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미국 연방수사국(FBI)의 명령을 거부한 애플

by 3기장채연기자 posted Feb 20, 2016 Views 1617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KakaoTalk_20160220_230011835.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3기 장채연 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지난 16(현지 시각) 애플이 지난해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버나디노 총격 용의자가 사용하던 아이폰의 잠금 해제를 요구하는 미국 연방수사국(FBI)의 명령에 강하게 반발하며 화제가 되고 있다.

  작년 12, 캘리포니아 주의 공중 위생부에서 열린 송년회에서는 부부 사이인 사이드 파룩(Syed Rizwan Farook)과 타쉬핀 말릭(Tashfeen Malik)이 난입하여 총을 난사하여 14명이 사망했다. 두 사람도 경찰과의 총격전 끝에 사망하였다. 파룩 부부가 ISIS 소속이라는 사실이 뒤늦게 알려지면서, 이 사건은 테러 공격으로 기록되었다. FBI는 수사 도중 파룩의 직장에서 정부 명의의 아이폰을 찾아냈다. 하지만 이 아이폰은 잠겨 있었다.

  미국 일간 워싱턴포스트(WP)는 애플의 놀라울 만큼 강력한 보안체계를 217(현지시간) 자세히 소개했다. 아이폰의 최신 보안체계는 FBI도 쩔쩔 맬 정도로 강력한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비밀번호를 다섯 번 잘못 입력하면 재입력까지 1분을 기다려야하고, 아홉 번 틀리면 재입력까지 1시간을 기다려야한다. 암호를 10번 넘게 틀린다면 아이폰에 담긴 모든 기록이 자동으로 삭제되는 등 높은 수준의 고객보안 서비스를 가지고 있다. 또한 FBI가 고속 입력기를 가동하여도 암호조합을 1초에 12개밖에는 입력하지 못한다. 이런 상황에서는 조합의 수는 568억개 정도이며, 최장 144년이나 걸린다.

  FBI 등 미국 정부에서는 국민의 안전을 위해서는 애플의 보안체계에 마스터키와 같은 존재인 백도어가 있어야한다고 주장하고 있는 바이다. 하지만 애플 측에서는 백도어가 한 번 만들어진다면 다른 기기에서 계속 사용될 수 있다이성적인 사람이라면 그 요구를 받아들일 수 없을 것을 강조하고 있다.

