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미국 연방수사국(FBI)의 명령을 거부한 애플

by 3기장채연기자 posted Feb 20, 2016 Views 1614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KakaoTalk_20160220_230011835.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3기 장채연 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지난 16(현지 시각) 애플이 지난해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버나디노 총격 용의자가 사용하던 아이폰의 잠금 해제를 요구하는 미국 연방수사국(FBI)의 명령에 강하게 반발하며 화제가 되고 있다.

  작년 12, 캘리포니아 주의 공중 위생부에서 열린 송년회에서는 부부 사이인 사이드 파룩(Syed Rizwan Farook)과 타쉬핀 말릭(Tashfeen Malik)이 난입하여 총을 난사하여 14명이 사망했다. 두 사람도 경찰과의 총격전 끝에 사망하였다. 파룩 부부가 ISIS 소속이라는 사실이 뒤늦게 알려지면서, 이 사건은 테러 공격으로 기록되었다. FBI는 수사 도중 파룩의 직장에서 정부 명의의 아이폰을 찾아냈다. 하지만 이 아이폰은 잠겨 있었다.

  미국 일간 워싱턴포스트(WP)는 애플의 놀라울 만큼 강력한 보안체계를 217(현지시간) 자세히 소개했다. 아이폰의 최신 보안체계는 FBI도 쩔쩔 맬 정도로 강력한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비밀번호를 다섯 번 잘못 입력하면 재입력까지 1분을 기다려야하고, 아홉 번 틀리면 재입력까지 1시간을 기다려야한다. 암호를 10번 넘게 틀린다면 아이폰에 담긴 모든 기록이 자동으로 삭제되는 등 높은 수준의 고객보안 서비스를 가지고 있다. 또한 FBI가 고속 입력기를 가동하여도 암호조합을 1초에 12개밖에는 입력하지 못한다. 이런 상황에서는 조합의 수는 568억개 정도이며, 최장 144년이나 걸린다.

  FBI 등 미국 정부에서는 국민의 안전을 위해서는 애플의 보안체계에 마스터키와 같은 존재인 백도어가 있어야한다고 주장하고 있는 바이다. 하지만 애플 측에서는 백도어가 한 번 만들어진다면 다른 기기에서 계속 사용될 수 있다이성적인 사람이라면 그 요구를 받아들일 수 없을 것을 강조하고 있다.

