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2020년 의사 파업 그리고 현재

by 17기이채령기자 posted Mar 03, 2021 Views 781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추운 겨울이 지나 새순이 피어나고 어린아이들이 다시 세차게 뛰어놀 것만 같았던 지난해 2월 초, 대한민국을 격파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는 급속도로 퍼져 국내 감염자가 빠른 속도로 증가했다. 많은 사람들의 핸드폰 화면으로 퍼져나간 바이러스의 근원지, 중국에서 현지인들이 맥없이 쓰러지는 충격적인 모습은 많은 시민들에게 불안감을 자아내었지만, 시민들이 이에 맞서 할 수 있는 것이 많지 않았기에 대부분의 도움의 눈초리는 의사, 즉 의료 인력에게 집중되었다. 이와 동시에 급속하게 증가하는 감염자들의 수에 비해 수도권을 포함한 지방 지역의 부족한 의사 수를 알아챈 것이었는지 2020년 7월 23일, 대한민국 정부는 의과대학 정원을 매년 400명씩 2023년을 기점으로 10년간 증원하여 4,000명 중 3,000명을 지역 의료 인력으로 양성하겠다는 입장을 표하였다. 하지만 정부의 이러한 의견이 논의되지 않은 일방적인 것이었다며 의사 수 증원이 능사는 아니라 주장한 대한의사협회는 8월 14일부터 약 한 달간 전공의, 의사, 레지던트를 포함한 병원 내 인력을 동원하여 파업에 돌입하였다. 


혹시 내 가족 중 하나라도 감염이 된다면 아니 감기 증상이라도 내비치면 어찌해야 하는지 모두가 혼란스러웠던 상황 속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찾아온 유례없는 의사들의 파업에 대하여 시민들의 의견은 대부분 부정적이었다. 걱정으로 둘러싸인 시민들 또 생사의 갈림길에 선 환자들에 맞선 의사들의 진료 거부는 그들의 히포크라테스 선서에 불 대응한다는 것이 그들의 이유였고 이에 반해 의대생들은 ‘덕분에 챌린지’ 등에 동참하여 헌신하는 의사들에게 긍정적 지지를 내비치기도 하였다.  


A40D1AFC-DE61-42D6-AB55-A4AB24C69D07.jpe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이채령 기자]

(해당 이미지는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어둠 속에서도 한 줄기 빛은 있었던 걸까, 다행히도 2020년 9월 4일 여당, 의협, 복지부가 합의문을 작성하며 파업은 일단락되었다.


