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코로나 사태 탄소배출권 가격 안정화의 필요성

by 18기김률희기자 posted Feb 10, 2021 Views 974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탄소배출권의 중요성>

지구온난화로 평균 기온이 급격하게 증가한 상황 속 탄소배출권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탄소배출권(Certified Emission Reductions: CERs)이란, 지구온난화 유발 및 이를 가중시키는 온실가스를 배출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지구의 6대 온실가스는 이산화탄소(CO), 메테인(CH), 아산화질소(NO), 과불화탄소(PFCs), 수소불화탄소(HFC), 육불화황(SF6)이며, 이 중 이산화탄소가 비중이 가장 높기 때문에 탄소배출권은 대표적으로 이산화탄소 배출을 규제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세계 탄소배출권 시장 규모 동향>

세계은행에서 발표한 탄소배출권의 시장 규모는 국제연합 기후변화협약의 구체적 이행 방안으로 교토의정서가 2005216일부터 공식 발효된 이후 약 109억 달러에 달했으며, 2009년에는 1,437억 달러, 2013년에는 6,690달러, 2020년에는 1조 4,500억 달러 규모로 급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1.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8기 김률희기자]


<탄소배출권 가격 동향>

UN 기후변화협약(UNFCCC)에서 발급하는 배출권을 할당받은 기업들은 의무적으로 할당 범위 내에서 온실가스를 사용해야 하고 남거나 부족한 배출권은 시장에서 거래할 수 있다. 에너지경제연구원(Korean Energy Economics Institute)에 따르면, 거래 가능한 탄소배출권은 대표적으로 교토의정서의 감축 의무국 국가 할당량(Assigned Amount Units: AAUs), 유럽 연합 배출권 거래 체제에서 정한 할당량(EU Allowances: EUAs), 청정 개발 체제를 통한 온실가스 감축량(CERs), 공동 이행 제도를 통한 온실가스 감축량(Emissions Reduction Units: ERUs), 교토의정서의 감축 의무국의 조림사업 등을 통한 온실가스 흡수량(Removal Units: RMUs) 등이 있다.

우리나라는 할당 대상 회사가 배출할 수 있는 허용량보다 적게 배출했을 때 정부로 받는 할당배출권(Korean Allowance Unit: KAU)으로 거래할 수 있다.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에 따르면, 2015년 탄소배출권 거래제 시행 이후 첫 탄소배출권의 가격은 8,640원이었으며 2020년에는 42,500(기준일 20204)까지 매년 약 7천 원씩 치솟았다. 이 같은 배출권 가격상승은 해당 기업 입장에서는 각 기업체들이 친환경 설비투자 등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여라라는 의미로 받아들이게 되며 가격 상승에 따라 재정적인 부담도 커지게 된다.


Fig 2.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8기 김률희기자]


그러나 최근 한국거래소에서 202012월 보고된 내용에 따르면 20201124일 기준 1톤당 배출권 가격은 2018년도 수준인 22,400원으로 급락했다.


Fig 3.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8기 김률희기자]

 

이러한 현상은 코로나 팬데믹 사태 이후에 처음 나타난 불안정한 가격을 기록한 것이다. 이에 정부는 3차 계획(2021~2023-3개년 1단계, 2024~2025-2개년 2단계)을 발표하였지만. 언제부터 어떤 방식으로 시행할지 구체적인 계획을 공개하지 않았다. 이때 3차 계획 역시 불안정할 확률이 높고 시장 안정화 조치를 고도화해야 한다는 여론 또한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변화가 일시적인 현상에 따른 불안정한 가격을 기록한 것인지 그 변화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으며, 코로나 사태로 기업경제가 어려워진 상황에서 탄소배출권의 가격이 안정화 방안이 시급히 필요하다.

 

 