  현재 FBI는 애플의 강력한 반대에 한발 물러서서 애플 측에 틀린 암호를 입력하더라도 다음 입력까지 기다려야 하는 시간을 없애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3기 장채연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3기김윤정기자 2016.02.22 19:16
    아이폰 유저가 아니라 잘 모르지만, 정말 불편할법도 하네요.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3기박성수기자 2016.02.23 02:07
    FBI과 애플 쪽에서 잘 해결하기를 바랍니다.
  • ?
    4기 조은아 기자 2016.02.23 07:20
    애플은 신뢰도 때문에, FBI는 국가 문제 때문에 의견이 갈려 합의점을 찾기 어려울 것 같네요.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3기이민정기자 2016.02.23 09:39
    합의점을 찾기가 매우 어려울 것 같아요. 애플입장에서, FBI입장에서 서로 생각해봐도 양보하기가 쉽지 않을 것 같네요. 백도어가 만들어 진다면 국가가 해결할 수 있는 문제들이 많을 것 같지만 또 이것을 악용할 경우가 생길 수도 있을 것 같네요. 최대한 빨리 서로 합의점을 찾았으면 좋겠습니다.
    기사 잘 읽고 갑니다!
  • ?
    3기김성현기자 2016.02.26 14:44
    애플이 FBI에 요구를 거절하다니..되게 흥미롭게 읽었습니다. 우리나라 기업들도 수사기관의 요구를 애플처럼 거부 할 수 있을까 생각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 ?
    3기이민구정치부기자 2016.02.28 16:00
    저는 이거 애플이 참 잘했다고 봅니다. 고객에 대한 기업의 신뢰도를 지킴으로서 브랜드 이미지를 한 번 더 각인시켰응니까요. 저도 저렇게 자신의 프라이버시를 잘 보호할 수 있는 전자기기를 사용하고 싶습니다.
  • ?
    4기구성모기자 2016.03.08 21:36
    고객의 안전, 권위 등을 보호하는데는 정말 좋은 것 같습니다. 그러나 이 사회에 문제가 되는 것을 고객을 토대로 무시한다는 것은 정말 큰 문제가 되는 것 같습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92268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60615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73913
아세안 정상 회의에서의 미얀마 군부 대표 참석을 반대하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시위대 file 2021.04.27 김민경 6668
4.7 재보궐선거 승리한 야당... '혼돈의 정국' file 2021.04.26 오지원 6669
부동산 투기, 대한민국 거주 외국인에게도 일어나는 문제 file 2021.05.27 이수미 6670
정부, ‘위드 코로나’ “9월 말 이후 검토”... 일상 회복의 신호탄 될까 file 2021.08.23 김은수 6676
2022년 차기 대선, 20대의 '보수화' file 2021.09.23 김준기 6692
文 대통령 "5.18의 마음이 민주주의가 되고, 코로나 극복 의지가 돼" file 2021.05.21 김현용 6705
이란, 이라크 이르빌 향해 미사일 공격 file 2022.03.16 권강준 6709
코로나19, 중국은 회복 중? file 2021.08.27 강민지 6712
삼성은 반도체 패권을 가져갈 수 있을까? file 2021.05.26 이준호 6738
접종률 75% 넘는 일본, 백신 기피로부터 전환 성공하나? file 2021.11.25 안태연 6740
계속되는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부동산 가격 떨어지나 2021.12.28 유지훈 6748
방글라데시 여객선 사고 26명 사망 2 file 2021.04.12 이정헌 6791
[기자수첩] 포토카드 수집 탓에...'미공포' 문화가 부른 환경위기 1 file 2023.12.09 이희원 6804
제2 벤처붐 분다 file 2022.03.15 류민성 6814
탈레반 정권 장악: 아프간 경제 파탄 위기 file 2021.09.24 황호영 6821
국민의힘 경선 투표율 50% 이상 달성, 역대 최고치로 전망 file 2021.11.04 이승열 6824
위협받는 아프가니스탄 여성들의 인권 file 2021.09.03 이가빈 6877
경기도지사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20대 대통령 후보로 확정 file 2021.10.15 고대현 6883
가사근로자법안 발의, 환영의 목소리만 있을까 file 2021.05.31 하수민 6895
미얀마 쿠데타에 대한 우리나라의 입장 file 2021.05.24 이수현 6896
대구·경북 신공항 특별법.. 균형 발전을 위해 제정 필요 file 2021.05.04 이승열 6898
[기자수첩] '검정 고무신' 작가의 죽음이 사회에 남긴 것 file 2023.04.12 김진원 6904
"학생증 들고 왔다면 돌아가세요"...학생증 신분증으로 인정 안 한 가수 1 file 2023.09.30 이종혁 6908
2년 만에 한국 정상회담…성공적인가? file 2021.05.27 이승우 6916
방위비협상, 아직도 현재 진행 중 file 2020.04.27 윤영주 6919
더불어민주당의 새로운 대표 이낙연, 그는 어디까지 갈 수 있을것인가 file 2020.09.04 문해인 6919
한 달 넘게 이어지는 투쟁, 대우조선 매각 철회 촉구 농성 file 2021.04.13 김성수 6921
문재인 대통령 임기 중 마지막 유엔 연설 file 2021.09.27 최서윤 6960
저시력 시각장애인의 도보 이동권 문제, 청년들이 내놓은 개선 방안 공유 file 2022.07.15 이지원 6960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대통령 집무실과 관저는 어디로 정했나? file 2022.04.26 강준서 6964
현 러시아 연방 대통령 블라디미르 푸틴에 대해 알아보자 file 2022.01.11 오유환 6968
필리핀 코로나 상황 속 한국 교민들 file 2021.09.14 최윤아 6995
지속되는 헝다그룹의 부진.. 위기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 file 2021.12.24 이성훈 7000
[공동취재] 기획기사 ③ 꿀잠, 그래서 뭐 하는 곳인데? file 2021.12.27 이유림 7001
끝나지 않는 가슴 아픈 종파 싸움, 시리아 내전 file 2021.09.30 류채연 7018
[공동취재] 기획기사 ② 비정규노동자들의 쉼터 ‘꿀잠’, 재개발 속 부딪히는 이해관계 file 2021.12.27 함지원 7039
대법원, 이기택 대법관 후임 인선 착수, 28일 후보자 추천 시작 file 2021.06.11 김준혁 7040
코로나19 시대, 학교는 어떻게 바뀌었나? 1 file 2020.11.25 전혜원 7053
산업재해로 멍든 포스코, 포항은 무엇을 할 수 있는가 1 2021.02.18 서호영 7065
PK8303의 추락. 이유와 결과 2020.06.10 이혁재 7075
새로운 형태의 자산 가치 상승, 현대 사회가 가지는 또 하나의 숙제 file 2021.05.26 한형준 7075
곧 국내에서도 시작되는 코로나 예방 접종… 각 백신의 특징은? file 2021.03.02 김민결 7099
안철수, 서울시장 출마 결심 file 2020.12.28 명수지 7105
HDC현대산업개발 '광주화정아이파크' 전면 재시공 file 2022.05.09 김명현 7111
[기자수첩] 미국 청소년들도 빠져든 K팝...한국 문화 영향력 커져 file 2023.09.16 이승주 7140
美 대통령 트럼프 코로나19 확진... "곧 돌아올 것" 2020.10.14 임이레 7147
[기자수첩] 서현역, 신림역 칼부림 사건..."법정 최고형 구형해야" file 2023.08.10 김진원 7156
美 보건당국, 실내 '노마스크' 허용 file 2021.05.24 양연우 718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