새로운 해가 밝은지 오래인 현시점, 과연 의사들과 시민들 모두는 어떻게 바뀌었을까? 코로나 상황에 대한 시민의 의견을 들어보기 위해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나 대부분의 답변은 전혀 달갑지 않았다. 독서실을 애용하는 한 학생에 따르면 창문도 없는 실내에서 마스크를 벗고 있는 사람이 대부분이라 하였으며 다른 시민분은 실외에서 마스크를 아예 벗고 다니는 몇몇 사람도 마주쳤다며 걱정스러운 기색을 내비쳤다. 반면에 대한의사협회의 태도는 어떻게 변하였을까? 지난 2월 19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가 금고 이상의 형을 선고받은 의사의 면허를 5년간 취소시키겠다는 입장을 담은 의료법 개정안을 가결시켰다. 하지만 이에 대해 의협은 즉각 반발했으며 지난 20일 성명서를 냄과 동시에 의결 시 전국 의사 총파업을 동반한 전면적 투쟁에 나설 것이라 주장했고 이틀 전인 26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의료법 개정안은 통과가 불발되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17기 이채령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97272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64949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78183
9시 등교, 모두 공감할 수 있는 정책으로 2014.09.22 서유미 19137
9시 등교, 새로운 제도를 대하는 학교의 방법 2014.09.25 최희수 19341
9시 등교, 앞으로 나아갈 길이 멀다. 2014.09.23 3001 18786
9시 등교,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2014.09.21 김현진 18963
9시 등교, 이대로 계속 시행되어야 하나? 1 2014.09.14 홍다혜 19718
9시 등교, 이대로 진행해야 하는가 2014.09.11 배소현 21563
9시 등교, 적합한 시스템인가 2014.09.11 양세정 20935
9시 등교, 주사위는 던져졌다. file 2014.09.21 최한솔 19461
9시 등교, 진정 조삼모사인가? 2014.09.21 임수현 18581
9시 등교, 폐지 아닌 개선 필요 2014.09.21 김민기 19437
9시 등교,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정책인가 그저 빈 껍데기인가 2014.09.21 박민경 21400
9시 등교, 확실한가 2014.09.29 오선진 25681
9시 등교는 꼭 필요하다!! 1 2014.09.25 김영진 20745
9시 등교는 학생 주체 교육제도의 첫 시작으로 남을 수 있을 것인가 2014.09.23 박민아 19926
9시 등교를 원하세요? 2014.09.25 명지율 23004
9시 등교에 대한 여러 의견 2014.09.10 박어진 19110
9시 등교제, 이것이 진정 우리가 원했던 모습일까 2014.09.21 김나영 18791
9시 등교제, 지켜보자 2014.09.18 정진우 20911
9시 등교제,9시 '하원'제로.. 2014.09.20 최아연 26325
9시 등교제가 과연 좋은 영향만을 가져다 주는 것일까? 2014.09.22 김아정 19723
9시등교 과연 옳은것일까 2014.09.25 이지혜 22306
9시등교 누구를 위한 9시등교인가? 2014.09.06 박인영 20614
9시등교 누구를 위한 것인지....... 2014.09.15 신정원 18961
9시등교 새로운 시작 2014.09.24 김희란 18856
9시등교 아싸! 2014.09.24 박승빈 25073
9시등교 학생들에게 과연 좋을까? 2014.09.21 이세현 18758
9시등교 학생들을 위한 것일까 2014.09.24 신윤주 19939
9시등교, 11시 하교 나아진 것은 없다. 2014.09.07 장은영 23110
9시등교, 개선이 필요하다. 2014.09.04 이세영 25505
9시등교, 과연 학생들은? 2014.09.21 박채영 19928
9시등교, 실제 시행해보니......, 2014.09.24 구혜진 18934
9시등교, 우리 학교 이야기. 2014.09.19 황유진 23490
9시등교, 진정으로 수면권을 보장해주나? 2014.09.21 정세연 20034
9시등교, 최선 입니까? 2014.09.21 전지민 20161
9시등교,가시박힌 시선으로만 봐야하는 것인가.. 1 2014.09.24 안유진 18673
9시등교에 대한 여러 찬반의견 2014.09.15 김수연 21764
9시등교제, 옳은 선택일까 2014.09.25 김혜빈 20964
AI 가니 구제역 온다 2 file 2017.02.10 유근탁 15307
AI 사태 100일 째, 아직도 끝나지 않은 AI(조류 인플루엔자) 1 file 2017.03.26 윤정원 10976
AI 온지 얼마나 되었다고 이젠 구제역?! 5 file 2017.02.15 정소예 14174
AI 직격탄 계란값....도대체 언제쯤 복귀할까? 6 file 2017.01.23 김서영 17800
AI의 완화... 계란 한 판 '6~7000원'대, 닭고기 가격 상승 2 file 2017.02.21 이수현 15473
Because you are right, Bernie. You're right! file 2016.05.04 박정호 16179
BMW 차량 화재, EGR만이, BMW만이 문제인가 1 file 2018.08.30 김지민 10173
CGV 좌석차등제, 영화관 좌석에 등급이 웬말인가 5 file 2016.03.20 정현호 34927
D-15 19대 대선, 달라지는 sns 선거운동 4 file 2017.04.25 윤정원 13009
EPR. 생산자도 폐기물에 대한 책임을 문다. file 2018.04.30 이기원 11206
EU의 중심, 영국마저 저버린 의무적인 배려...과연 누가 따를 것인가? 1 file 2016.07.25 김예지 1552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