  현재 FBI는 애플의 강력한 반대에 한발 물러서서 애플 측에 틀린 암호를 입력하더라도 다음 입력까지 기다려야 하는 시간을 없애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3기 장채연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3기김윤정기자 2016.02.22 19:16
    아이폰 유저가 아니라 잘 모르지만, 정말 불편할법도 하네요.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3기박성수기자 2016.02.23 02:07
    FBI과 애플 쪽에서 잘 해결하기를 바랍니다.
  • ?
    4기 조은아 기자 2016.02.23 07:20
    애플은 신뢰도 때문에, FBI는 국가 문제 때문에 의견이 갈려 합의점을 찾기 어려울 것 같네요.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3기이민정기자 2016.02.23 09:39
    합의점을 찾기가 매우 어려울 것 같아요. 애플입장에서, FBI입장에서 서로 생각해봐도 양보하기가 쉽지 않을 것 같네요. 백도어가 만들어 진다면 국가가 해결할 수 있는 문제들이 많을 것 같지만 또 이것을 악용할 경우가 생길 수도 있을 것 같네요. 최대한 빨리 서로 합의점을 찾았으면 좋겠습니다.
    기사 잘 읽고 갑니다!
  • ?
    3기김성현기자 2016.02.26 14:44
    애플이 FBI에 요구를 거절하다니..되게 흥미롭게 읽었습니다. 우리나라 기업들도 수사기관의 요구를 애플처럼 거부 할 수 있을까 생각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 ?
    3기이민구정치부기자 2016.02.28 16:00
    저는 이거 애플이 참 잘했다고 봅니다. 고객에 대한 기업의 신뢰도를 지킴으로서 브랜드 이미지를 한 번 더 각인시켰응니까요. 저도 저렇게 자신의 프라이버시를 잘 보호할 수 있는 전자기기를 사용하고 싶습니다.
  • ?
    4기구성모기자 2016.03.08 21:36
    고객의 안전, 권위 등을 보호하는데는 정말 좋은 것 같습니다. 그러나 이 사회에 문제가 되는 것을 고객을 토대로 무시한다는 것은 정말 큰 문제가 되는 것 같습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96412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64151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77364
장애인의 권리, 이제는 함께 지켜줘야 할 때 1 file 2016.03.24 전예린 16112
세계여성 공동행진, "여성도 사람이다!" 4 file 2017.01.25 김혜빈 16126
나 지금 인공지능이랑도 경쟁해야하니? 5 file 2016.03.28 박지윤 16128
언론으로 인한 성범죄 2차 피해, 언론은 성범죄를 어떻게 보도해야 하는가? 8 file 2019.01.11 하영은 16134
'혹시'나 '옥시'만은 1 file 2016.05.15 조민성 16137
아침밥은 왜 먹어야 하나요? 1 file 2019.11.01 12기우가희기자 16137
학기중? 방학? 학생들의 말못할 한탄 18 file 2017.02.15 김서영 16147
홍콩 국민들을 하나로 모은 범죄인 인도법 file 2019.06.21 이서준 16149
일주일 또 미뤄진 '등교 개학'...개학 현실화 언제? 7 file 2020.05.12 서은진 16154
소셜그래프, 청소년 도박 중독의 시작 file 2019.06.13 양재성 16157
20대 국회의원 선거, 새로운 정치바람이 불다 2 file 2016.04.16 황지연 16160
우리나라 먹거리의 잔혹사 첫 번째, 우지파동 3 2017.09.04 오동민 16160
Because you are right, Bernie. You're right! file 2016.05.04 박정호 16168
속초에 불어온 ‘포켓몬고’ 열풍 3 file 2016.07.23 김민지 16168
김영란법에 대해 알아보자 7 file 2016.10.02 천주연 16171
미국 연방수사국(FBI)의 명령을 거부한 애플 7 file 2016.02.20 장채연 16176
세기의 대결 이세돌과 알파고 2 file 2016.03.13 백승연 16183
개학이 두려운 학생들-'새 학기 증후군' 13 file 2016.02.25 김지율 16196
흡연자와 비흡연자, 갈등은 담배 연기를 타고... file 2017.11.29 오태준 16207
77분간의 리얼리티 쇼, 트럼프와 언론의 끝없는 전쟁 2 file 2017.02.19 김윤혁 16220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오마이뉴스 사실왜곡, 명예훼손 도넘어..법적 대응할 것” (공식 입장) file 2018.08.14 디지털이슈팀 16240
한반도를 둘러싼 외교전쟁 file 2016.09.24 이민구 16250
美 4월 환율조작국 발표…환율조작국으로 지정되면 file 2017.03.21 정단비 16250
대한민국 제 20대 총선이 불어온 변화의 폭풍 3 file 2016.04.17 진형준 16266
헌법재판소 앞의 사람들 5 2017.02.15 안유빈 16267
'위안부' 생존자들의 아픈 역사를 되돌아보다 3 file 2017.02.19 이다빈 16303
더 빈곤해지는 노인 3 file 2016.11.09 임지민 16310
삼성 휘청: 삼성 이재용 부회장 결국 포승줄에 묶이다 file 2017.02.21 송경아 16313
'합리적인 금리' 라 홍보하는 이자율 27.9% 2 file 2017.02.13 최민주 16318
학생들의 건강, 안녕하십니까 2 file 2016.07.23 김다현 16321
중앙선관위, 선거연령 18세로.. 2 file 2016.08.24 안성미 16336
당신은 가해자입니까? 아니면 정의로운 신고자입니까? 10 file 2016.02.23 김나현 16341
역사 국정교과서,우리는 이렇게 생각해요..고등학생이 직접 말하는 역사 교과서 국정화 정책 2 file 2017.02.21 이채윤 16341
100만원짜리 콘서트 5 file 2016.03.25 장채연 16347
비추는 대로 봐야하는가, 언론의 신뢰성 문제 3 file 2016.05.25 김영경 16348
'독서실', '스터디카페' 코로나19 방역 거대 구멍 1 file 2020.03.31 박지훈 16363
대보름과 함께 떠오른 민중의 목소리 2 file 2017.02.12 오지은 16365
이집트 대통령 17년만에 방한 2 file 2016.03.18 이아로 16375
누이 좋고 매부 좋은 '공유 경제' 1 file 2016.03.24 김태경 16383
학생 안전의 대가는 交通混雜(교통혼잡) 1 file 2016.04.20 한종현 16385
통제불가 AI... 결국 서울 '상륙' 2 file 2017.02.05 유근탁 16387
중학교에 전면 시행된 자유학기제, 현 주소는? 2 file 2016.10.25 신수빈 16403
공동주택 거주민들을 떨게하는 무시무시한 그 이름 "층간소음" 10 file 2017.02.21 류서윤 16407
청소년 타깃 담배 광고가 흔하다고? 5 file 2020.08.03 위성현 16418
올해 최강 한파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 들. 10 file 2017.01.19 최예현 16422
폭염이 몰고 온 추석경제부담 2 file 2016.09.23 이은아 16450
‘포켓몬 고’ 따라 삼만리, 각종 부작용 속출 file 2017.02.08 박현규 16460
2월 14일, 달콤함 뒤에 숨겨진 우리 역사 16 file 2017.02.14 안옥주 1646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