과 소통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다. 이를 통해 해당 회차의 세미나에서 궁금했던 점, 해외 유학과 관련된 것, 실험실 생활에 관한 것 등을 나물(나에게 물어봐)멘토에게 직접 물어보고 경험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다.


 더불어 K-BioX는 온라인 플랫폼 슬랙(Slack)채널,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K-BioX공식 홈페이지 등을 통해 세미나 이외에도 꾸준히 소통의 장을 열고 있다. 글로벌 세미나는 매회 공식 홈페이지 혹은 사전등록 링크 통해 신청한 후 참여할 수 있다.

 주최 측은, K-BioX가 교육/멘토링/매칭 세 가지 방향을 가지고 진행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한국 의생명과학을 연구하는 과학자와 학생들이 함께 소통할 수 있는 글로벌 플랫폼이 되었으면 한다고 전하고 있다

 현재 K-BioX에서는 글로벌 세미나뿐만 아니라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하고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가 공동 주관하는 글로벌 멘토링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또한 이들은 성균관대학교와 삼성서울병원이 함께 진행하는 ‘AI/바이오인포매틱스 특별 심포지엄’, 고려대학교 오정리질리언스 연구원과 함께 하는 환경 관련 글로벌 심포지엄도 준비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글로벌 인턴쉽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해외 유수 대학과 한국 대학 간의 교류를 증진시키고 있으며 K-BioX 자체 인턴쉽 프로그램도 시행 중에 있다고 한다.

 K-BioX 대표운영위원이자 설립자인 스탠포드(Stanford)대학의 이시연 박사는, “의생명과학을 연구하는 많은 한인 과학자와 학생들이 K-BioX를 통해 함께 소통했으면 합니다. 좀 더 공식적이고 좋은 플랫폼이 될 수 있도록 하는 마음으로 추후 후원이나 지원을 해주실 수 있는 곳이 많아졌으면 하는 마음을 가지고 있습니다.”라는 부탁을 전했다, “두 가지를 전하고 싶습니다. 한 가지는 누구나 가진 limit(한계)를 인정하고 함께 소통하면서 서로 도울 수 있는 과학계 분위기가 지속되었으면 하고, 그 분위기가 공동연구의 결과로 이어지도록 다 같이 뜻을 함께했으면 한다. 다른 하나는, K-POP BTS가 전 세계에 소개하는 데 큰 역할을 한 것처럼 K-BioX도 한인 생명과학이 전 세계에 공헌을 할 수 있도록 큰 역할을 했으면 한다.”고 전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3기 대학생기자 이주연]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657662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655122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075468
우리 집에 또 다른 누군가 살고 있다? - [ip카메라 해킹] 6 file 2017.05.07 신예진 16382
우리 집에 짱구네 백마 택배가 왔다 2 file 2020.08.26 최유진 16089
우리 함께 '우리 함께'를 보여주자. file 2017.04.29 김유진 12747
우리 함께 기부를 해볼까요? file 2017.10.30 최예은 13432
우리, 골목에서 만나요 1 file 2017.11.01 이가빈 12816
우리가 간과했던 환경호르몬이 미치는 악영향 file 2021.06.02 김정희 11484
우리가 곧 현실이라는 것을 알려준 【스마트 디바이스 쇼 2017】 2017.08.17 권오현 18702
우리가 기억해야 할 과거, 광복절 및 정부수립 경축식이 열리다 file 2018.08.20 정아영 12646
우리가 꿈 꾸는 세상, 제 16회 의정부 음악극 축제에 초대합니다. file 2017.05.16 임성은 12960
우리가 몰랐던 초콜릿의 씁쓸한 맛 3 file 2017.03.21 정가원 15136
우리가 북촌을 지켜야 할 수많은 이유 file 2016.08.31 김형석 14372
우리가 사용하는 많은 카드들, 순식간에 복사가 된다? 1 file 2017.09.04 장지훈 16434
우리가 아는 일식 정말 개기일식뿐일까 file 2019.06.03 김가영 17709
우리가 얼마나 행복했는지 느껴보세요! 굿뉴스코 페스티벌 13곳에서 개최.. 1 file 2017.03.23 김해온 27506
우리가 음악영화를 좋아하는 이유 1 file 2018.04.24 옥예진 19565
우리가 지켜야 할 그곳! 2 2017.04.08 박지원 12328
우리가 지켜야 할 시간이 있는 DMZ 그 곳에 가다 2016.06.05 김형석 15106
우리가 직접 부모를 고르는 시대, ‘페인트’ 2 file 2019.10.29 송이림 15104
우리가 축제를 만든다고! <제5회 이천시청소년연합축제> file 2019.05.16 현승필 20614
우리가 프리미엄이 아닌 중저가 스마트폰을 골라야 하는 3가지 이유 5 file 2017.11.24 정용환 15549
우리가 함께 보는 세상, 배리어프리 영화 file 2021.05.03 김희수 10492
우리나라 대표 벚꽃 축제 '진해 군항제'를 소개합니다 file 2023.04.07 이설현 7533
우리나라 자부심들의 융합, IT와 K-POP의 조화에 스포트라이트를 비추다 2020.04.29 최유진 17622
우리나라 테마파크의 적신호 4 file 2017.05.03 김나림 15243
우리나라가 선호하는 여행지, 오사카 1 file 2017.05.25 이가원 15293
우리나라의 문화를 알리기 위한 노력, 청소년 해설학교 2 file 2017.03.19 박지현 14522
우리나라의 미래, 청소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청소년 참여기구 4 file 2020.06.12 송윤슬 13599
우리나라의 유일한 하앙식 구조 건축물은? 1 file 2017.10.09 김다정 18955
우리나라의 의생활에 남아있는 일제 잔재 file 2021.12.03 김민정 15718
우리나라의 첫 번째 관문의 화려한 변신 file 2020.11.09 이혁재 12754
우리는 생각이 너무 많은 고등학생 file 2017.03.24 윤민경 16820
우리는 어제 사람을 죽였다 4 file 2020.10.05 정미강 22917
우리는 언론을 얼마나 믿어야 하는가? ‘PMC: 더 벙커’를 통해서 file 2019.01.18 강재욱 15010
우리는 역사를 어떤 방법으로 보아야 하는가 - 역사의 역사 file 2019.01.28 홍도현 15486
우리는 왜 샤오미에 열광하는가? file 2017.10.09 이성채 15465
우리는 필드 위에 있다; 한국 축구 유소년 선수 file 2020.01.15 이지훈 15223
우리도 떠난다! 우리만의 여행! file 2016.08.18 이봉근 13355
우리들의 감성을 일깨울 치아문단순적소미호(致我们单纯的小美好) 2 file 2018.07.23 최아령 17729
우리들의 뷰티시대 2 file 2016.03.20 조선민 15003
우리들의 생활 속 AI · IoT file 2020.11.13 정시언 16696
우리를 따스하게 해 줄 책 3권 4 file 2020.03.04 김윤채 14397
우리마을 척사대회 file 2017.04.16 김태호 13282
우리말 사랑 동아리 오름 마당! file 2017.07.18 최서진 14170
우리시대의 전태일을 응원한다! file 2016.05.22 이강민 13846
우리의 노력으로 빛을 낼 '경기도형 그린뉴딜' 2020.10.19 최윤서 12714
우리의 미래, 아이들 부족함부터 배우다. file 2017.04.29 유성훈 13104
우리의 비극적이고 아름다운 역사들, 서대문형무소역사관. 4 file 2016.03.17 최찬미 18472
우리의 삶, 철학, 미의식을 담은 그림 민화 file 2017.07.31 석채아 1388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