[대한민국청소년 기자단 IT·과학부=18기 김률희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90990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59496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72828
문재인 대통령 취임 100일, 그만의 '자유로운' 기자회견 1 file 2017.08.22 김지현 9744
사교육 이대로 가도 문제없는가..! file 2017.03.20 이현 9743
우리의 생명을 위협하고 있는 주범, 미세먼지를 알아보자 2 file 2018.05.23 배민정 9742
브렉시트 투표 후 1년 반, 어디까지 왔나? 2 file 2018.01.29 신유진 9742
정말 물가는 월급 빼고 다 상승하는 것일까? 1 file 2019.06.03 송수진 9740
정시 확대, 조국이 쏘아올린 작은 공 2019.11.11 정혜원 9739
국민의당 탈당파 민평당, 정의당과 연대? file 2018.02.05 박우진 9739
지구상 마지막으로 여성 운전을 허용한 국가, 사우디아라비아 file 2018.07.26 김채용 9736
치열했던 선거 경쟁, 이후 후보들의 행적은? 2 file 2017.05.25 정유림 9732
미-중 무역전쟁의 시초 file 2019.10.31 김효정 9730
미국에서 1개월 동안 '어린이 감염자'가 4배 이상 증가 file 2021.09.23 안태연 9728
말로만 '소방 안전 확인', 아직도 문제 개선 의지 없어 2018.12.11 노영석 9726
'사회의 악' 여론 조작, 이대로 괜찮을까? file 2018.08.30 최예은 9726
문 대통령 'n번방' 회원 전원 조사 강조, "필요하면 특별조사팀 구축", n번방이란? file 2020.03.26 김서진 9717
세월호 인양작업... 또 다시 지연 2017.03.21 황서영 9717
일본군 '위안부' 피해, 오해와 진실 file 2019.11.25 정혜인 9713
美 트럼프 대통령 대북제재 사상 최대 규모, 어디까지 가나 file 2018.03.12 이지민 9712
미투 운동의 양면성 file 2018.11.01 이민아 9704
한미 미사일 지침 47년 만에 폐지! 자주국방에 한 걸음 더 가까이! 1 file 2021.05.24 하상현 9698
구별되고 분리되었던 공진초, 그리고 지금은? file 2017.09.25 김유진 9698
文정부의 인사, 聞인가 問인가 2017.07.09 김세현 9694
G- 경제 국제기구의 종류에는 무엇이 있는가? file 2020.06.29 윤영주 9672
드디어 임박한 토론, 후보들의 앞에 놓인 과제는? file 2022.02.03 김희수 9663
4월 한반도 위기설 뭐길래? 1 file 2017.04.21 송선근 9663
리디노미네이션(Redenomination), 과연 한국에서 필요한가? file 2019.05.23 황채연 9659
누진세 완화 정책 발표, 전기료 부담 줄일 수 있을까? 2018.08.20 김원준 9656
트럼프 역대 최저 지지율, 등돌리는 여당 지지자들 1 file 2017.05.23 장진향 9652
기업의 물적분할, 이대로 괜찮은가? file 2022.01.24 류민성 9651
자발이 확보하지 못하는 강제성, 어디서 찾을까? 1 file 2018.02.09 김현재 9646
<정치와 법> 교과서로 알아보는 미래통합당의 21대 총선 패배 이유 file 2020.08.25 남우현 9635
보톡스-독을 치료로, 치료를 미용으로 4 file 2018.08.24 여다은 9631
살충제 계란, 그것이 알고싶다 file 2017.08.30 강명진 9628
IT 기술의 발달과 개인 정보 보호의 중요성 file 2021.01.27 류현우 9625
‘이슬람포비아’에 잡아 먹힐 건가, ‘이슬람포비아’를 뛰어넘을 것인가? file 2018.09.28 이혜림 9625
공급 차질로 빚어진 불확실한 접종 시기.. 재조정 들어갈까? file 2021.08.26 백정훈 9607
한국 남성, 일본 여성 폭행... 과연 반일감정? 1 file 2019.09.26 김지은 9607
전 세계에 창궐해있는 코로나19, 그 이후의 세계는? 2 2020.08.31 유서연 9606
페이스북, 러시아 간섭의 작은 증거 file 2018.02.25 전영은 9602
111년만의 기록적인 폭염, 에너지 빈곤층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2 file 2018.08.21 박상정 9596
美, 웜비어 씨 사망 한 달 만 "북한 여행 전면 금지" 결정해 1 file 2017.07.24 이윤희 9593
덴마크 - 한국 수교 60주년 file 2019.05.29 남윤서 9585
구로 콜센터 확진자 100명 넘어...서울 최대 집단 감염 사례 file 2020.03.25 배선우 9582
캐나다, '기호용 대마초 합법화' 발표 2018.10.23 정혜연 9575
우리 모두 잊지 말아요... 8월 14일 그 날을... 4 file 2017.08.23 김채현 9564
같은 약인데도 보험 적용이 되지 않아 약값만 천만원...보험 급여 확대 호소한 국민청원 file 2019.03.04 나하연 9560
홍준표 정부·여당과 합의한 의료계에 "합의된 안의 지켜지지 않을 때 투쟁을 해도 늦지 않다" 3 file 2020.09.09 최성민 9559
中 환경규제, 기회를 잡아야 file 2017.11.13 김욱진 9558
태영호 - 3층 서기실의 암호 1 file 2018.11.27 홍도현 954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